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책의 리좀과 읽기의 리좀: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개의 고원 1장 ‘리좀’을 중심으로 (Book and Reading Rhizomes: Focusing on Chapter 1 “Rhizomes” of Deleuze and Guattari’s )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24.09
19P 미리보기
책의 리좀과 읽기의 리좀: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개의 고원 1장 ‘리좀’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초등교육 / 35권 / 3호 / 115 ~ 133페이지
    · 저자명 : 김도남

    초록

    이 논의에서는 책과 독자의 읽기에 내재하는 리좀(rhizome)의 특성에 주목한다. 책의 리좀은 책내용이 하나의 중심 의미로 수렴되도록 하기보다 여러 주요 의미를 생성하게 한다. 독자는 책의 리좀특성을 실행시켜 자기만의 주요 의미를 생성한다. 리좀-책이 리좀-읽기를 가능하게 한다. 들뢰즈와과타리는 천 개의 고원(Deleuze, & Guattari, 1980/2003) 1장(리좀)에서 리좀과 리좀-책에 관해논의한다. 천 개의 고원 자체가 리좀-책이라는 것이다. 이 논의에서는 들뢰즈와 과타리가 정립한 리좀의 개념을 토대로 책의 리좀과 읽기의 리좀이 지닌 특성을 알아본다. 책의 리좀이 지닌 특성은 고원, 집단적 배치물, 다질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원은 땅이 높이 솟아오른 곳으로 중심(일자(一者))인봉우리가 없다. 고원은 덩이를 이루고 있는 형태(구근(球根))로 여러 개가 연결되어 리좀의 형상을 만든다. 집단적 배치물은 다양한 종류의 많은 성분이 하나의 조직체를 이룬 상태를 가리킨다. 하나의 고원은 여러 종류의 많은 물질이 하나의 조직체를 이루고 있다. 다질성은 다양한 성질을 뜻한다. 고원은집단적 배치물이므로 성분에 따른 다질성을 지니고 있다. 고원, 집단적 배치물, 다질성은 리좀-책이지닌 특성이다. 읽기의 리좀은 이 책과 독자의 관계 맺음으로 이루어진다. 읽기의 리좀은 연결접속, 기계적 배치, 재영토화의 특성을 갖는다. 연결접속은 다질성의 집단적 배치물인 책의 고원과 독자가인지적 관계를 맺는 것이다. 이 관계 맺음은 책과 독자 사이에서 일어난다. 기계적 배치는 독자의 의지로 책에서 단위 내용을 분리해다가 하나의 주요 의미를 갖는 집단적 배치물을 만드는 것이다. 재영토화는 집단적 배치물이 독자만의 고유한 의미 고원이 되도록 만드는 것이다. 독자의 읽기 리좀은 책과 관계된 새로운 의미의 고원을 만드는 것이다. 이 의미 고원을 만듦으로 독자는 자기 생성을 이룬다. 리좀-책은 리좀적 읽기로 독자가 자기 생성을 할 수 있게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rhizomes inherent in books and readers’ reading. The book rhizome generates multiple important meanings rather than converging its content into one central meaning. The reader puts the rhizome characteristics of the book into practice to generate his or her major meaning. The book rhizome makes reading rhizome possible. Deleuze and Guattari discuss rhizomes and book rhizome in Chapter 1 (Rhizomes) of <Thousand Plateaus> (Deleuze, & Guattari, 1980/2003). <Thousand Plateaus> is a book rhizome.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ok and reading rhizomes based on the concept established by Deleuze and Guattari.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ok rhizome can be divided into plateaus, collective assemblages, and heterogeneity. A plateau is a place where the land rises high and has no central (The one) peak. A plateau is a lump, and many plateaus are connected in a shape (bulb) to form a rhizome. A collective assemblage refers to a state of organizing many different types of components. A plateau is an organization of many different types of substances. Diversity means various properties. Since a plateau is a collective assemblage, its components vary. Plateau, collective assemblage, and diversity are the characteristics of a book rhizome. The reading rhizome is form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book and the reader. The reading rhizome comprises connection, machinic assemblage, and reterritorialization. Connection is the cogn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teau of the book, which is a collective assemblage of diversity, and the reader. The reader cognitively connects with the unit content that makes up the book content. Mechanical assemblage is the state in which the reader separates the unit content from the book by his or her will and creates a collective assemblage with one main meaning. Reterritorialization is the act of making the collective assemblage a unique plateau of meaning for the reader. The reader’s reading rhizome creates a new plateau of meaning related to the book. By creating this meaning plateau, the reader achieves self-creation. The book rhizome enables the reader to self-create through rhizome read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초등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