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바일 게임산업환경에서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법정책적 고찰 (A Law and Policy Study on the Privacy(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the Mobile-Game Industr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6.06
29P 미리보기
모바일 게임산업환경에서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법정책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정책학회
    · 수록지 정보 : 법과정책연구 / 16권 / 2호 / 3 ~ 31페이지
    · 저자명 : 박종현

    초록

    개인정보보호법의 제정·시행 이후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고 실질적 보호를 위한 체계가 마련되었지만, 반면 개인정보 관련 모든 분야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내용으로 인하여 보다 현실적이고 구체적 상황에 적합한 보호 정책 마련의 목소리 또한 높다. 게임산업의 경우 회원가입이나 본인확인, 연령에 따른 서비스 제공, 결제의 과정 등에서 개인정보의 수집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개인정보보호법의 규율을 받고 있다. 이러한 법적 규제는 최근 게임산업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모바일 게임환경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데, 서비스 제공의 메커니즘이 다층적이고 복잡한 모바일 게임환경에 지금의 개인정보보호법의 적용이 적절한지 여부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실제 모바일 게임 서비스의 과정을 넓게 보면 개인정보의 흐름을 쉽게 포착할 수 있지만 이들은 대체적으로 디바이스의 구입, 개통 혹은 앱 구입을 위한 마켓 가입, 플랫폼 가입 등 게임서비스 제공 그 자체가 아닌 그 주변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임에 주목해야 한다. 오히려 게임서비스 자체의 과정에서의 개인정보의 흐름은 필요최소한으로 한정되어 있고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데 개인정보 수집·보관으로 인한 법적 부담에서 자유롭고 싶어 하는 사업자들의 의식적인 노력의 결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개인정보보호법이나 게임산업 관련법에서는 게임서비스 제공자에게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일반적이며 상당한 의무를 부담시키고 있는데 실제로 개인정보를 수집하거나 저장하지 않는 일반적 경우에 이러한 규제는 현실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게임산업, 특히 모바일 게임산업환경에 적절한 개인정보보호 정책의 마련이 요구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개인정보 흐름의 구체적 상황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더불어 기술 발전에 상응하는 개인정보의 범위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며 모바일 게임환경의 특수성과 글로벌 환경에서의 정책의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해 자율규제의 도입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As the modern society has been changed to the informative society from the traditional industrial society, they put a great importance on the significance of protection of private information. After enforcing Privacy Protection Law, Korean society constructs the protection system of personal information. However, some strongly criticize it is a sort of over-watch or control of privacy because it does not reflect specific situation of each field into new legal system and the law itself sometimes put a heavy burden on the industry which collects and uses private information under its business model. So we need a careful approach to establish a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policy to meet with needs of citizens and companies.
    Usually, as the first step of building an enforcible protection system of private information, we should fix the boundary of what the private information is. Under the Korean legal system, the meaning of private information is too broad to put a proper burden on obligators (usually companies). So several countries, such as U.S. and Japan, take a self-regulation system in the matter of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in a private sector. Self-regulation system is usually welcomed in a social field in which regulation cost is high, but the benefit of regulation is small or unpredicted. In this aspect, we can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self-regulation system in mobile game industry regarding protection of private information.
    Mobile-game industry has suffered from extremely heavy burden on protection of private information under Privacy Protection Law which does not allow any excep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regulated fields although mobile game industry actually does not collect private information but just technical information(serial number) of game devices to do proper game service to users. Technical information which is used by mobile-game industry is not identifiable for subjects but unstructured dataset.
    Also, the globalization of game industry makes policy-makers to reflect other countries policies, such as self-regulation policy of the U.S., regarding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to set up an effective standard which all regulated subjects fully obey. Therefore, this is a proper time to establish a more effective system of protecting private information in mobile game industry by reducing a gap between reality and nor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과정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