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스마트 치안 기술 활성화를 위한 형사사법정보 활용 방안 : 개인정보보호와의 균형을 중심으로 (A Study on Utilization of Criminal Justice Information for Smart Policing with a Focus 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22.12
20P 미리보기
스마트 치안 기술 활성화를 위한 형사사법정보 활용 방안 : 개인정보보호와의 균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찰대학 범죄수사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범죄수사학연구 / 8권 / 2호 / 205 ~ 224페이지
    · 저자명 : 박성미, 안정민

    초록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교통, 의료,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접목하게 되면서 치안 분야 역시 막대한 연구개발 예산을 통하여 치안 관련 인공지능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형사사법 절차상 수집되는 정보는 상당수 개인정보를 포함하게 되어 데이터 활용이 어려울뿐더러 활성화되고 있는 스마트 치안 분야에 비해 관련 개인정보보호정책은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형사사법 절차상 생산되는 형사사법정보를 살펴보고 국내외 형사사법정보 활용 현황에 대해 알아보았다.
    경찰청은 첨단기술과 치안현장의 융합을 위해 여러 연구개발과제를 시행하고 있으나 활용 가능한 데이터 확보 및 제공에 있어서 난관을 겪고 있으며, 민간기업과 협력, 범주화된 데이터 등을 개방하여 치안 데이터 시장 성장을 촉진하고 있으나 적극적으로 데이터를 학습에 활용하는 미국에 비해 다소 수동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형사사법분야에 인공지능기술을 폭넓게 활용함에 장애가 되는 현행 체계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포괄적인 도메인 중심의 개인정보보호의 관점에서 벗어난 정보의 보안 등급화와 개인정보 침해의 가능성을 고려해 개발 환경을 구축하는 대안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As the interest in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AI) grows, the field of "Smart Policing" has received increased attention. However, the information collected during the criminal justice process inevitably contains a lot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us its usage for machine learning datasets is limited. The Korean Personal Data Protection Laws have recently adopted major amendments to free up the use of pseudonymized data and ease the way for the expansion of Big Data-driven services. Contrary to this, the strict privacy protection compliance by the police remains the same - causing passive usage of the Criminal Justice Information.
    This study seeks ways to utilize data on the Korea Information System of Criminal Justice Services(KICS), an electronic work system that the police and three other criminal agencies jointly use to perform investigations. The National Police Agency is implementing various R&D tasks to converge high-tech and public security sites. However, it is having difficulties providing this usable Criminal Justice Information due to the strict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vague legal provisions. By examining the Criminal Justice Information produced during the criminal justice process and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and overseas use of criminal justice information, this study finds and suggests alternative solutions such as data classification, data-oriented personal information policy, and ways to establish a privacy-compliant environment as countermeasures to pursue both privacy protection and innovative policing develop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범죄수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