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지 심층 인터뷰 조사로 살펴본 한국의 저출산(생) 현상 - 비수도권 11개 지역을 중심으로 (The Low Fertility Rate Phenomenon in S. Korea Examined through Local In-depth Interview Survey - Focusing on 11 Non-Seoul Metropolitan Area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24.12
38P 미리보기
현지 심층 인터뷰 조사로 살펴본 한국의 저출산(생) 현상 - 비수도권 11개 지역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서연구 / 36권 / 4호 / 5 ~ 42페이지
    · 저자명 : 최정원, 김중순, 김인춘

    초록

    우리나라 저출생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역사적·문화적·구조적인 맥락 속에서 출생의 주체인 여성과 청년 세대의 인식과 경험에 대한 다면적이고 복합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비수도권 11개 지역 현지에 거주하는 20대–40대 여성 및 남성 54명을 대상으로 개별 대면 심층(In-depth) 인터뷰 조사인 미시적 질적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저출생 현상의 사회·문화·심리적 맥락과 원인을 살펴보았다.
    비수도권 심층 인터뷰에서 나타난 서사와 담론들은 1) 가치관의 변화: 결혼·출산은 개인의 선택, 2) 결혼해야 출산하는 문화와 보수적 가족주의, 3) 결혼과 출산의 걸림돌: 일자리 문제와 주거문제, 4) ‘육아 전쟁’과 후속 출산의 기피, 5) 서울행과 지방에 남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서사와 담론에서 나타난 정책적 함의로는 1) 전 생애적 관점의 정책, 2) 정책의 보편성, 편리성, 일관성, 지속성 필요, 3) 일·생활 균형 지원 정책의 강화: 육아휴직·유연근로·돌봄서비스, 4) 성 평등주의 시각의 정책, 5) 지역적 특징과 지역균형발전을 고려한 정책을 들 수 있다. 심층 인터뷰의 1차 자료를 기반으로 한 본 논문은 비수도권 지역 내부자의 관점에서 저출생 현상을 살펴보고 있는 점, 저출생과 다양한 인구 현상의 이해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In order to explain the low fertility rate phenomenon in S. Korea, it is important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women and young generations in the Korean history, culture, and social structure. This study conducted a micro-level qualitative study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54 women and men in their 20s to 40s living in 11 non-Seoul metropolitan area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ocial, cultural, and psychological context and causes of the low fertility rate phenomenon. The important narratives and discourses from in-depth interviews are 1) changes in individual values: individual choices about marriage and childbirth, 2) culture of having children only after legal marriage and conservative familism, 3) obstacles to marriage and childbirth: job instability and housing problems, 4) ‘childcare war’ and avoidance of subsequent childbirth, 5) going to Seoul metropolitan or staying in the province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se narratives and discourses are 1) policies from a life-cycle perspective, 2) policies in terms of universality, convenience, consistency, and sustainability, 3) strengthening policies to support work-life balance: childcare leave, flexible work, and care services, 4) policies with a gender equality perspective, 5) policies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is paper, based on the primary data of in-depth interviews, contributes to examining the low fertility rate phenomenon from the perspective of insiders in the non-Seoul metropolitan areas and providing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the low fertility rate and various population problems in S.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