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丁若鏞 철학에서 ‘孝弟’ 관념이 갖는 公的 의미 (The Public Significance of the Concept of Hyoje(孝弟) in the Philosophy of Jeong Yak-Yong(丁若鏞))

6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2.06
65P 미리보기
丁若鏞 철학에서 ‘孝弟’ 관념이 갖는 公的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학연구 / 23호 / 252 ~ 316페이지
    · 저자명 : 백민정

    초록

    孝弟[孝悌]는 고대유학 경전에서 부모에 대한 친애의 감정[孝]과 형제간의 공경심[弟]을 의미한 용어다. 이것은 유가에서 이해한 인간의 선천적 정감일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정감의 도덕적 원리를 의미하며, 나아가 사회와 국가에 확장됨으로써 혈연적 가족 너머의 타인과 관계맺게 해주는 가장 기초적인 관계의 원리로 이해되었다. 『論語』에서 孝弟를 강조하며 그것을 仁의 근본으로 삼고 맹자가 ‘仁之實事親, 義之實從兄’이라고 말한 이래로 孝弟, 親[親愛]과 尊[恭敬], 仁義의 문제는 유학적 인륜 문제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원리로 간주되었고 정약용 역시 이 점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그가 효제의 원리를 인간 본성[性]과 관련해 어떻게 규명하고, 주자학의 이기론 및 인의예지론과 연관해 어떻게 해명했는지 문제가 중요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지금까지는 다산 본인이 대표적인 학문적 업적이라고 자부한 禮學 관계 저술, 즉 士家禮와 邦國禮를 아우르는 그의 저작 가운데 나타난 친애와 공경에 관한 경학적 입장을 분석한 연구가 주종을 이룬다. 그러나 親親과 尊尊 원리에 대한 다산의 입장은 孝弟忠信, 親親․尊尊[長長․賢賢], 仁義禮智 등 다른 개념들과의 연계를 통해 그가 주자학과 씨름한 성찰의 전 과정을 함께 고찰할 때 보다 분명한 의미를 갖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다산의 수많은 저작 중에서 孝弟를 강조한 경전적 문맥을 살펴보면서 왜 정약용이 효제라는 유학의 규범 원리에 주목했는지 검토했다. 그는 효제가 인간 마음에 선천적으로 주어진 본성이 아니며 실천을 통해 사후적으로 완성되는 덕목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뿐만 아니라 孝弟慈라는 天屬의 논리와 이를 바탕으로 확충해나가는 義合[人合]의 논리를 구별하는가 하면 가족과 국가의 경계 혹은 위정자와 民의 관계에 대해서도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한다. 이러한 다산의 물음에는 仁을 두 사람의 관계로 해석하면서 天屬으로서의 父子之間 역시 두 사람이라는 자기[己]와 남[人]의 타인 관계로서 이해한 다산의 독특한 관점이 전제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다산의 孝弟論과 親親 및 尊尊의 논리가 전통적 가족의 협소한 경계를 넘어 공적 사회의 실현과 관련해 어떤 유의미성을 갖는지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The concept of “hyoje” (孝弟), or filial piety, as found in Confucian texts refers to feelings of love toward one's parents and respect between siblings. It represents the idea of innate warmth that human beings possess and the moral principle of such warmth as understood in Confucianism. Furthermore, as the concept spread throughout the society and the nation, it has also come to function as the most basic relationship principle, which goes beyond blood ties and family to enable relationships with other human beings. TheAnalectsofConfucius(論語) emphasizes “hyoje” and makes it the foundation for “in”(仁, benevolence), while for Mencius, the essence of “in” is to stay close to one’s parents and the essence of “ui” (義, justice) is to respect one’s siblings. After Confucius and Mencius, concepts such as “hyoje,” “chinchin” (親親), jonjon (尊尊), and “inui” (仁義) have become the most important principles for forming human relationships in Confucianism. It was, therefore, not possible for Jeong Yak-Yong to be free from their influence. How he defined the principle of “hyoje” with respect to human nature and also with respect to the concept of “inuiyeji” (仁義禮智) in Zhu Xi’s teaching (朱子學) is important for this reason. This paper surveys the contexts in which Jeong Yak-Yong emphasized “hyoje” in his voluminous writings, and examines the reason behind his special focus on the Confucian principle of “hyoje.” Jeong Yak-Yong argues that “hyoje” is not part of the innate nature that people are born with. According to him, it is a moral virtue which is perfected through practice ex-post facto. He further distinguishes the “cheonsok” (天屬) logic of “hyoje” and “inhap”(人合) logic, which is based on the first type and expands outward. He also asks fundamental questions regarding the boundaries between the state and the family, or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ians and the common people. Among the questions he asks, certain underlying premises can be seen. He had a unique perspective in his interpretation of “in”(仁) as a relationship between two people, which led to his understanding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s also a relationship between two separate people. This paper examines his position on “hyoje,” how his reasoning of “chinchin”(親親) and “jonjon”(尊尊) reaches beyond the traditional boundaries of family, and what their significance is with respect to the realization of a public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