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설텍스트의 읽기능력 신장을 위한 질문 전략 연구 -이상 <날개>를 중심으로 - (The study of questioning strategy for developing the ability to read literary text -Focused on Sang-Lee -)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1.06
43P 미리보기
소설텍스트의 읽기능력 신장을 위한 질문 전략 연구 -이상 &lt;날개&gt;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서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서연구 / 25호 / 237 ~ 279페이지
    · 저자명 : 원자경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독자를 이상적인 독자(숙련된 독자)로 이끌기 위한‘자기 평가 질문법’을 활용하여 ‘타당한’ 해석에 이르고, 이를 통한 학습독자의 내면화의 반응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본 논문의발문전략은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을 개정하여 문학텍스트에 적용한Dong Buehl의 “소설을 위한 자기-질문 분류학(Taxonomy Self-Questioning Chart for Literary Fiction)”의 질문법을 참고하였다. 대상 텍스트는 이상의소설 <날개>이다.
    이상의 소설 「날개」는 주인공의 내면 의식을 서술한 심리소설로 학습독자 스스로 읽고 이해하기가 난해한 작품이다. 그러한 상징성이 강한 소설은텍스트 내적 분석을 통한 텍스트 이해가 선행되어야 내면화의 반응이 역동적으로 일어난다. 텍스트 분석은 교사의 텍스트를 읽기 전에 어떻게 읽을것인가를 지도하여 텍스트를 구체적으로 경험시켜야 한다. 문학 텍스트를읽고 내면화를 통한 감동은 단순한 정서적 느낌이 아니다. 인지적 사고의작용을 통한 미적가치의 경험이다.
    그러므로 학습자가 스스로 문제를 발견할 수 있는 수준 높은 학습독자가아니거나, 「날개」처럼 난해한 텍스트는 교사의 안내에 따른 중재학습 경험(mediated learnning experience)이 필요하다. 교사가 전략적이고 적절한 사고(思考)형 발문을 활용하여 학습독자가 능동적으로 텍스트를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Dong Buehl이 제시한개정 분류학(Rivised Version Taxonomy)의 6가지 단계별 유형의 사고(Level of thinking)-기억하기(Remembering)/이해하기(understanding)/적용하기(Applying)/분석하기(Analyzing)/평가하기(Evaluating)/창안하기(Creating)-의 사고활동을 수정보완하고 이에 정의적 영역의 활동을 통합하여 질문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질문 전략은 학습독자의 텍스트 이해 능력과텍스트 수용 능력을 높일 뿐 아니라, 역동적인 반응을 사고력 증진에도 매우효과적이다. 이러한 질문 전략의 효과를 학습독자들이 수업 후 작성한 비평적 감상글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at ‘Self assesment questioning’ can make students interpret properly as ideal readers and make them internalize actively. The questioning strategy of this thesis is affected by Dong Buehl’s Taxonomy Self-Questioning Chart for Literary Fiction which revised Bloom’s Taxonomy. Object is novel “Nal-Gae” by Sang-Lee.
    The novel “Nal-Gae”, written by Lee. Sang, is a psychological novel which describes a main character’s inner side, so students can hardly make a huge response to the novel by themselves. Only if they understand a text by analyzing a text, there would be a dynamic response to internalization. Text analysis is needed to be concretely experienced by studying how to read before students read the text. The sensation through internalization from a literature is not a simple emotional feeling but an experience of an aesthetic value from the cognitive thought.
    Therefore, when students are not available to find questions by themselves or text is difficult to understand like “Nal-Gae”, Mediated Learning Experience by teacher’s guidance is needed. Teachers are needed to use strategic and appropriate questions to guide students to understand and experience texts. In this point, Dong Buehl proposed Revised Version Taxonomy which six levels of thinking : thinking, remembering,understanding, applying, analyzing, show mental activity. This kind of questioning strategy improves not only readers’ understanding ability and capacity of texts but thought ability. The effect of this questioning strategy was verified by critical report of stud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