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의 공영방송 연구 30년: 1989년~2019년 국내 17개 학술지 메타 분석을 중심으로 (30 years of research on public broadcasting in South Korea: Focus on the meta-analysis of 17 academic journals from 1989 to 2009)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20.01
38P 미리보기
한국의 공영방송 연구 30년: 1989년~2019년 국내 17개 학술지 메타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방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방송학보 / 34권 / 1호 / 114 ~ 151페이지
    · 저자명 : 박희봉, 한동섭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신문방송학 분야 17개 등재 학술지에 1989년부터 2019년까지 게재된 공영방송 관련 논문 224편을 메타 분석했다. 이를 위해 연구주제, 연구자, 연구목적, 연구방법론, 중심이론의 유무, 연구대상 국가, 논의의 성격을 주요 분석유목으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공영방송 연구는 양적 성장을 꾸준히 거듭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술지별 게재 건수를 보면 KBS 공영미디어연구소가 간행하는 학술지인 <방송문화연구>가 가장 많은 수의 공영방송 논문을 게재하였다. 셋째, 연구주제에 있어서는 다양성의 부재와 편중이 확인되었다. 공영방송 관련 법제와 정책(21.9%), 발전전략(17.9%), 재원 관련 연구(11.2%) 순으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넷째, 연구방법론에 있어서는 문헌연구에 대한 편중과 실증적 연구의 빈곤함이 확인되었다. 다섯째, 분석 기간을 통틀어 중심이론이나 핵심개념이 없는 연구가 전체 연구의 68.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분석대상 연구의 대다수가 규범적 논의와 기술적 논의에 집중되었다. 이 연구는 한국 공영방송 연구의 전체적인 흐름과 경향을 살펴보는데 그친 나머지 수많은 공영방송 연구자들의 치열한 고민과 연구 성과들을 깊게 들여다보지 못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meta-analyzed 224 papers on public broadcasting that were published from 1989 to 2019 in 17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journalism in Korea. To this end, the research subjects, researchers, research purposes, research methodologies, whether or not the central theory, the countries to be studied, and the nature of the discussion were set as the main analysis ite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uth Korea's public broadcasting research has shown that it has steadily continued quantitative growth. Second, <Studies of Broadcasting Culture> published the largest number of public broadcasting papers. Third, the absence and bias of diversity were identified in the research topic. Legislation and policy related to public broadcasting services (21.9 percent), development strategy (17.9 percent), and research on financial resources (11.2 percent). Fourth, the bias towards literature research and the poverty of empirical research were identified in the research methodology. Fifth, research without central theory or core concept throughout the analysis period showed that 68.8 percent of the total research was conducted. Sixth, the majority of the studies under analysis were focused on normative and technical discussions. The study only outlines the overall trends and trends of Korean public broadcasters over the past 30 years, with the limitation that it failed to look deep into the intense agony of numerous public broadcasting researchers and their research achieve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