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근 개인정보보호법 개정 동향과 보호조직 개선과제 연구 (Study on the Revis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Protection Organizational Improvement)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9.08
39P 미리보기
최근 개인정보보호법 개정 동향과 보호조직 개선과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과학기술법연구 / 25권 / 3호 / 43 ~ 81페이지
    · 저자명 : 김진영

    초록

    4차 산업혁명 주요 기술인 사물인터넷과 블록체인 등이 활성화되면 사람과 사물 그리고 공간이 연결·소통하게 되어 다양한 정보가 축적된다. 이러한 정보는 초기에는 단순 정보조각에 지나지 않지만 상당 기간 축적되고 수치화되면 유의미한 자료가 생성 된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을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빅데이터가 요구되며, 특히 이를 개인 삶에 적용하려면 개인정보가 축적 및 활용되어야 한다. 하지만 금융, 통신 등 국민생활과 밀접한 분야에서 개인정보 대량유출사고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활용만큼 보호조치가 강화되어야 한다.
    개인정보보호법 제정 당시 세밀하게 규정하지 못한 사항을 보완하고 또한 산업기술 발달에 따른 개인정보침해요소 등장에 규제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정이 이루어져 왔다. 역대 정부에서는 개인정보에 관한 산업적 중요성을 인식하고 개별법에서 활용 방안을 검토하였으나 실질적인 개인정보보호조직 개편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2017년 출범한 현 정부는 개인정보의 활용과 보호를 위해 빅데이터 산업활성화 정책 추진과 보호조직체계를 개편하고자 한다. 다만, 이번 정부개정안을 검토해 보면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는 보호조직을 통합하고 체계화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지만 여전히 독립기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에는 부족하다.
    개인정보보호기구 개편은 우선 개인정보보호위원회를 중앙행정기관으로 설정하는 등 법적지위를 강화하여야 한다. 특히 국무총리 등의 감독권한 배제 및 집행권한 부여 등을 통하여 실질 권한을 확보하여야 한다. 더불어 인사권한의 보장 및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 추천기구를 다양화하여야 한다. 그리고 보호위원 신분보장 규정을 마련하여 독립성을 확보하고 기술적 식견을 가진 전문인력 참여를 통하여 보호뿐만 아니라 개인정보 활용을 강화한다. 마지막으로 현행 보호체계 개편 및 효율화를 통하여 분산된 조직을 유기적으로 통폐합하여야 한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실무를 담당하기 위하여 인터넷진흥원의 개인정보보호본부를 이관하고 한국개인정보보호원 등 전문기관을 신설하는 등 적극적 방안을 검토하여야 한다.
    최근 국회에 계류된 다양한 개정안은 개인정보 활용뿐만 아니라 보호조치를 강화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하지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체계개편이 여전히 미흡한 수준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향후 법안소위 등 국회 논의과정에서 적극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various big data is required. Especially, personal information must be accumulated and utilized to apply it to personal life. However, since there is a massive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in areas closely related to people's lives protection measures should be strengthened as much as they are used.
    In the past, the government recognized the industrial importanc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reviewed the utilization plan in individual laws, but the actual reorganiz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rganization was not achieved. Moon Jae-in, who was launched in 2017, intends to reorganize the Big Data Industry Activation Policy and Protection Organization System to utilize and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However, considering the revision of the government, it is still not enough to play a role as an independent organization.
    The reorganiza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rganization should strengthen the legal status by set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mmission as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should secure real authority through the exclusion of supervisory authority by the Prime Minister In addition, it will strengthen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as well as protection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professional manpower with technical insight. Finally, the distributed organization should be organically integrated through the reorganization and efficiency of the current protection system. The Internet Promotion Agency should be transferred and the Korea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gency should be newly established.
    Recently, various amendmen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have strengthened protection measures as well as personal information utilization. However, since the reorganiza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mmission is still insufficient, it should be actively reviewed during the parliamentary debate proc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