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묵자의 義利와 兼愛사상이 갖는 교육철학적 가치 (Educational philosophical value of Mozi’s Justice and utility(義利) and Universal love(兼愛) ideolog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2.02
32P 미리보기
묵자의 義利와 兼愛사상이 갖는 교육철학적 가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 / 23권 / 1호 / 311 ~ 342페이지
    · 저자명 : 박혜정, 도영애

    초록

    학교 교육 현장이나 우리들 삶의 현장 속에서 타인과의 관계는 필연적이다. 타인과의 관계는 협력과 갈등 속에서 주로 이루어지는데 대개의 경우에는 갈등을 피하고자 한다. 그러나 타자와의 갈등 속에서 타자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우리의 주체성도 성립할 수 있다. 타자와의 갈등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고 해결할지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이런 문제 인식을 묵자의 義利사상과 兼愛사상을 통해 교육철학적 의미로 고찰하였다.
    묵자의 사상은 자신을 포함한 타자의 이익을 모두 고려한 시도이며 이런 이익 추구의 밑바탕은 사랑이라고 할 수 있다. 묵자는 義利와 兼愛를 통해 타자와의 화합과 상생이 가능하다고 주장하며 타인과의 상호관계에서 利의 분배를 정당화한다.
    본고는 소통과 갈등의 문제가 義利와 깊은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 이 義利가 兼愛를 바탕으로 타자와의 소통과 갈등을 해소시킬 수 있다는 근거를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이기’와 ‘이타’ 개념에 대해 고찰하고 다음으로 묵자가 말한 義利의 개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맹자와 묵자가 추구한 ‘義’의 차이점과 공자의 仁과 묵자의 兼愛사상을 비교 분석해 보았다.
    도덕은 모두가 행복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며, 묵자는 이러한 도덕의 실현방안을 利에서 찾고 있다. 墨子 사상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兼愛 사상은 유가 사상의 차별적 사랑인 仁을 극복하고자 한 또 다른 형태의 사랑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仁을 ‘사랑’이라는 형태로 고착화시킬 수는 없지만, 묵자가 겸애를 통해 이루고자 한 화합과 상생의 상호관계를 이해하기 쉽도록 유가의 ‘仁’과 ‘친친’이라는 부분적인 면만을 취하여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 점은 ‘仁’의 국소적인 면만 부각한 본고의 한계점이기도 하다.
    묵자는 유가가 주장한 ‘친친’의 관계를 넘어서서 모든 타자들과의 관계까지 확장시켜 교육철학적 가치를 보여주고 있다. 타자와의 갈등 상황을 해결하고자 할 때 본인을 포함하여 모든 타자들의 이로움에 호소해야 할 것이며 물론 이의 전제에는 ‘겸애’라는 사랑이 있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Relationships with others are inevitable in school education or the field of our lives. Relationships with others are usually made through cooperation and conflict, and in most cases, conflict is avoided. However, in the conflict with the other, our understanding of the other and our subjectivity can be established. A more fundamental discussion is needed on recognising and resolving conflict situations with others. This recognition of this problem was considered in the educational philosophical meaning through Mozi’s Justice and utility(義利) and Universal love(兼愛) ideology.
    Mozi’s ideology is an attempt that considers all interests of others, including himself, and the basis of this pursuit of interest can be said to be love. Mozi argues that harmony and coexistence with others are possible through Justice and utility(義利) and Universal love(兼愛), and justifies the distribution of wealth in mutual relationships with others.
    This article investigates that the problem of communication and conflict is deeply related to justice and tries to find the basis for this justice to resolve communication and conflict with others based on virtue. To this end, the concepts of ‘selfishness’ and ‘altruism’ were considered first, and then the concept of Justice and utility(義利) spoken by Mozi was examined.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Justice(義)’ pursued by Mencius and Mozi and the ideology of 仁(Benevolence) of Confucius and the thought of Universal love(兼愛) of Mozi were analysed and compared.
    Morality is necessary for everyone to be happy, and Mozi is looking for ways to realise this morality from the Utility(利). The 兼愛(Universal love) ideology, which forms the centre of the Mozi ideology, can be said to be another form of love that seeks to overcome the discriminatory love of Confucianism, 仁(Benevolence). Of course, 仁(Benevolence) cannot be fixed in the form of ‘love’, but in order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the interrelationship of harmony and coexistence that Mozi sought to achieve through modesty, I would like to explain by taking only the partial aspects of ‘仁(Benevolence)’ and ‘Chin-Chin(親親)’ of Confucianism. This point is also a limitation of this article, which emphasizes only the local aspect of ‘仁(Benevolence)’.
    Mozi shows educational philosophical value by extending the relationship with all others beyond the ‘Chin-Chin(親親)’ relationship as claimed by Confucianism. When trying to resolve conflicts with others, you must appeal to the benefits of all others, including yourself, and of course, the premise of this should be the love of ‘hum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