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항기 譯官 金景遂의 對外認識 -『公報抄略』을 중심으로- (The Perception about Foreign Countries by Kim Kyeongsu, an Interpreter, during the Period of Opening of Port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2.08
29P 미리보기
개항기 譯官 金景遂의 對外認識 -『公報抄略』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41호 / 307 ~ 335페이지
    · 저자명 : 백옥경

    초록

    金景遂(1818~?)는 개항을 전후한 시기에 활동하였던 漢語譯官이었다. 김경수는 역관 집안 출신이라는 성장 배경과 자신의 사행경험을 통해, 청 중심의 동아시아 질서가 무너지고 서양이 그 자리를 대신하던 현실을 일찍부터 간파하고 있었다. 이에 서양을 인정하는 사유방식의 변화를 경험하면서, 그는 서양과의 통교 가능성을 열어두는 한편, 자연스럽게 富國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후 六橋詩社 활동과 강위와의 만남을 통해 그는 개국의 필요성과 富國에 대한 인식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고, 서구문물의 수용에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던 동인들과도 활발하게 교유하게 되었다.
    『공보초략』은 1879년 김경수에 의해 간행된 서적이었다. 이 서적은 서양에 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소개한 청나라의 『교회신보』와 『만국공보』에서 조선에 도움이 될 만한 항목들을 선별하여 게재한 것이었다. 이 책의 간행 목적은 조선이 처한 국제적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內修外攘에 두고 있었다. 그러나 그는 배타적인 外攘을 주장한 것은 아니며, 오히려 부국강병을 위해 外攘의 대상이 되어야 할 서양을 통해 문물을 받아들이고 배워야 할 것을 강조하였다.
    이를 위해 김경수는 『공보초략』을 통하여 청과 조선의 현실을 진단하고 서양과 일본을 소개하였다. 이미 부강한 서양과, 부강한 서양의 모방에 성공한 일본의 현실을 조선에 적극 알리려 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김경수는 서양의 다양한 문물들 특히 자연과학, 기술과 관련된 면들을 소개하였다. 이를 통하여 조선인에게는 새로운 과학기술에 대한 호기심을 충족시켜 주면서도 서양에서 발달하고 있는 문물에 대한 지식정보를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하였다. 1870년대 전반까지도 조선 내에서는 서양화에 대한 주장이 쉽게 수용될 수 있는 상황은 아니었다. 그러나 그는 1880년대 서양 문물 수용 논의가 본격화되기 이전에 이미 東道에 기반한 서구문물의 수용을 주장하면서, 당시 서양을 알려는 조선인들의 근대 서양 지식의 획득에 크게 기여하였던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영어초록

    Kim Kyeongsu was an official interpreter who had worked at the period of Opening of Ports. He earlier saw through the situation when the Western occupied the international order instead of Q’ing which was centered on the Eastern Asia at that time, but it was collapsed. He experienced the change of thought, tried the possibility of cultural exchange with the Western, and concerned about a national wealth. After that, he developed to realize the necessity of opening the country to oversea and the national wealth more than before, kept actually company who had friendly the attitude of accepting the western culture.
    Gongbochoryak(公報抄略) was the book which was published by Kim Kyeongsu in 1879. This book was that Gyohoisinbo(敎會新報) and Mangukgongbo(萬國公報), which was major media introduced the information of Western in Q’ing, selected items to help Joseon and described them. They introduced the western situation and the western civilization mostly from 1869 to 1876. The purpose published this book was to overcome the international reality which Joseon encountered at that time. He described his opinions that it was a wise choice that Q’ing had better have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the Western if Q’ing had no practical power, after he saw Beijing’s Accident in Q’ing. He insisted that Joseon should plan to enhance the national prosperity and defense rather than to defeat the Western countries unconditionally. Therefore, He emphasized that Joseon had to accept the civilization through Western which would be the object to be defeated and to learn it.
    For this purpose, Kim Kyeongsu introduced the reality of Western and Japan through Gongbochoryak(公報抄略). He tried to inform actively Joseon of the success of Japan which copied the Western style. And he also introduced various Western civilization, specially about the natural science and technology. He played a role to inform Joseon peopl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the Western civilization to be developed with satisfying the curiosity about new scientific technology.
    It made his position to accept the Western civilization that was still the subject to be argued in Joseon at that time. Western painting was not to be accepted easily until the early 1890. But he emphasized to accept the Western civilization based on Eastern way through Gongbochoryak(公報抄略). He had the understanding on foreign countries to consider two things which Joseon had not to fall behind the international order which was centered on the Wester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