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국정운(東國正韻)』안의 개음절 복수음을 갖는 입성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ultiple sound of entering tone with open syllable in 『Dongguk jeongu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2.05
28P 미리보기
『동국정운(東國正韻)』안의 개음절 복수음을 갖는 입성자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 / 23권 / 2호 / 439 ~ 466페이지
    · 저자명 : 구현아

    초록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편찬된 운서『동국정운』은 우리나라의 한자음을 전면적으로 기록한 운서이다. 『동국정운』에 대한 기존 연구는『고금운회거요』의 비교에만 집중되어 있어『동국정운』의 성격에 대한 전면적인 규명이 어려웠다. 『동국정운』은『광운』, 『집운』, 『고금운회거요』,『홍무정운』과 같은 다양한 운서와의 개별 글자에 대한 비교와 성,운모의 분석, 당시 중국의 현실음에 대한 비교 등 다각도의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동국정운』의 ‘高杲誥’운에 나타난 개음절음을 복수음으로 갖는 52개의 입성자를 대상으로 역대 중국 운서에서 나타난 모든 반절과 비교하고,『동국정운』에 나타난 개음절음과 반절의 성, 운모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19개의 글자가 가진 24개의 개음절음이『동국정운』의 상동(上同)이 표기한 이체자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나머지 음의 경우『광운』,『집운』,『고금운회거요』, 『홍무정운』중의 전체, 혹은 일부에서 개음절음의 반절이 나타났고, 『집운』, 『고금운회거요』,『홍무정운』이 비슷한 비율로『동국정운』에 나타난 개음절음과 동일한 반절을 싣고 있었다. 이 중 ‘貌’는 해당하는 개음절음 반절을 찾을 수 없었는데, 역대 문헌에서는 ‘敎’를 반절하자로 썼지만, 『동국정운』에서 ‘ᅟᅩᇢ’운모, 즉 i개음이 없는 형태로 기록되었다. 『중원음운』도 이 글자에는 i개음이 없으므로 이는 당시 실제 중국음에 기반한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동국정운』 의 개음절음이『집운』, 『고금운회거요』,『홍무정운』과 비슷한 확률로 일치하고, 또한『광운』에는 개음절음으로만 나오는 글자가『집운』에서부터 본격적으로 입성운의 음이 함께 출현하는데,『홍무정운』만 수록된 입성운의 음도 수록하고 있다는 사실은 앞으로의 연구가 『집운』, 특히『홍무정운』과의 비교도 새롭게 이루어져야 필요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高杲誥’운에 등장하는 개음절음을 복수로 갖는 글자를 대상으로 했기에, 본 연구로 인한 결론이 『동국정운』의 전체 성격을 귀납하기에 부족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글자에 대한 음과 이에 대한 역대 운서 안의 반절과 상세한 비교를 진행했다데 의의가 있다. 추후『동국정운』의 모든 수록자와 역대 중국 문헌의 모든 반절, 성모, 운모, 성조에 대한 비교 연구 성과가 축적되어『동국정운』의 성격이 온전히 규명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Dongguk Jeongun』is the first rhyme book in Korea that recorded Korean sound of Chinese characters after creation of Hangeul. It has a very high value as a rhyme book all of our Chinese characters since the creation of Hangeul, but it was difficult to clearly identify the phonological features due to the difficulty of the system. The existing research on 『Dongguk Jeongun』 is concentrated on comparision of 『Gujin Yunhui Juyao』. So, it was difficult to fully investigate the character of 『Dongguk Jeongun』. 『Dongguk Jeongun』 needs to be studied from various angles. Including comparison of individual letters with various rhyme book such as 『Guangyun』, 『Jiyun』, 『Gujin Yunhui Juyao』, and 『Hongwu Zhengyun』. As well as comparison of real sounds in China at the time. There are many entering tone characters which also have open syllable sounds. So, this study limited the scope of the study to ‘go-go-go(高杲誥)’ final group. In ‘go-go-go(高杲誥)’ final group in『Dongguk Jeongun』, There are 52 entering tone which has open syllable as mutiple sound. And 24 sounds of 19 characters of open syllable sound have ‘sang-dong(上同)’ character. ‘Sang-dong(上同)’ indicates a variant form of Hanzi Character, so if it has a open syllable sound, it means the entering tone character also has open syllable sound. Rest of sounds have same sound with fanqie of 『Guangyun』, 『Jiyun』, 『Gujin Yunhui Juyao』, and 『Hongwu Zhengyun』. Most of the open syllable sounds are based on fanqie of these Chinese rhyme book. Furthermore, the posibility reflecting『Jiyun』,『Gujin Yunhui Juyao』, and『Hongwu Zhengyun』is similar, which shows『Jiyun』and『Hongwu Zhengyun』needs further study. Only ‘mo(貌)’ could not find correspoding fanqie. And this is maybe the evidence of ‘mo(貌)’ based on Modern Chinese sound. Plus, In『Guangyun』, the letters that only appear in the opening syllables appear with entering tone from『Jiyun』. The fact that it also contains entering tone which only contains 『Hongwu Zhengyun』shows the need for a new comparison with 『Jiyun』, especially『Hongwu Zhengyun』.
    Since this study targeted characters with multiple open syllables appearing in the ‘go-go-go(高杲誥)’ final group,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may be insufficient to imply the overall character of『Dongguk Jeongun』. However, it is meaningful that a detailed comparison was conducted with the notes for each character and fanqie previous Chinese rhyme book.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Dongguk Jeongun』 can be fully identified by accumulating comparative research results on all the contents of 『Dongguk Jeongun』 and all the initial, final, tones of previous Chinese rhyme bo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