•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구려어의 규칙 1”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본 일본어의 특징들 ―한국어·일본어 135개 친족어들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 features of Japanese with focus on “Koguryo language’s rule 1, seen in 135 Korean-Japanese cognate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07.06
34P 미리보기
“고구려어의 규칙 1”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본 일본어의 특징들 ―한국어·일본어 135개 친족어들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고대학 / 15호 / 503 ~ 536페이지
    · 저자명 : 淸水紀佳

    초록

    규슈 대학의 요시조 이타바시 교수는 고구려어에 관한 2개의 논문을 발표했는데, 하나는 1996년, 다른 하나는 2003년에 발표되었다. 첫 번째 논문에서 그는 음성학적 변화 -r- > -s-, 즉 고조선어(Ancient Korean)에서 -r-을 가지고 있다가 고구려어에서 그것이 -s-로 변하는 현상에 근거하여 대륙 한국어영역에서 하나의 언어분할선이 그려질 수 있다는 제안을 하였다. 이 -r-은 한국어 조어(韓祖語, proto-Korean) -*r²-에서 온 것이고, 이 한조어는 알타이어 조어(proto-Altaic) -r²-와 -l²-로부터 온 것이다. 그것을 일부 투르크어와 일본어에서 치찰음 -s-로 변하는 유음 (流音) (liquid consonant)으로 종종 얘기해왔던 학자는 로이 앤드류 밀러(Roy Andrew Miller)였다. 그래서 우리는 이런 현상을 고구려어의 규칙 1 : 한조어 -*r²- > 고구려어 -s-)이라 부르는 하나의 음성학적 규칙으로 공식화하기로 결정했다.밀러가 애용했던 본보기는 ‘chestnut' 꿀밤 kkur-pam이었는데, 이것은 열도 한국어(일본어)에서 2가지 형태, 즉 くり kur-i와 くじ kuz-i를 갖고 있다. 우리는 또한 -r- : -s/z-나 -s/z- : -r-로 대비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것은 보여주고 있는 친족어 어근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으므로, 우리의 한국어 어원사전 파일을 찾아보고 그 속에서 모두 135개의 친족어 항목들을 발견해냈다. 고구려어 기원으로 추정되는 -s/z-는 102개의 열도 한국어 형태(64.2%)에서, 그리고 57개의 반도 한국어 형태(35.8%)에서 발견되었다. 한편 고조선어 기원으로 추정되는 -r-은 103개의 반도 한국어 형태(60.2%)에서, 그리고 68개의 열도 한국어 형태(39.8%)에서 발견되었다. 이것은 2개 계통의 후손 언어들이 있음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즉 고구려어 계통과 고조선어 계통이다. 이것은 또한 이 135개 친족어 어근으로부터 170개의 현대 열도 한국어 형태와 160개의 현대 반도 한국어 형태가 파생했으며, 오늘날까지 남아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많은 어근들이 2개의 기본계통을 통해 이어져 오면서 서로 단어 형태들을 빌려오고 섞인 결과, 다른 기원이면서 갖고 있는 하나 이상의 형태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가리키고 있는 것이다. 2003년 논문에서 이타바시 교수는 67개의 고구려어 단어들을 일본어 및 중세 한국어와 비교하면서 전자와는 47개의 친족어(70.1%), 후자와는 32개의 친족어(47.8%)를 발견하였다(p.159). 그리고 그는 “고구려어는 그 친족어 숫자로 볼 때, 일본어와 가장 가까울 수 있으며, 중세 한국어와는 두 번째로 가까울 수 있다(p.185)”고 결론지었다. 이것은 대체로 우리의 결론과일치하고 있다. 우리는 열도 한국어가 고구려어로부터 직접 구어체의 기본 어휘들을 물려받았으며, 나중에 반도 한국어를 통하여 고조선어로부터 문어체의 문화적 및 문학적 어휘들을 물려받은 것으로 보인다는 사실을 이제 그의 결론에 덧붙이고자 한다. 또한 우리는 한국어 역사에 있어서 이런 현상을 “이중 복식 구조(double duplex structure)”라고 부르고자 한다. 즉 “二重(double)"이란 두개의 계통을 가진 후손 언어들 때문에 붙여진 것이며, “複式(duplex)"이란 “구어체”와 “문어체”사이의 구별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영어초록

    Professor Yoshizo Itabashi, of University of Kyushu, published two papers on Kokuryo language, one in 1996 and the other in 2003. In the first of them he suggested that a line of division could be drawnin the Continental Korean area on the basis of the phonological change -r- > -s-, the Ancient Korean retaining the -r- and the Koguryo changing it to -s-. This -r- comes from proto-Korean -*r²-, which in turn comes from proto-Altaic -r²- and -l²-. It was Roy Andrew Miller who often talked about them as liquid consonants which change to sibilant -s- in some Turkic languages and Japanese. So we decided to formulate this situation in a phonological rule called Koguryo language’s rule 1: proto-Korean -*r²-> Koguryo language -s-.
    Miller's favorite example was ‘chestnut' 꿀밤 kkur-pam, which has two forms くり kur-i and くじ kuz-i in Insular Korean (Japanese). Since we were also aware of the existence of cognate roots which show -r-:-s/z- or -s/z-:-r- contrast, we searched our Korean etymological dictionary file and found 135 cognate items in all. The -s/z- of supposed Koguryo origin was found in 102 Insular Korean forms (64.2%) and 57Peninsular Korean forms (35.8%). On the other hand the -r- of supposed Ancient Korean origin was found in 103Peninsular Korean forms (60.2%) and in 68Insular Korean forms (39.8%). This shows the two lines of descent clearly : the Koguryo line and the Ancient Korean line. This also means that from 135 cognate roots the total of 170 modern insular and 160 modern peninsular forms are derived and remain to this day, indicating that many roots have more than one form of different origins as a result of intermingling of the two basic lines of descent and mutual borrowing of word forms.
    In his 2003 paper Professor Itabashi compared 67 Koguryo words with Japanese and with Middle Korean, and found 47 cognates (70.1%) with the former and 32 cognates (47.8%) with the latter (p.159). And he concluded “that Koguryo may be closest to Japanese and second closest to Middle Korean from the number of the cognates”(p.185). This coincides roughly with our conclusion. We would like to add to it that Insular Korean now seems to have received its basic vocabulary in spoken language directly from Koguryo and later its written cultural and literary vocabulary from Ancient Korean over Peninsular Korean. We would like to call this situ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s “a double duplex structure", “double" because of the two lines of descent, and “duplex" for the distinction between “spoken" and “written" language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고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