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두 개의 이름 사이 : 염상섭 소설에 나타난 언어적 혼종성의 문제 (Between the Two Names-Study on the Colonial Diaglossia in Yeom Sang-seop’s Novel)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4.10
26P 미리보기
두 개의 이름 사이 : 염상섭 소설에 나타난 언어적 혼종성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대문학연구 / 30호 / 127 ~ 152페이지
    · 저자명 : 안서현

    초록

    이 논문은 염상섭의 언어 관련 산문에 나타난 그의 언어의식을 추적하고, 나아가 그것이 소설창작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에 관해 논의하였다.
    염상섭은 언어를 민족 정체성과 불가분리의 관계를 지닌 매개체로서 이해하고 있었으며, 식민 치하에서의 각종 조선어 규범화 시도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고 그 과정에서의 민족 주체성에 대해 강조하는 시각을 드러내는 글을 남겼다. 또한 그는 한자의 섣부른 절용이나 폐지를 비판하는 한편 일본식 한자 읽기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등 당시의 식민지적 언어상황에서 ‘한자’라는 언어적 혼종성의 영역이 지니는 의미에 관해 명확한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염상섭은 식민자와 피식민자의 관계 혹은 정체성 정치의 문제를 ‘이름 읽기’의 모티프를 통해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소설적 형상화의 방식을 취한다. 가령 「숙박기」에서 조선인의 이름에 대한 일본인의 ‘일본식 한자 읽기’는 그들이 조선인들에게 덧씌우고자 했던 피식민적 정체성이 무엇이었는지를 잘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한 조선인 인물의 대응은 같은 언어 속의 상이한 맥락의 존재 즉 이중언어성(diaglossia)을 밝히고 단일한 식민담론에 균열을 내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1950년대에 창작한 소설 「싹트는 애국심」에서는, 조선의 한 중학교에 ‘낯선 이름’으로 침입하여 기존의 민족적 통치 질서를 부정하고 착취와 억압의 식민적 지배 질서를 정당화하고자 하는 식민자들을 형상화하며, 그들의 이름에 대한 ‘조선식 한자 읽기’를 통해 감추어져 있는 식민자의 정체성의 실체를 폭로하고 있다. 이 역시 식민지적 이중언어성을 활용하여 거둔 텍스트의 정치적 효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intended to observe a language attitude of Yeom Sang-seop and discuss as to how it was reflected for his novel writing. Yeom Sang-seop had paid much attentions to language problems in preservation of ethnicity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and in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ethnicity since the liberation.
    Therefore, he expressed lots of interests in language standardization issues and participated in disputes over those issues himself. Under these controversial issues, he had a clear view on subtle existence of language mixture from ‘Hanja (Chinese character)’ under colonial bilingual environment arguing that there were some negative effects caused by Japanese reading method of Hanja and its education while he also suggested Hanja shouldn’t be abolished.
    And Yeom Sang-seop represented this struggle for language appropriation using ‘Hanja’ between colonial rulers and subordinates. For instance, Yeom, from his novel “A Record of Lodgement”, showed Chosun identity discourse that Japanese intended to paint on people of Chosun from ‘Japanese reading method of Hanja’. Moreover, one of his novels “Sprouting patriotism” written in 1950s showed characteristics of Japanese colonial power with ‘Chosun type of Hanja reading’. Indication and exposure of language mixture and colonial diaglossia from ‘Byun Chang Gil’ or ‘Han Sang’ in each novel created a crack of singe voice of a single colonial rul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