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아무개 하(下) 무반직’ 구문의 의미와 영(領) 운영 (The “Military Officer under Certain One” Phrase and the Role of General (將軍) of Goryeo Dynast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22.09
34P 미리보기
고려시대 ‘아무개 하(下) 무반직’ 구문의 의미와 영(領) 운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연구 / 198호 / 1 ~ 34페이지
    · 저자명 : 이미지

    초록

    무반 묘지명에 간혹 관찰되는 ‘아무개下무반직’은 정인경의 정안에 나타나는 인사발령 기록을 볼 때 ‘OO위 OO령 장군 아무개 下 무반직’의 축약형이라 생각된다. 이는 장군 아무개가 이끄는 領 내에 소속된 중랑장 이하 무반직의 소속을 표현하는 기본 구문이자 인사 발령 시 피발령자의 소속을 명기하는 필수 구문이었다. 군인의 경우에도 같은 방식으로 소속을 구분하였으리라 생각된다. 고려시대 병제에서 영은 병력을 운용하는 기본 단위이기도 했지만, 인사 행정 역시 영을 기본 단위로 하여 운영되었다. 이는 무반 인원의 소속이 ‘장군 아무개 下’로 표현되었고 무반직의 인사이동이 장군 명의의 영 간에 시행되었던 점, 장군에게 배속된 영을 해당 장군의 本領이라 지칭했던 점 등에서 확인된다. 이렇게 볼 때 고려시대 장군의 직위는 병력과 무반 조직을 아울러 통제하고 운영하였던, 무반의 실질적인 관리자였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무반 조직의 기본 구성이 고려 전기로부터 후기까지 지속적으로 유지∙활용되었음을 일본 다이고지 호온인에 소장된 정동행중서성 문서 등에서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무반의 소속을 표현하는 ‘아무개下무반직’ 구문은 무반 조직 내에서 뿐 아니라 고려 관인 조직 전체에 통용되던 구문이었으리라는 점을 『이재난고』 신축일력에 전사된 김운보 녹패를 통해 추정해 보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brief report of pursuing a short phrase of “[Person’s Name]+下(under)+[Military Position]” which is observed in several Goryeo epitaphs commemorating individual military officials and the transcripts from the fourteenth century such as the Transcript of the careers of Jeong In Kyung (鄭仁卿定案).
    Analysing and comparing the samples from the various contexts it is highly considered that this phrase is a shortened form of a longer phrase of “[Name of] 衛(Force)+[Name of] 領(Corps)+General [Person’s Name]+下+[Military Position]” which shows the affiliation of the military post holder. The personnel transfers among the lower rank military posts from a soldier to senior colonel (中郎將, rank 5) were stated in this certain phrase especially in the transcript of careers. This possibly means that the general, who had been assigned in each individual corps from as early as the eleventh century, was actually in charge of the corps not only in the military operation but in the personnel management throughout the dynasty. It is also an interesting point that the name of each general appears in the form of two syllables only. Those two syllables might be either the given names without their family names or a composition of the family name and the single syllable name.
    The shortened phrase also could be found in the Transcript of wage statement (祿牌) in the fourteenth century. With this sample we can see that this “[Person’s Name]+下+[Military Position]” phrase functioned as an official form showing the affiliation of individual military officers not only in the circle of military division but also in the whole bureaucratic community of the Goryeo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