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찰정보활동에서의 개인정보보호와 비례원칙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Principle of the Proportion in the Police Intelligence Activitie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0.11
22P 미리보기
경찰정보활동에서의 개인정보보호와 비례원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토지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토지공법연구 / 51권 / 485 ~ 506페이지
    · 저자명 : 조만형

    초록

    현대 정보화 사회에 있어서 컴퓨터에 의한 정보처리기술의 비약적 발전에 따라 정보는 기술상 무제한적으로 신속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수집․처리할 수 있는 환경이 되었다. 특히 국가에 의한 개인관련정보의 수집 및 처리는 국민의 기본권 보장과 심각한 긴장관계에 놓일 수 있으며, 경찰작용 영역에서는 더욱더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정보는 공공의 안녕과 질서에 대한 위험의 방지, 범죄의 예방 및 장래의 위험 방지를 직무로 하는 경찰에 있어서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독일에 있어서 경찰의 개인관련정보의 수집 및 처리활동에 대한 입법적 규제를 획기적으로 강화하는 계기가 된 것은 1983년 연방헌법재판소의 인구조사판결이다. 독일에서는 인구조사판결 이후 경찰에 의한 개인관련정보의 수집․처리는 헌법상 보장된 정보자기결정권에 대한 침해작용으로서 법률유보의 원칙이 용되며 이 법률의 규정은 정보자기결정권의 보호를 위한 법원칙에 적합해야 한다는 판결의 취지를 반영하여, 국가에 의한 개인관련정보의 수집 및 처리에 있어서, 입법상 기술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 개별적이고 상세한 수권규정을 통해 개인의 기본권을 보호하고 사회의 위험방지에도 노력하고 있다. 반면에 우리의 경찰법 체제는 개인관련정보에 대한 경찰정보활동 작용에 대한 법적 규율이 결여되어 있거나 극히 제한되어 있는 바 경찰이 수권규범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서 일반경찰법의 직무규범에 근거하여 개인관련정보를 수집․처리하는 것은 개인의 정보자기결정권을 침해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궁극적으로는 경찰정보활동작용의 법률적합성의 확보를 위한 입법적 개선이 요구된다.
    다만 본 논문에서는 개인관련정보에 대한 경찰작용의 입법에 있어서 준수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그와 같은 작용에 대한 조항들의 해석에 있어서 기준이 되며 결과적으로는 경찰의 개인관련정보의 수집 및 처리에 의한 기본권제약 시 그 한계로서 기능하게 되는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원칙으로서 정보에 있어서의 권력분립의 원칙, 규범명확성의 원칙, 목적구속성의 원칙, 정보수집의 직접성 및 공개성 원칙, 비례성의 원칙(구체적 적용) 등에 관해서 소개함으로써 우리 경찰법체계에서의 개인관련정보에 대한 경찰정보활동작용에 관한 논의 혹은 입법에 있어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t is necessary that the police activities, which is for the public interest, should be controlled because it is closely related to privac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process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the major change in collecting and processing the personal information, but it has also caused the problem of the privacy invasion.
    This matter takes place,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abuse of the police authority conflict with the contradictory request which is liberty and the right guarantee of citizen and the public wellbeing and the maintenance of order.
    The presented solutions for the problem is a limit of the police intelligence activities. It is the principle of the proportion that is often quoted as a control cause.
    This Principle of the Proportion has an important meaning in judging whether to keep the personal information which is collected and stored by police.
    First of all, police's collecting and process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dividual must be appropriate for the attainment of the aim.
    Second, the actions of all national agencies for that activities is minimal for achieving their goals. In their activities, there must be a resonable proportionate relationship between the pursued public interest and the harm of all connected.
    Therefore, applying to the principle of suitability, the police should distinguish menas from that which is allowed by the law and then among the means, they choose one that gives the least burden to the other party or a related person. After that, applying to the principle of the justification, they should determine the chance taken steps, comparing the harm and the public interest.
    In order to secure the individual information, the exercise of the police authority is suitable for the aim that police achieve the maintenance of the public wellbeing and order. Police choose the least means needed in attaining the goal and if it is administered under the principle that the individual right violation and reasonable balance, both the guarantee of individual right and the maintenance of the public wellbeing and order are achiev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토지공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