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맞춤형 광고와 개인정보보호 ― 미국 사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Behavioral Advertising and Privacy Protection - A Comparative Study with U.S. Cases -)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7.12
39P 미리보기
맞춤형 광고와 개인정보보호 ― 미국 사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국헌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미국헌법연구 / 28권 / 3호 / 111 ~ 149페이지
    · 저자명 : 안정민, 최경진

    초록

    본 논문은 맞춤형 광고가 활발하게 활용되는 미국과 우리나라의 맞춤형 광고에 대한 규제를 비교하여 맞춤형 광고의 긍정적인 활용과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규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맞춤형 광고는 개인정보가 활용되는 하나의 사례일 뿐이고 이용자의 행태정보를 수집하는 기술의 발전과 다양한 서비스의 등장은 지속적으로 개인정보 보호의 문제를 제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현행 개인정보보호 체계가 충분히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호하고 있는지, 개인정보보호법제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미국 인터넷 기업의 개인정보 처리 현황을 살펴보고, 개인정보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그 실태를 미국의 법제와 함께 비교ㆍ분석하였다.
    문헌과 사례를 통해서 본 미국은 자율규제를 중심으로 개인정보보호를 추구하기 때문에 맞춤형 광고가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지만 그 만큼 개인정보는 보호되지 못하고 있다. 반면에 우리나라는 법으로 강력하게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있어 관련 산업은 위축되어 있지만 상대적으로 이용자 보호는 더 잘 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맞춤형 광고를 포함한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에서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것은 정보의 활용을 통한 산업의 발전만큼 중요한 가치를 가지므로 정보주체인 이용자를 보호하면서도 그 정보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 비록 그 실효성에 대한 논란은 있으나 – 비식별 가이드라인이나 맞춤형 광고 가이드라인 등의 제정과 같은 정책적 시도는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추후 이러한 가이드라인의 법적 불명확성을 제거하면서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활용될 수 있는 방향으로 법제를 정비한다면 개인정보의 보호와 활용 사이의 균형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compares Korea's regulations on behavioral advertising with those of the United States, where behavioral advertising is used more widely. In doing so, it aims to provide a regulatory direction that will lead to positive utilization of behavioral advertising and privacy protection. Behavioral advertising is only one example of how personal information may be used. As technology for collecting behavioral information develops and various services are introduced, the issue of privacy protection will continue to arise. To determine whether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of Korea sufficiently protects users' rights in the changing market environment and propose a future direction, this paper examines how personal information is dealt with and used by Korean and U.S. Internet companies and offers a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each country's legislation.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ies show the United States promotes privacy protection through self-regulation. As a result, behavioral advertising is actively used, but personal information is not as well protected. On the other hand, Korea has strict privacy protection laws, under which users are relatively better protected, but related industries have struggled to develop. In many online services including behavioral advertising, user information is a valuable re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relevant industries. Therefore, it would be ideal if such information could be used without compromising privacy. In that sense, policy initiatives such as pseudonymization guidelines and behavioral advertising guidelines are commendable - despite controversy over their efficacy. If the legal ambiguity of these guidelines could be eliminated and personal information could be safely utilized through legislative efforts in the future, a balance may be achieved between privacy protection and use of personal inform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2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