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생은 어떻게 ‘을’의식을 갖게 되었는가?: 서울 소재 대학생들에 대한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How Korean College Students Accept Their Status as ‘Eul’, the Second Class Citizen not Losing the Spirit of Competition?)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8.04
51P 미리보기
대학생은 어떻게 ‘을’의식을 갖게 되었는가?: 서울 소재 대학생들에 대한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 사회 / 26권 / 1호 / 245 ~ 295페이지
    · 저자명 : 조옥라, 임현지, 김한결

    초록

    이 연구는 대학생 12명에 대한 심층 면담을 통하여 대학생들이 스스로의 지위를 어떻게 인식하게 되었는가를 분석하려는 것이다. 이들의 면담 자료들은 현대 한국 사회에서 청년층이 얼마나 불안정한 위치에 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 불안정한 위치를 이들 대학생들이 말하는 아무 것도 자신의 의사대로 할 수 없으며, 결코 넘을 수 없는 한계를 가정하는 ‘을 의식’으로 압축했다. 우리 연구자가 주목한 것은 한국과 같은 학력 경쟁 사회에서 무사히 대학에 진학한 대학생들이 다시 무한 경쟁으로 몰리면서 자신의 미래 희망을 재조정하며 다시 출발선상에서 시작하려는 과정에 있다. 어떻게 대학 진학을 통하여 자신의 길을 찾아갈 수 있다고 믿었는지, 그리고 그 믿음과 현실의 괴리를 어떻게 해석하고 적응하고 있는지를 심층면담을 통하여 파악하려고 했다. 대학이 보장해줄 미래를 기대했던 대상자들은 대학 진학 이후 능력주의 규범이 통용된다고 믿던 이전의 세계와 단절된다. 스스로는 경제적 자원의 부족으로 할 수 없는 것들을 부모의 경제력을 통해 할 수 있는 이들은 ‘갑’으로 자신과 비교된다. 또한 타고난 환경이 어떻게 능력으로 변환되는지에 대해 대상자들은 나름의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있었다. 이들에게 ‘갑’은 막연한 추상에 가까운 비교 대상이지만, 생각과 행동에 압력을 가하는 실재로서 존재한다. 대상자들은 한계 지어진 경쟁으로 세계를 다시 재구성하며 ‘갑’을 결코 넘을 수 없다며 ‘을’로서 스스로를 인식한다. 이들은 부당하게 느껴지는 ‘갑-을’ 질서에 저항하지 않고, 비관적인 미래 전망으로 인해 좌절한 채 패배주의에 빠지는 대신, 현실에 대처하고자 의식적 합리화를 시도한다. 즉, 대상자들은 내면화의 결과가 아닌, 의식적인 선택을 통해 노력하면 ‘한계 아래까지는’ 갈 수 있다는 수정된 버전의 능력주의를 가지고 ‘을’로서 살아가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공고화 되어가는 계층 문화를 드러내면서 동시에 약자들과의 공존이 제한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deals with the stories and narratives of 12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strengthened their perception of self as ‘Eul(party B or the subordinate)’ through in-depth interviews. Interviewees, who were successors in highly competitive entrance examination to prestigious universities, had expected to be a successor in society as well through their qualification as a college graduate. However they soon realized that they had to start all over again for job market. The rule in this new world seemed to force them being cut off from the previous one, where meritocracy through examination was clear and detailed as it marked as score each time. Students seem to be keenly aware of the lack of social capital of their parent in job market. They recognize the socio-economic power of a family for a job competition. Family background seems to play a crucial role to accumulate all the ‘specification’ for a job. For them, “Gap(party A or owner)” is an symbolic figure who can to do things by himself or herself using parents’ resources. Often ‘Gap’ takes advantage in his or her background or connections, while most students of ‘Eul’, would be left out in job market. Even though “Gap” looks like vague imagination, it influences interviewee’s thinking and acting as it is. Interviewees reconstitute the world as space of competition with limitation and think that they cannot beat ‘Gap’. Without resistance to this unjust situation, they rather try to adapt to reality through conscious rationalization. As a result, they deliberately choose a modified version of meritocracy, which is ‘Effort makes success with limitation’. This rationalization process among focused students states the solidification of stratification system in Moder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 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