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두 개의 말과 두 개의 성, 양가적 텍스트의 번역- 타하르 벤 젤룬의 『모래의 아이L'enfant de sable』 (Two languages and two genders: Ambivalent text in translation – L’enfant de Sable by Tahar Ben Jelloun)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4.09
23P 미리보기
두 개의 말과 두 개의 성, 양가적 텍스트의 번역- 타하르 벤 젤룬의 『모래의 아이L'enfant de sable』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세계문학비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세계문학비교연구 / 48호 / 247 ~ 269페이지
    · 저자명 : 이종은

    초록

    본 연구는 타하르 벤 젤룬의 『모래의 아이L’enfant de sable』와 그 번역을 살피고자 한다. 프랑스어와 아랍어라는 두 개의 말(言語), 주인공이 남성에서 여성으로 옮겨가는 두 개의 성(性別)이 작품에서 그려지는 방식을 알아보고, 이런 특징이 서로 다른 언어로 작성된 번역에서 적용되는 과정과 처리 방식을 고찰할 것이다.
    우선 양가적 언어 번역에 초점을 맞춘다. 마그레브 지역 출신인 벤 젤룬은 아랍어가 아닌 프랑스어를 선택하여 모로코의 역사와 전통, 탈식민에 대한 이야기를 문학에서 풀어낸다. 마라케쉬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모래의 아이』에서도 작가는 모로코 문화를 설명하고자 아랍어 차용어와 아랍 문자를 삽입, 이국적 색채를 강화하고 있다. 두 언어가 만나는 접촉 지점에서 번역가는 각주를 통해 가시적으로 드러나기도 하지만 전략적으로 이런 부분을 생략하기도 한다.
    이어 소설의 큰 줄거리를 이루는 성별의 양가성이 번역에서 어떻게 처리되는지 살펴본다. 이 소설은 여덟 번째 딸로 태어난 자흐라가 아버지의 뜻에 따라 아들로 자라게 된 과정을 그리고 있다. 아들을 갖지 못한 것을 수치로 여김과 동시에 동생들이 자신의 유산을 가져가는 것을 막고자 아버지는 새로 낳은 딸에게 아흐메드라는 이름을 주고 아들로 자라게 한다. 자신과 아내, 산파만 알고 있는 이 비밀은 유지되고 어느새 아버지는 이 아이를 진정 아들로 믿고 살아간다. 그러나 신체가 성장하고 여성과 결혼까지 감행하면서 그는 점점 두 개의 성별 사이에서 혼란을 느끼다 결국 정체성을 찾기 위해 길을 떠난다. 두 개의 성별을 그려내고자 작가는 주인공이 가진 양가적 느낌을 주고받으면서 극단적 성격의 두 명사를 대비시킨다. 또한 주인공이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그리며 모로코 전통을 배경 삼는데, 때로 이런 대목은 서구사회가 가진 선입견을 강화하는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이런 다양한 논쟁점을 가지고 있는 성적 양가성을 번역에서는 어떻게 대하고 있는지, 문법적 다름으로 인해 마주치는 여러 곤경을 어떻게 처리했는지 살펴볼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seeks to provide insight into what happens to the translation of L'enfant de Sable by Moroccan author Tahar Ben Jelloun. By analyzing the work translated into two languages, we explore the novel’s unique features: bilingualism and sexual ambivalence.
    First, the article argues the role of bilingualism in the translations. Though he is from Maghreb, Ben Jelloun writes in French, not Arabic. Creating his works within the historical and conventional context of decolonization, the author maintains that French is the language of literature. The novel, set in Marrakech, contains many French words of Arabic origin and culture-specific items that provide an exotic touch. Our research interest lies in the translation of these cultural expressions. When literature from so-called exotic cultures is translated, the translator, far from being invisible, usually intervenes in footnotes or by omission.
    Second, we explore the translation of sexual ambivalence, the theme of the novel. L'enfant de Sable tells the story of Zahra, who as eighth daughter must assume the role of a son called Ahmed, as according to tradition, the lack of a son not only shames the father but also causes his property to pass to his brothers. The father, Hajji, decides on a bold step: The next time his wife becomes pregnant, he will pretend the child is a son. The secret is kept by Hajji, his wife, and the midwife, and before long, he has almost convinced himself that he has a true son. Ahmed becomes confused about his gender identity as he grows physically and faces marriage. The theme of sexual ambivalence can be found in this part. Eventually, Ahmed decides to set out on a journey to find his identity. The narrative is constructed around gender-based binary opposition. In addition, throughout the story, the author is criticized for reinforcing stereotypes of the traditionalism of Morocco. We seek to provide insight into what happens to this ambivalence in translation, and we propose that the struggle may be associated with grammatical differences, such as the gender of French nou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세계문학비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