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항기 정기미시장(定期米市場)의 도입과 미곡 거래 방식의 다변화 (The Beginning of the Regular Rice Market and the Diversification of Rice Trading Methods During the Opening Period of Ports in Korea)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20.12
44P 미리보기
개항기 정기미시장(定期米市場)의 도입과 미곡 거래 방식의 다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연구 / 191호 / 385 ~ 428페이지
    · 저자명 : 김기성

    초록

    개항기 정미기(定期米) 시장과 미곡거래의 성격 김기성 1890년 이후 미곡의 대량 수출이 시작된 이후 개항장의 미가는 국내외 여러 요인들이 복잡하게 영향을 미치면서 변동이 매우 심하였다. 이에 거류지의 일상들은 시장의 변동에 따른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정기미 거래를 조선에 도입하였다. 당시 개항장 미곡 시장에서 풍흉을 기준으로 한 중장기적 미가의 변화는 어느 정도 예상이 가능하였지만, 단기적 변동의 경우는 예측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계속되는 미가 변동으로 인해 파생되는 거래의 위험을 줄이고 정해진 가격에 미곡을 공급하려는 목적에서 1896년 인천에 미두취인소가 설치되면서 정기미 시장이 만들어졌다. 정기미 시장이 만들어짐에 따라 미곡 매매에 있어서 비대면적 거래가 가능해졌다. 당시 미곡 무역을 통해 이익을 보기 위해서는 대면관계를 통해 신뢰가 확실한 거래처가 반드시 필요하였고, 거래 시점에 맞춘 기선의 확보 역시 필수적이었다. 이밖에 창고수수료, 보험료, 하환 어음의 할인료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야 했다. 그러나 정기미 시장에서는 거래의 제도화를 통해 미곡 거래를 비대면관계로 전환하여 누구나 자본을 투입하여 수익을 낼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미곡 거래에 참여할 수 있는 상인의 폭이 넓어졌다. 1904년을 기준으로 취인소를 이용하는 고객은 대략 일본인이 60%, 한국인이 40%였고, 지역별로 구분하자면 70%가 인천에서 오고 서울과 부산에서 오는 고객은 30%정도였다. 인천 뿐 아니라 서울과 부산에서도 상당한 상인들이 몰려들어 미곡 거래에 참여하고 있었던 것이다. 정기미 거래는 1898년에 발생한 대규모 투기로 인하여 인천미두취인소가 9월 7일 영업을 마지막으로 해산되면서 정지되었다. 그러나 곧바로 인천에서 일상(日商)을 중심으로 재설치 요구가 나오면서 1899년 다시 시작되었다. 이 배경에는 한상(韓商)이 취인소의 설치를 통해 이익을 가져갈 것이라는 우려가 큰 역할을 하였다. 인천에 미두취인소가 다시 설치되자 이번에는 부산의 일상들도 취인소를 설치해 달라는 청원을 일본 정부에 올렸다. 이는 추가적인 개항으로 인한 무역의 침체와 무리한 투자로 인한 일상들의 손해를 만회하기 위한 조치였다. 그들은 미곡 집산 기능의 제고와 공매매를 통한 이윤의 확대에 주목하고 경제적 위기의 돌파 수단으로 취인소의 설치를 선택한 것이다. 그러나 정기미 거래에 따른 폐해에 대한 일본의 우려, 『동양경제신보(東洋經濟新報)』 등 일본 국내 여론의 악화, 제일은행 부지배인 이치하라 모리히로(市原盛宏)의 부정적 견해 등으로 부산의 취인소 설치는 보류되었다. 1904년에도 일본의 유력자들이 부산에 취인소를 설립하려는 계획이 있다는 소문에 자극을 받은 부산의 상인들이 다시 한 번 취인소 설치를 위해 청원서를 제출하였다. 그러나 이 역시 일본 정부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정기미 시장은 ‘미래의 쌀값’라는 가상 상품에 투자할 수 있는 제도로 수출 여부와 관계없이 이윤을 낼 수 있었던 새로운 시장이다. 따라서 수출과 정기미 거래의 차이는 활성화되는 시점에서도 차이가 났다. 자연적 조건과 벼농사의 계절별 특성으로 인하여 수출이 감소하여 자본의 회전의 공백이 발생하는 시기와 정기미 거래로 많은 이익을 볼 수 있는 시기가 우연히 맞아 떨어졌다. 따라서 정기미 거래로 유휴 자본이 추가로 회전할 수 있는 조건이 형성되었다. 즉 자본 회전의 공백기를 파고들 수 있었던 장이 바로 정기미 시장이었던 것이다. 이와 함께 당시 조선과 일본의 미가 차이가 줄어들어 당장 수출이 어려울 때 개항장의 창고에 미곡을 보관하고 이를 담보로 은행에서 자금을 대부하여 금융의 유동성을 확보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개항기 인천은 은행과 창고가 잘 갖추어져 있었고, 서울에서도 금융지원을 받을 수 있는 장소였다. 그래서 당장 수출이 어려운 경우 일단 인천으로 쌀을 보냈던 것이다. 이처럼 미가 상승을 기다리는 재고미가 경인지역의 금융 시장과 만나면서 정기미 시장이 작동하는 또 하나의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자본 고정을 피하고 끊임없이 회전하려는 자본의 속성이 잘 드러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정기미 시장의 활성화는 기존 미곡 시장과는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는 새로운 시장이 열리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본가의 입장에서는 이를 활용하여 위험을 분산시켜서 손실 위험을 회피하는 한편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즉 현물거래와 선물거래 사이에서 투자처를 선택할 수 있는 여지가 마련되었던 것이다. 이는 판매자의 입장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당장 미가가 낮아 판매를 통해 손실이 발생하거나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는 정기미 시장을 통해 손실을 만회하거나 새로운 거래처를 확보할 수 있었다. 이렇게 정기미 시장을 통해 선택지가 다양화되면서 미곡 시장에서 또 하나의 선택지이자 변수로 작동하고 있었고, 미곡 수출이 양적으로 확대되는 과정 속에서 정기미 시장을 통해 자본은 끊임없는 자기복제와 확산을 반복하였던 것이다.

    영어초록

    Following the start of the massive rice export in 1890, the rice price in the market in the opened port area went through severe fluctuations as it came under complex influences of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factors. Accordingly, the Japanese merchants in the enterprise began to deal in regular rice to avert the risk involved in this market volatility. The contemporary rice market in the opened port area could predict mid-to-long-term rice price changes to some extent depending on good or poor harvests, but short-term changes were unpredictable. Hence, a regular rice market was born when the Incheon Rice and Soybean Exchange was created in Incheon in 1896 for the purpose of reducing transaction risks from the continuous rice price volatility and supplying rice at a fixed price instead.
    After the regular rice market was created, non face-to-face transactions were made available to buy or sell rice. To make profits through international trade in rice, merchants required absolutely reliable business partners and got steamboats lined up just in time for their deals. Moreover, they had to take into account various factors including warehousing charges, insurance premiums, and discounts on a documentary bill of exchange. However, in the periodic regular rice markets that put the rice trade into an institutional framework and turned the rice trade into a non face-to-face transaction, anyone could make profits by deploying capital. This expanded the scope of merchants who could participate in the rice trade. In 1904, 60% of the customers who patronized the exchange were Japanese and 40% were Korean. By region, 70% of the customers came from Incheon and about 30% came from Seoul or Busan. Added to the 70% composed of Incheon-based people, quite a few merchants flocked from Seoul and Busan to participate in the rice trade.
    The periodic regular rice trade came to a stop when the Incheon Rice and Soybean Exchange was disbanded as of September 7, 1898, following massive speculation that occurred earlier that year. Shortly thereafter, however, it resumed operation in 1899 as people, led by Japanese merchants, clamored for its reinstatement. The concern that the Korean merchants should reap the profits from the installation of the exchange was largely responsible for its restoration. When the Incheon Rice and Soybean Exchange was restored, the Japanese merchants in Busan in turn submitted a petition to the Japanese government, asking for the creation of an exchange in the southern port city. This was a measure designed to recoup losses that the Japanese merchants suffered from the depressed international trade from additional port-opening measures and their risky investments. They focused on increasing their earnings by upgrading the rice collection function and cross trading and chose the installation of an exchange as a means to weather the economic crisis. However, the creation of an exchange in Busan was put on the backburner due to Japan’s concern about the problems caused by the regular rice trade, the increasingly unfavorable public opinion in Japan as witnessed in Toyo Keizai Shimbun (東洋經濟新報), and the negative view of Ichihara Morihiro (市原盛宏), who was the vice manager of Cheil Bank. In 1904, once again prodded by the rumor that some Japanese magnates were planning to install an exchange in Busan, Busan-based merchants submitted a petition for the creation of an exchange. Again, the initiative fizzled out when the Japanese government objected.
    The regular rice market, which represented a system in which people could invest in the virtual goods of the future rice price, was a new market that could make profits regardless of whether rice was being exported. Accordingly, the differentiation between the exported rice and the regular rice was pronounced even as the market was being activated. The magic was the coincidence between the time of the year when the natural conditions and the seasonal characteristics of rice paddy farming caused a drop in exports and created an absence in the capital circulation and the time of the year when people could see great profits from regular rice transactions. Thus, the regular rice trade created the condition in which idle capital found more room for further circulation. In a nutshell, the regular rice market was a venue that exploited the vacancies in capital circulation.
    In addition, when a diminished rice price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Japan made immediate exports impossible, people tried to keep the rice in the warehouses in the open port area and acquire financial liquidity from banks using it as security. Incheon during the Open Port Period was well equipped with banks and warehouses and could also find financial support from Seoul. Thus, when exports could not proceed immediately, merchants sent rice to Incheon. As leftover rice that waited for the next rice price hike combined with the financial market in Seoul and Incheon, the operation of the regular rice market gained additional traction. This phenomenon excellently demonstrates how capital resists getting fixed and seeks ceaseless circulation instead.
    This activation of the regular rice market meant the creation of a new market that would operate differently than the previous rice markets had. To capitalists, it represented a good opportunity to hedge risk to avert the risk of loss on the one hand and create additional profits on the other. In other words, it gave the investors a choice between spots and future transactions. The same was true of sellers. When the rice price was low and any sale would incur a loss or no deal was in sight, they could recoup their loss or find new business partners through the regular rice market. Thus, because people found diverse choices in the regular rice market, it served as another option and variable. As rice exports grew in volume, capital was repeating its endless self-reproduction and expansion through the periodic regular rice mark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