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국지연의>를 보는 두 개의 시각 -한국에서의 傳統的 大義論과 일본에서의 武士的 忠義論 (Two Perspectives of Viewing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Orthodoxy and Cause of Korea and Allegiance of Warriors in Japa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3.06
26P 미리보기
&lt;삼국지연의&gt;를 보는 두 개의 시각 -한국에서의 傳統的 大義論과 일본에서의 武士的 忠義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소설연구 / 35호 / 269 ~ 294페이지
    · 저자명 : 이은봉

    초록

    한국과 일본이 <삼국지연의>를 수용하던 초기에는 역사 구연물이 주는 역사성과 주자학의 대의론 혹은 군신론 등 성리학적 정통론의 영향을 받아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역사서와 구별을 안 했거나 혼동해서 읽었다. 하지만 한국은 중국과의 관계 속에서 촉한에 대한 정통론적 대의명분을 직접 내세웠고, 일본은 한국과는 달리 남북조시대를 바라보는 자신들의 역사 정통론과 쇼군이 지배하는 막부 정권의 지배이념을 공고히 하는 데 <삼국지연의>를 활용하면서부터 차이를 보이기 시작했다.
    한국은 상업출판이 성행하는 18세기 후반부터 경제적 여건상 거질의 한글 번역본 <삼국지연의>를 모두 판각할 수 없자 인기 있는 부분만 따로 떼어 새로운 이야기를 첨가해 기존의 <삼국지연의>와는 전혀 다른 삼국의 이야기를 만들었다. 때문에 수용초기보다는 교화적 측면이 약화되고 오락성이 강조되기도 했지만 <삼국지연의>가 주는 정통론적 대의명분은 계속해서 유지했다. 이러한 ‘전통적 대의론’이 유지될 수 있었던 이유는 중국과 잇닿은 지리적 여건상 중국의 정치 문화적 영향을 직접 받아야 했으며, 더 큰 이유는 성리학이라는 국가 이데올로기가 <삼국지연의>의 주제의식과 맞았기 때문이다.
    이에 반하여 일본은 <삼국지연의>가 일본어로 번역되면서부터 일본의 역사 정통과 군기 문화 등의 영향으로 일본풍이 가미되었고, 전통 연극인 가부키나 조루리로 공연되면서 정통론적 대의명분보다는 무사적 충의가 강조되었다. 특히, 일본의 대표적 조루리 작가로 알려진 지카마쓰 몬자에몬은 <삼국지연의>의 명장면들을 차용해 임금을 위한 충을 강조하였다. 게다가 <가나데혼 주신구라>의 작가로 알려진 다케다 이즈모는 지카마쓰와는 다르게 전체 내용을 <삼국지연의>로 구성하고 여기에 새로운 인물과 사건을 첨가해 독특한 이야기를 만들었다. 다케다는 이렇게 만들어진 이야기 속에 충의, 은애, 정녀 등의 유교적 도덕개념을 삽입해 완전히 새로운 일본풍의 <삼국지연의>를 창작해냈다. 이렇게 ‘무사적 충의론’이 만들어지게 된 이유는 당연히 에도시대 막부 정권의 자연스런 현상일 수도 있겠지만 당시 가부키나 조루리의 관객이 서민이었다는 것을 보면 막부 정권의 지배 이데올로기를 공고히 하기 위함이 더 컸을 것이다.

    영어초록

    Influenced by the historicity it possessed as a historical novel and the Confucian orthodoxy that appeared through the greater caus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rds and the retainers,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hereafter referred to as Romance) was often read indiscriminately with historical texts during the early period of its acceptance in Korea and Japan. However, Korea and Japan differed in their approaches to the Romance. While Korea set forth the orthodoxy and cause of the Kingdom of Shu Han based on its relationship with China, Japan used the Romance in order to solidify its historical view of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of China and ruling ideology of the shogunate.
    Since the late eighteenth century when commercial publication flourished, Korea started publishing newer versions of the Three Kingdoms narrative by selectively printing the popular part of the original Romance with the addition of new episodes. Although the commercial publication was flourishing in Korea, its economical condition limited the publishing huge volumes of the entire Korean translation of Romance. Hence, while the instructive aspects weakened and the entertaining aspects strengthened in comparison to the earlier versions, its orthodoxy and justification of cause continued to be maintained. Korea's geographical proximity to China put Korea under the direct cultural and political influence of China and moreover, the theme of Romance was befitting to the Confucian ideology.
    On the contrary,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Romance into Japanese, certain Japanese aspects were added, influenced by Japan's historical tradition and military culture. Also, when it was performed in the form of traditional plays such as kabuki or joruri, allegiance as the warrior was emphasized over the orthodoxy or greater cause. Chikamatsu Monzaemon, the renowned playwright of joruri, appropriated the famous scenes from Romance and underscored the allegiance to the king. Moreover, Takeda Izumo who is known as the writer of Kanadehon Chushingura, unlike Chikamatsu, rearranged the entire narrative according to Romance, added new characters and events, and created a unique narrative. By inserting the concepts pertaining to Confucian ethics such as loyalty, love, virtuous woman, etc. into this narrative, he created a completely different version of Japanesy Romance. One might say that stressing the allegiance of the warrior was a natural process that took place in the Edo bakufu. Yet,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the audience of kabuki or joruri were mostly laymen, it could be seen as the attempt to solidify the ruling ideology of the shoguna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