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프랑스 개인정보보호법의 미성년자의 잊혀질 권리의 성립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Minor's Right to Be Forgotten in Franc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23.06
33P 미리보기
프랑스 개인정보보호법의 미성년자의 잊혀질 권리의 성립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강법률논총 / 12권 / 2호 / 117 ~ 149페이지
    · 저자명 : 정재도

    초록

    미성년자의 잊혀질 권리의 인정과 관련하여, 2015년 미국 캘리포니아주법률은 미성년자 보호를 위하여 캘리포니아주의 인터넷 웹사이트 등의 운영자는 미성년자가 자신의 게시물을 제3자에게 공개하기 전에 삭제하거나 삭제요청하는 것을 허용하는 법률을 마련하였다. 이 법률 이후에, 프랑스는 GDPR(일반정보보호규칙)의 적용에 앞서서 2016년에 디지털공화국법을 제정하여 개인정보보호법에 미성년자의 잊혀질 권리에 관한 조항을 신설하였다.
    프랑스 국내법률로 규정된 ‘미성년자의 잊혀질 권리’는 미성년자인 시기에 수집된 정보에 대한 ‘삭제권’을 인정하고 있으며, 이는 정보주체의 삭제요청과 그에 따른 정보처리자의 삭제의무로 구성된다. 그리고 정보처리자가 일정한 기간 내에 삭제요청에 응답을 하지 않는 경우에 개인정보보호위원회(CNIL)에 제소할 수 있는 길을 열어두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미성년자의 잊혀질 권리의 예외를 규정하여 미성년자의 개인정보의 보호와 표현의 자유 및 정보의 자유, 다른 공익 간의 충돌 문제를 규범조화적으로 해결하고 있다.
    이러한 프랑스의 미성년자의 잊혀질 권리는 GDPR 제17조의 삭제권으로서의 잊혀질 권리와 기본적인 내용이 동일하다. 그러나 프랑스 개인정보보호법의 미성년자의 잊혀질 권리는 GDPR 제17조를 그대로 입법한 것은 아니며, 프랑스 시민들이 디지털공화국법의 입법과정에 참여하여 미성년자의 잊혀질 권리의 주요 내용을 직접 수정하였다는 점에서 그 특징을 찾을 수 있다. 특히 미성년자의 잊혀질 권리에 대한 내용 중에서 첫째, ‘정보주체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인정된다는 점을 법률에서 명확하게 규정한 점, 둘째, 정보처리책임자가 정보주체의 삭제요청에 ‘1월’이라는 기간 내에 응답하지 않을 경우에 프랑스 개인정보보호위원회(CNIL)에 제소할 수 있게 한 점, 그리고 끝으로 이러한 제소에 대해서 개인정보보호위원회(CNIL)는 ‘이의신청이 접수된 날로부터 3주 이내’에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규정한 점은 미성년자의 잊혀질 권리에 관한 입법과정에서 시민들의 의견이 반영된 결과들이다.
    이처럼 프랑스 개인정보보호법상의 미성년자의 잊혀질 권리는 권리로서의 기본적인 의미와 구성은 GDPR의 잊혀질 권리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입법의 목적 내지 동기의 측면에서는 2015년 캘리포니아주법률의 ‘디지털 세상에서의 미성년자의 보호’라는 목적과 관련이 있다. 그리고 법률의 구체적인 내용은 프랑스 시민들의 참여를 기반으로 프랑스의 실정에 맞게 GDPR의 잊혀질 권리를 재정립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Regarding whether the right to be forgotten is also recognized for minors' personal information, the 2015 California law allowed minors to delete their posts before they were released to third parties to protect minors. France enacted the Digital Republic Act in 2016 prior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GDPR. Through this law, the minor’s right to be forgotten was newly established in the France Data Protection Act.
    The ‘minor’s right to be forgotten’ stipulated in French domestic law recognizes the ‘right to erasure’ of information collected during minors, which consists of the data subject’s request for deletion an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processing manager(controller)’s duty to delete it. In addition, if the controller does not respond to the deletion request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data subject may file a complaint with CNIL. However, in certain cases, exceptions to the minor’s right to be forgotten are stipulated to prevent conflicts between the protection of minors' personal information and other public interests.
    The structure of the minor’s right to be forgotten in France is the same as the right to erasure(right to be forgotten) in Article 17 of the GDPR. However, the minor’s right to be forgotten in France did not imitate the Article 17 of the GDPR, and it is characteristic that French citizens participated in the legislative process of the Digital Republic Law and reflected their opinions on the main contents of the minor’s right to be forgotten in France.
    Among the minor’s rights to be forgotten, first, the law clearly stipulates that it is recognized ‘in case there is a request from the data subject’. Second, if the controller does not respond to the data subject's request for deletion within a period of ‘1 month’ (un mois), it is possible to file a complaint with the CNIL. Lastly, regarding these complaints, the CNIL must make a decision ‘within three weeks from the date of receipt of the objection’. These are the results of direct and indirect reflection of citizens' opinions in the legislative process on minors' right to be forgotten. Conclusionally, the minor’s right to be forgotten under the France Data Protection Act has the same basic meaning and composition as the right to be forgotten under the GDPR. However, in terms of the purpose or motive of the legislation, it is related to the purpose of the 2015 California law, ‘protection of minors in the digital world’. And the specific details of the law can be evaluated as having re-established the right to be forgotten in the GDPR to suit the circumstances of France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French citize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