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과학기술의 발전에 있어 안전권이 갖는 헌법상 의미에 관한 고찰 Ⅰ ― 위험사회에서 기본권의 기존 이론에 따른 논의의 한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stitutional Content of Right to Safety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Ⅰ — Focusing on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fundamental rights theories in risk societies —)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4.12
25P 미리보기
과학기술의 발전에 있어 안전권이 갖는 헌법상 의미에 관한 고찰 Ⅰ ― 위험사회에서 기본권의 기존 이론에 따른 논의의 한계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연구 / 53권 / 2호 / 215 ~ 239페이지
    · 저자명 : 박찬권

    초록

    안전은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한 기본권과 관련을 맺으며 언급된다. 안전은 외부의 침해로부터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보호하는 것이고, 이는 국가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안전의 개념은 홉스의 사회계약론에 따른 것이다. 여기서 안전의 확보는 국가의 존립이유가 된다. 동시에 개인의 자유와 권리, 즉 생명권, 신체의 자유, 재산권과 같은 기본권들은 안전을 통해 보호되는 대상이다. 한편, 헌법 제10조 후단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는 다양한 기본권들을 포괄적 보호대상으로 삼아 안전의 가치를 헌법체계에 반영하는 규범적 근거이다. 다만, 헌법상 조문이 없더라도 개별적으로 규정된 실체적 기본권의 객관적 법질서성으로부터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가 도출될 수 있다. 여기서 안전에 관한 논의는 실체적 기본권 보호에 관한 논의에 흡수되므로 안전권을 별도의 기본권으로 인정할 실익이 없다.
    그러나 실체적 기본권만으로는 개인의 권리보호를 위한 안전확보의 필요성을 도출하는데 근거가 부족한 경우 안전권은 독자적으로 논의할 실익이 있다. 그러한 경우로 현대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위험이 있다. 위험에 있어 안전의 가치를 기존의 기본권이론에 따른 헌법체계로 포섭하기 어려운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기본권이론에서는 기본권침해의 사실관계 판단이 범죄, 재해, 빈곤, 질병과 같이 이미 발생하였고 경험적으로 인지되는 위해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는 점이다. 둘째, 기존 기본권해석의 법적 도그마는 자유주의적 관점에 머물러 있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국가와 개인, 안전과 자유를 대립관계로 보기에 안전의 가치 또한 국가로부터의 안전이라는 법적 안전에 국한하게 만든다. 기본권의 기존 이론은 국가로부터 직접 제한받는 가해자의 주관적 방어권 보호에 중심을 두어 판단하는 경향에서 잘 벗어나지 못한다. 그리고 이는 기존의 기본권이론과 도그마로는 미래의 잠재적 위험에 대하여 재판을 통해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를 도출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안전권은 이때 안전확보라는 국가의 존립이유를 드러내는 독자적 기본권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안전권이 지닌 방법적・형식적 권리로서의 특성도 드러낸다. 위험사회에서 안전권에 갖는 범위와 한계 및 현실적 작용에서 나타나는 헌법상 의미 등 보다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는 후속 연구를 통해 보충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Safety is referred to in many different contexts and in relation to many different fundamental rights. It is the protection of individual freedoms and rights from external infringement, which is achieved through the state. This concept of safety is based on Hobbes's social contract theory. Here, safety is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the state. At the same time, individual freedoms and rights, such as the right to life, right to liberty, and property rights, are the object of protection through safety. On the other hand, the state's obligation to protect fundamental rights under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is a normative basis that reflects the value of safety in the constitutional system by making various fundamental rights the object of comprehensive protection. Even in the absence of constitutional provisions, the state's obligation to protect fundamental rights can be derived from the objective legal order of fundamental rights which are individually defined. Here, the discussion of safety is absorbed into the discussion of substantive fundamental rights, so there is no need for special discussion of right to safety. However, when the substantive fundamental rights alone are insufficient to derive the need to ensure safety for the protection of individual rights, the right to safety is worthy of its own discussion. In such cases, there are risk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The value of safety in the face of risk is difficult to incorporate into a constitutional system based on traditional fundamental rights theories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in traditional fundamental rights theory, the factual determination of infringement of fundamental rights has been centered on dangers that have already occurred and are empirically recognized, such as crime, disasters, poverty, and disease. Second, the legal dogma of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fundamental rights is stuck in the liberal perspective. This dogma sees the state against the individual, safety against freedom, and the value of safety is confined to legal safety, which is safety from the state. In the case of risks that cannot be explained by traditional fundamental rights theories and dogmas, the right to safety can be characterized as a methodological and formal right, acting as an independent fundamental right that reveals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the state of ensuring safety. This role and the constitutional contents of the right to safety in a risk society will be the subject of further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