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남지역 세장방형 石蓋竪穴式石槨의 석재와축조 기술 (A Study on the Stone Material and Construction Technology of the Sejangbang Style Pit Grave with Stone Cover of the Yeongnam Regi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6.06
30P 미리보기
영남지역 세장방형 石蓋竪穴式石槨의 석재와축조 기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고학보 / 99호 / 108 ~ 137페이지
    · 저자명 : 홍보식

    초록

    본고는 창녕 교동·송현동고분군과 고령 지산동고분군, 함안 도항리고분군, 고성 송학동·율대리·내산리고분군 등 5~6세기 영남지역 세장방형 석개수혈식석곽의 성립과 고분군별 축조 공법 차이의 주요인을 주위에서 획득 가능한 석재가 지닌 특성과 결함의 극복이란 관점에서 접근해 이 문제를 검토하였다.
    석곽의 주 사용 석재의 결함을 극복하기 위한 공통적인 전략은 봉분의 하중압을 견디기 위해 벽체에 닿지 않은 개석 下面 면적을 줄이기 위해 석곽의 너비를 좁게 하고, 후장의 매장관념을 구현하기 위해 석곽 길이를 길게 한 결과, 평면형태가 세장방형을 취하게 되었다. 그리고 봉분과 개석의 하중압에 취약한 두께가 얇고 길다란 할석에서 상부 하중압에 강하면서도 분산하는 소형의 할석 형태로 가공하여 벽체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진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개별 고분군의 극복 전략으로서 교동·송현동고분군의 수혈식석곽은 양쪽 장벽을 안으로 기울게 쌓아상단 너비를 좁혀 벽체에 닿지 않은 개석 하면 면적을 줄이는 공법을 구현하였다. 지산동고분군은 점판암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석을 이중으로 설치하거나 좌우 개석의 가장자리를 겹치게 하여 봉분의하중압을 지탱하고자 하였다. 도항리고분군은 개석 하면을 지지하기 위한 목재시설을 설치하여 개석의반절과 전락을 방지한 공법을 적용하였다. 고성지역 일대의 고총고분은 봉분 하중압이 석곽 붕괴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위치에 석곽의 구축을 모색하여 봉분 하부를 조성하고 그 위에 석곽을 구축하였는데, 봉분 하중압으로부터 개석이 반절된 예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그러나 봉분 다짐이 철저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부동침하와 횡압이 진행되면서 석곽 벽체가 양쪽으로 밀려 들어오거나 한 방향으로 밀려나고, 바닥면이 불균일하게 침하하면서 석곽이 심하게 붕괴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stablishment of the Sejangbang style pit grave with stone cover, examples of which include the ancient tombs of Changnyeong Gyodong and Songhyeong-dong, Goryeong Jisan-dong, Haman Dohangri, and Goseong Songhak-dong, Yuldae-ri and Naesan-ri. In this study, the establishment and construction technology of the tombs was considered from the position that the stone material used was selected according to its presence nearby, and that construction methods were influenced by the ne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stone material.
    A common strategy us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stones used to construct the tomb was to reduce the width of the tomb in order to reduce the area covered with stone; this allowed the load pressure to be reduced.
    This was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stone tomb, which was required according to the needs of a ‘rich burial’. The result of this was the Sejangbang (elongated rectangle) style tomb. One of the strategies us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stone was to make the stone walls slant inwards so that the width of the top area covered with stone was reduced — this was the case for the Changnyeong Gyodong-Songhyeong-dong tombs. In the case of the Goryeong Jisan-dong tombs, in order to overcom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y-slate stone used for the wall and covering, the width of the stone cover was reduced and double layers of stones were placed, or stones were overlapped along the edge of the side stones, in order to support the load pressure. As for the Haman Dohang-ri tombs, where thick slabs of clay-slate stone were used as covering, a wooden facility was installed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stone cover, in order to prevent the tomb from caving inwards due to load pressure. Finally, the tombs of the Goseong area were established at locations were tomb load pressure did not lead to stone tomb destruction. Therefore, after establishing the bottom section of the tomb, the rest of the stone tomb was established on top. As a result, while there were relatively few cases in which the stone cover was fragmented, the stone burial pit was seriously destroyed by uneven erosion of the ground and the horizontal pressure of the tomb.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