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향상에 관한 조례분석 (Analysis of the Ordinance on the Treatment and Status Improvement of Social Welfare Workers, etc. in 17 Metropolitan Government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21.08
23P 미리보기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향상에 관한 조례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회복지법제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복지법제연구 / 12권 / 2호 / 3 ~ 25페이지
    · 저자명 : 김수정, 김광병

    초록

    본 연구는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향상에 관한 조례내용을 사회적 할당, 사회적 급여, 전달체계, 재정양식에 따라 분석하여 지방자치단체간의 어떠한 차이가 있고, 상위법인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향상을 위한 법률」에 따라 사회복지사 등의 적정 인건비에 관해 지방자치단체별로 보수수준과 지급실태를 중심으로 3년 마다 조사 공표하도록 하는 개정된 사항이 얼마나 반영이 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의 조례에서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가 개선될 수 있는 유익한 수익적 조치가 포함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할당은 충청북도를 제외하고 16개 광역지방자치단체가 사회복지사업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 등으로 표현하였다.
    둘째, 사회적 급여는 처우개선과 지원계획에 대해서는 대부분 강행규정이었고, 신분보장, 인권옹호, 신변안전보호에 대해서는 임의규정, 노력규정, 강행+노력규정, 강행규정 등 지자체별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도지사와 시장의 책무에 대해서는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가 노력규정, 지원센터와 권익옹호지원센터는 각각 부산광역시 및 경상남도와 제주특별자치도에 임의규정을, 안전한 근무환경에 관해서는 6곳만 노력규정이었다.
    셋째, 전달체계는 지원계획에 대해서는 경상북도와 대구광역시를 제외하고는 모두 강행규정, 실태조사는 경기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를 제외하고 모두 강행규정, 위원회에 대해서는 명칭만 다를 뿐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가 모두 운영 중에 있었다.
    넷째, 재정양식은 책무는 제주특별자치도를 제외하고 노력규정, 실태조사는 충청북도를 제외하고 모두 임의규정, 처우개선사업은 과반수가 임의규정, 인권 및 권리 옹호, 신변안전과 인권보장, 신변보호 등에서 임의규정과 강행규정이 혼재되어 있다. 또한 지원사업은 전라북도만 강행규정이었고, 지원센터, 안전한 근무환경 조성, 수당과 여비, 포상, 보조금 교부, 종합계획 등에 대해서는 임의규정이었고, 17개 광역시가 상이한 모습을 보였다.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할당은 충청북도의 경우를 참고하여 16개 광역지방자치단체가 수정해야 한다.
    둘째, 사회적 급여는 임의규정을 강행규정화하고, 지원사업 부분에 모든 규정을 갖고 있는 광주광역시의 조례를 기준으로 삼아 개정하여야 한다.
    셋째, 전달체계는 종합계획에 대해서 경상북도와 대구광역시가 강행규정을 새롭게 추가하여야 하고, 실태조사에 대해서는 경기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가 강행규정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재정양식은 책무에 대해서는 노력규정을 확대하여 강행규정화하고, 실태조사는 상위법인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향상을 위한 법률」에 맞게 강행규정화해야 한다. 특히 제주특별자치도를 기준으로 인건비의 적정수준과 보수수준을 새롭게 담아야 하고, 신분보장에 대해서는 전라북도의 경우를 참고하여 강행규정화해야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ordinance on the treatment and status improvement of social workers in 17 metropolitan governments according to social allocation, social provision, delivery system, mode of finance. According to the upper corporation 「ACT ON THE IMPROVEMENT OF TREATMENT AND STATUS OF SOCIAL WORKERS, ETC」, the revised matters that require local governments to investigate and publish proper labor costs of social workers every three years based on remuneration level and payment status were analyzed.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e ordinance of 17 metropolitan and provincial governments is to present measures to improve the treatment of social workers, etc. so that beneficial and profitable measures can be includ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allocation was expressed by 16 metropolitan and provincial governments, except for Chungcheongbuk-do, as social workers engaged in social welfare projects.
    Second, the social provision was mostly enforced regulations on treatment improvement and support plans, and various local governments such as dispositive regulations, effort regulations, imperative + effort regulations, and imperative regulations on identity security, human rights protection, and personal safety protection. 17 metropolitan governments regulated efforts for governors and mayors, while support centers and rights support centers provided dispositive regulations to Busan Metropolitan City, Gyeongsangnam-do Province and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only six for a safe working environment.
    Third, the delivery system has the form of imperative regulations for all support plans except Gyeongsangbuk-do and Daegu Metropolitan City, while the fact-finding survey has the form of imperative regulations for all except Gyeonggi-do, Gyeongsangnam-do, and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s for the committee, It's just a different name and all 17 metropolitan and provincial governments were in operation.
    Fourth, the mode of finance is in the form of effort regulations except for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ctual investigations are all in the form of dispositive regulations except Chungcheongbuk-do, and dispositive and imperative regulations are mixed by a majority of them. In addition, the support project was in the form of a imperative regulation only in Jeollabuk-do, and it was in the form of dispositive regulations for support centers, safe working environment creation, travel expenses, rewards, subsidies, comprehensive plans, etc. Moreover, 17 metropolitan cities showed different appearances.
    Suggesting improvement measures is as follows.
    First, the social allocation should be modified by 16 metropolitan and provincial governments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of Chungcheongbuk-do.
    Second, the social provision should be imperative regulated by dispositive regulations and amended based on the ordinance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which has all the regulations in the part of the support project Third, the delivery system should be newly added by Gyeongsangbuk-do and Daegu Metropolitan City in the form of imperative regulations for the comprehensive plan, and Gyeonggi-do, Gyeongsangnam-do, and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s need to be imperative regulated by dispositive regulations for the survey.
    Fourth, the mode of finance should be imperative regulated by expanding the regulation of efforts for its responsibilities, and the fact-finding survey should be imperative regulated in accordance with 「ACT ON THE IMPROVEMENT OF TREATMENT AND STATUS OF SOCIAL WORKERS, ETC」 of the higher law. In particular, the appropriate level of labor costs and the level of remuneration should be newly included based o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the regulation of the security of identity should be made in consideration of Jeollabuk-do's ca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