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통사회 해촌에서 농업이 갖는 사회문화적 의미 (The Significant of Agriculture at Maritime Society in Traditional Korea)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8.04
26P 미리보기
전통사회 해촌에서 농업이 갖는 사회문화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65호 / 7 ~ 32페이지
    · 저자명 : 김재호

    초록

    해촌의 농업은 내륙지역과 비교할 때 자연환경적 조건에서부터 차이가 있고 사회문화적 의미도 많이 다르다. 대략 1970년대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해촌의 농업은 협소한 토지상황과 열악한 자연환경조건으로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농업은 생업활동의 중심역할을 담당하였으며, 사회문화적으로도 어업보다는 농업이 훨씬 중요했다.
    오늘날과 달리 전통사회에서는 해산물의 경제적 가치가 농산물에 비해 낮았다. 무엇보다 해산물이 갖는 식량자원으로서의 가치가 곡식보다 낮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해촌의 사람들은 전업어민이 되기보다는 반농반어(半農半漁) 생업형태를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면서 배를 타거나 바다 일을 하는 사람들을 천시하는 사회적 관념이 강했다. 이는 농업과 어업이라는 생업의 구분이 사회문화적으로 확대 재생산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농업과 어업의 구분은 신분의 차이를 비롯하여 공동체신앙집단 간의 구분, 마을 지역주민들 간의 서열, 통혼의 허용과 불허 등의 기준이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차별과 구분은 반상의 관념이 그렇게 두드러지지 않는 사회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분명하였는데, 그 바탕에는 생업의 차이가 깊게 작용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어업에 비해 농업이 사회문화적 우위를 차지하였던 것은 무엇보다도 생존에 필요한 농토가 해촌 사회에서 절대적으로 부족했기 때문이다. 비록 제도적으로는 신분의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생업방식에 따른 사회적 관념으로서의 차별은 컸던 것이다. 따라서 전통적인 해촌 사회를 이해함에서 있어서 그 지역의 농업상황이나 조건은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영어초록

    Compared with inland areas, the agriculture of the seashore villages differs from the natural environment conditions, and the socio-cultural meanings of the agriculture are very different. Until approximately 1970s, the agriculture of the seashore villages did not escape the smallness due to the narrow land conditions and the poor natural environment conditions. Nonetheless, agriculture played a pivotal role in life activities, and the share of agriculture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fisheries.
    Unlike today, in traditional society, the economic value of seafood was lower than that of agricultural products. Above all, the value of seafood as a food resource was lower than that of grain. So it was common for the people of the seashore villages to take a form of half farming and half fishing rather than to become full-time fishermen. However, there was a strong social notion of treating people who boarded ships or worked in the sea as inferior. The distinction between agriculture and fisheries has become a standard that indicates the difference of status, the separation of their goods, the rank among the villagers, and the acceptance and denial of marriage.
    This distinction and difference was very clear despite the fact that the notion of anti-ideology was not so great, on the basis of which agriculture functioned. This is thought to be the result of the absolute lack of scale of farmland and the absolute necessity of farmland in life. Even if there is no institutional difference in status, discrimination as a social myth and an idea was great. Therefore, the agricultural situation and conditions of the seashore villages are very important in understanding traditional maritime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