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법제상의 추적가능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ceability system of the protection ofthe personal information in Korea)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1.02
34P 미리보기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법제상의 추적가능 시스템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토지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토지공법연구 / 52권 / 295 ~ 328페이지
    · 저자명 : 박정훈

    초록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이미 우리들은 일상에서 핸드폰·랩탑(laptop)·팜탑(palmtop)·PDA·RFID태그부착교통카드 등의 사용이 보편화되었으며, 최근 일상의 혁명을 초래하고 있는 스마트폰·페이스북의 보급은 ‘손안의 PC’ 시대를 열면서 새로운 패러다임의 정보환경을 개척하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이들 기술시스템들은 무선통신을 통한 유비쿼터스센서네트워크(UNS)의 구축에 기여함과 동시에 한결같이 추적기능이 있어 추적가능시스템(traceability system)에 이용됨으로써 프라이버시 및 개인정보보호의 문제점을 야기할 우려가 있다는 점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유비쿼터스 환경을 직시하고 현재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개인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추적가능시스템의 기술적 유형, 개인정보침해의 구조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EU·미국·일본의 경우에 입법동향 및 실태를 파악하여 우리나라 개인정보법제상 위치정보보호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장래에 적용가능한 입법적·해석적 측면에서 정당화의 보호기준을 검토·제시한다.
    결론적으로, 모든 사물과 사람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개인의 위치정보가 자신도 모르게 추적되는 반면에 쇼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더욱 강조되고 있기 때문에 개인위치정보의 보호를 위해 근대적인 자기정보통제권에 기초한 위치정보 수집·이용·제공에 대한 사전적 동의(consent)의 원칙은 현실적으로 실현 불가능하며, 유일한 대안은 추적가능기기를 소지한 자에게 추적위험성에 대한 충분한 사전적 설명과 이를 전제로 한 개인의 자기정보에 대한 이니셔티브(initiative)를 부여하는 것이다. 특히 국가안전보장·질서유지라는 기본권제한 법리에 근거한 ‘통신비밀보호법’상 범죄수사 등을 목적으로 한 위치추적의 정당화기준은 이미 독일에서 확립된 비례원칙을 구체화한 “je-desto”공식에 따르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영어초록

    With a adv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using a cell phone, laptop, palmtop,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commuting fare card, and etc have already been in common. In recent years, a spread of smartphone innovating daily life helps people easily shift paradigm on ubiquitous network, opening a world of PC on palm. However, these technologies contribute to build the wireless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with tracking function. Thus, a traceability system using a tracking function makes people confront the problem to disturb their privacy and personal information. This thesis faces a ubiquitous network and it overlooks technical types of a traceability system creating a troublesome location information of person in the society and a structure to encroach personal information. Finally, it presents a legal analysis and problem on misuse of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and it suggest a direction to improve a legal system in the future and a standard of interpretation as a solution, understanding a tendency of legislation and realities in the US, Japan and E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토지공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