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국 일본의 출판시장 재편과 미디어 이벤트 ‘張赫宙’를 통해 본 1930년 전후의 개조사(改造社)의 전략 (The Restructuring of Publication Market and Media event in 1930 Imperial Japan: Kaizosha’s Strategy Examined Through Jang Hyeok-Ju)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09.05
34P 미리보기
제국 일본의 출판시장 재편과 미디어 이벤트 ‘張赫宙’를 통해 본 1930년 전후의 개조사(改造社)의 전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사이間SAI / 6호 / 113 ~ 146페이지
    · 저자명 : 고영란

    초록

    장혁주(張赫宙)는 개조사(改造社)의 현상창작공모를 통해 1932년 제국일본의 출판시장에 등장한다. 현상창작공모라는 이벤트는 개조사라는 출판자본이 보도활동, 판매활동, 광고활동을 통해 의도적으로 기획하고 연출한 이벤트다. 본론에서는 ‘張赫宙’의 등장이 일본의 출판시장 재편과 깊은 관련이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출판은 불황에 강하다’는 신화의 예로 반드시 등장하는 것이 엔본 붐이다. 그러나 張赫宙가 등단한 1932년은 엔본 붐이 끝나고 출판업계는 불황의 늪에 빠진다. 이 시기는 출판 업계가 매출 증대를 위해 새로운 문화상품을 찾고 있던 때이기도 하다. 그 과정에서 지금까지 독립적인 출판시장으로 여겨진 적이 없는 ‘제국의 식민지’가 새로운 영토로서 발견된다. 이러한 출판자본의 재편과정과 맞물리면서 식민지에서 기동하기 시작한 ‘문학에 대한 투기(현창창작공모)’ 시스템은 ‘식민지 없는 식민지’를 연출하게 된다. ‘張赫宙(チョウ・カクチュウ)’라는 기호는 ‘이중언어’가 기능하지 않는 공간의 생산물이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장혁주의 당선이 연출하는 것은 『개조』라는 잡지를 매개로 같은 꿈을 꾸는 동등한 ‘독자’라는 의식이고, 이것은 ‘민족’적인 위계관계를 비가시화 시킨다. 개조사의 전략을 토대로 분석을 할 경우 ‘張赫宙(チョウ・カクチュウ)’의 ‘조선’이라는 부가가치가 제국일본의 출판시장에서 빛을 발하는 것은 ‘일제-국산(和製)’을 표상하는 일본의 수출 상품이기 때문이다. 결국 현상창작을 통해 만들어진 문화상품 ‘張赫宙’는 그것이 유통하는 시장 속에서 수용자의 이익=관심에 따라 해석을 둘러싼 새로운 ‘전쟁’을 일으켰던 것이다.

    영어초록

    In the year 1932 an open contest rewarding the best novel was conducted in Imperial Japan. This contest was ‘Jang Hyeok-Ju’s first appearance in Imperial Japan’s publication market. The event was conceived and produced by Kaizosha which was a publication capital. For this occasion, Kaizosha was very active in sales, media broadcasting and advertisement. In this essay, I will explore ‘Cho Kaku-tyu (Jang Hyeok-Ju)’ as a cultural product, his introduction and the attention drawn to it through the media event of Kaizosha. A myth states that the "publishing business is rather powerful during a recession." When this subject is discussed, the EnPon (one-yen book) Boom is always referred to as one of the best examples of the myth. When ‘Cho Kaku-tyu (Jang Hyeok-Ju)’ first appeared in 1932, the publishing business was in bad shape after the decline following the EnPon Boom’s peak of popularity in 1928. During this decline, most publishers were in search of a new cultural product to increase their profits. As a result of their desire, the empire’s colony, never before considered a publication market, became a land where ‘publication imperialism’ would be realized. The success of ‘Cho Kaku-tyu (Jang Hyeok-Ju)’ at the Kaizosha event reveals that any prospective author, irrespective of their national identity, was free to realize his/her dream. This point makes the ‘national hierarchy’ between empire and colony invisible. Also, in this regard, ‘colony’ does not function as it is commonly defined. Consequently, one can acknowledge that the system of capitalism was developed in the publishing business. In addition, the restructuring of the publication market had been going along with the capitalist system. The principal requirement to apply for the open contest was that the applicant should be a purely new figure in the literary world. Therefore is it appropriate that ‘Cho Kaku-tyu (Jang Hyeok-Ju)’ was totally unknown before the contest. Taking advantage of this, Kaizosha could export ‘Cho Kaku-tyu’ as a Japanese product. This strategy was successful and ‘Jang Hyeok-Ju’ became popular in the Imperial Japanese market. The appearance and success of ‘Cho Kaku-tyu’ at Kaizosha caused great controversy. Among the empire and colonies, there were various interpretations, reviews and criticisms of the work. These analyses were deeply rooted in the market’s profit and customer intere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