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가 된 어머니> 설화에 투영된이중적 가치와 의미 (Double Values and Meaning in “The mother who was reincarnated as a dog” Tal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24.01
29P 미리보기
&lt;개가 된 어머니&gt; 설화에 투영된이중적 가치와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47호 / 335 ~ 363페이지
    · 저자명 : 한서희

    초록

    설화는 오랜 세월을 거쳐 유전하는 동안 시대의 가치와 이념, 향유집단의 욕망과 좌절 등을 담아내게 된다. 따라서 한 편의 설화에도 다양한 의미가 중첩되어 전승될 수 있기에 설화를 해석하고 의미를 이해함에 있어서 단선적인 시각으로 바라봐서는 안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입장에서 <개가 된 어머니> 유형의 설화를 살펴보고 설화의 전승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개가 된 어머니> 유형 설화의 서사구조를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서사의 주체인 어머니의 입장에서 ‘문제의 제시→문제 해결의 시도→문제의 해결’이라는 삼단의 서사구조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각 서사의 단계에 따라 어머니에게 부여된 죄와 벌, 속죄의 방법인 ‘개로 환생하여 세상 구경하기’와 ‘아들의 부자 되기’라는 결말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밝혀 해당 설화의 전승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서사구조의 분석을 통해 <개가 된 어머니> 유형의 설화가 두 가지의 전승의미를 갖고 오늘날까지 전승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먼저, 본 설화의 전승의미로 ‘여성의 자기 주체적 삶에 대한 자각과 사회활동에 대한 촉구’를 찾을 수 있었다. 설화 속에서 어머니는 ‘세상 구경도 하지 않고 집안일만 하다 죽은 죄’에 대한 벌을 저승으로부터 받게 된다. 그리고 개의 몸으로 환생하였음에도 세상 구경이라는 과제를 완수해야만 죄에 대한 벌에서 벗어나 온전히 저승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에 어머니는 아들을 원조자로 삼아서 ‘세상 구경하기’라는 문제를 해결하고 저승으로 편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집안일 밖에 몰랐다’는 것은 어머니가 자신의 삶을 살지 못하고 오로지 가족들을 위한 희생적 삶을 살았다는 것이고, 그런 어머니에게 ‘세상 구경’이라는 벌이 주어진 것은 결국 어머니에게 자기희생적 삶이 아닌 주체적 자기 삶을 살아가라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어머니가 주체적 자기 삶을 살지 못한 것에 주요한 원인이 되었던 집은 곧 아들에 대한 집착을 의미하기에 어머니와 아들에 의한 세상 구경하기는 아들과의 완전한 분리를 위한 시간이었다고 할 수 있다. 아들과의 완전한 분리가 이루어졌을 때 어머니는 전생의 업이 소멸되고 여성으로서 주체적 자기 삶을 살 수 있게 된다고 본 것이다. 그리고 여성이 자기 주체적 삶을 살게 된다는 것은 사회활동을 활발히 할 수 있게 된다는 의미라고 할 때, 본 설화의 전승 의미에 전시대와 비교하여 여성들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진일보한 가치가 투영되어 있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본 설화의 두 번째 전승의미로 ‘부계중심의 전근대적 가치관의 노정’을 들 수 있었다. 아들의 도움을 받아 개로 환생한 어머니는 ‘세상 구경하기’라는 문제를 해결하고 마침내 저승으로 온전히 편입된다. 그리고 ‘아들의 부자되기’라는 결말을 통해 원조자인 아들은 복을 받아 잘살게 된다. 이러한 결말이 담고 있는 의미는 전시대의 남성과 부계중심의 가치관의 노정이고, 이것은 본 설화의 주요 전승의미인 ‘여성의 주체적 자기 삶에 대한 자각과 사회활동의 촉구’와 서로 가치 충돌적 의미라고 할 수 있다. 여성의 자기 주체적 삶을 위한 사회활동과 남성과 부계중심적 사고방식은 서로 상호적일 수 없는 가치이기 때문이다. 남성과 부계중심의 사고가 전근대적 시대의 산물이라면 여성이 자기 주체적 삶을 살고 활발한 사회활동을 하는 형태의 삶은 근대 이후의 가치관이자 삶의 형태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가치 충돌의 이중적 관념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유형의 설화가 그 전승이 단절되지 않고 오늘날까지 전승될 수 있는데 이유가 있을 것이다. 이것은 <개가 된 어머니> 유형의 설화에서 보여주는 전근대성에도 불구하고 여성의 자기 주체적 삶에 대한 자각과 사회활동의 촉구라는 진일보한 근대적 가치의 의미가 더 크기에 오늘날 설화 향유자들에게 수용되어 그 전승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라고 보았다.

    영어초록

    Over the course of time, a folktales captures the values of a time, the desires of a transmission group, and more. Therefore, a single folktale can have multiple overlapping meanings, and when interpreting a folktal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overlapping meaning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The mother who was reincarnated as a dog” type of story from this perspective and tri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story’s transmission.
    First, we analyze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The mother who was reincarnated as a dog” type narrative. As a result, we could see that the narrative has a three-stage narrative structure of “presenting the problem→attempting to solve the problem→solving the probl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other, who is the subject of the narrative. I realized that the sins and punishments assigned to the mother at each stage of the narrative, as well as the ways in which she atoned for them, were crucial to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ending of “reincarnating as a dog to see the world” and “making her son rich”.
    Next, we found that the “The mother who was reincarnated as a dog” type of tale had two transmission meanings. It is a “call for women’s self-awareness and social activism” and a “the expression of paternalistic, pre-modern values.” In the story, the fact that the mother only did domestic work and did not see the world is a criticism of her self-sacrificing life, and it means that she should live her life independently in the future. Thus, the first meaning of this story was to urge women, represented by mothers, to recognize their own autonomous lives. In the past, the household represented a paternalistic society, so a mother’s focus on household chores was a self-sacrificing attachment to her son. Therefore, separation from the son is essential for the mother to live her subjective life, and when she finally completes her worldly observation and achieves complete separation from the son, she is able to enter the netherworld. However, the story reveals its pre-modern notions when it adds the additional ending of “making the son rich”. This is where we find the second transmission meaning of the tale, “the expression of paternalistic, pre-modern values.
    However, the two versions of this story have conflicting values. In other words, the pre-modern idea of male-centeredness and the progressive modernization idea of women’s self-determined life collide with each other, and the story of “The mother who was reincarnated as a dog” has a double meaning of transmission. However, despite the double meaning, the tradition continues uninterrupted because the narrators are more in tune with the progressive value of women’s l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0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