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천하질서’와 유교적 ‘보편주의’의 재구성의 가능성-Ⅱ: ‘대륙신유가’ 의 ‘신캉유웨이주의’(新康有爲主義)에 대한 비판적 분석 (The Possibility of Restructuring Tianxia Order and Confucian Universalism-Ⅱ)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9.12
29P 미리보기
‘천하질서’와 유교적 ‘보편주의’의 재구성의 가능성-Ⅱ: ‘대륙신유가’ 의 ‘신캉유웨이주의’(新康有爲主義)에 대한 비판적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27호 / 33 ~ 61페이지
    · 저자명 : 조경란

    초록

    유교의 화이지변과 왕도사상을 핵심으로 하는 ‘천하질서’ 담론은 사실상 ‘지배의 정당성’의 문제이기도 하다. 중국 모델이 아직 그 형체를 분명히드러내지 않은 상황에서 ‘천하질서’가 중국에서 뜨거운 담론이 되고 있는 것은이것이 사실상 ‘지배의 정당성’이라는 문제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여기서 ‘지배의 정당성’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21세기라는 현시점에서 ‘지배의 정당성’이란 결국 유교의 보편성의 재구성 속에서 분열이 아닌 통합의 제국적 메카니즘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 글은 ‘대륙신유가’라는 학문집단이 ‘신캉유웨이주의’를 매개로 하여 시도하는천하질서와 유교적 보편주의의 재구성의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는 기초적 작업이다. 그 초점은 두가지이다. 하나는 현실적인 문제로, 이들이 캉유웨이가 문제로 삼았던 중국강역의 보전과 ‘문명중국’의 회복이라는 문제에서 그 정당화전략을 설득력 있게 짜고 있는가이다. 동중서(董仲舒)는 천하사상에 의한 ‘지배의정당성’ 탄생의 사이클을 완성함으로써 유교를 내용으로 하는 제국의 통치원리를 탄생시켰다. 동중서가 유교를 내용으로 하는 제국의 통치원리를 완성한 이후유교는 종족보다는 보편의 계기로 받아들여졌다. 유교는 이후 종족보다는 국가(제국)에 내속되었다. “중국에서 ‘지배의 정당성’은 지배자의 민족적 출신으로판단하는 것이 아니고 ‘대일통’을 실현한 왕조야말로 ‘정통’의 중화왕조라고 하는 사고방식은 이 때부터 보편화되었다. 모든 중화왕조가 목숨을 걸고 제국적구조를 구축하여 중화제국으로 변신하려 노력한 이유도 천하사상 즉 ‘대일통’의사상의 틀로 자신의 정당성이 확보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캉유웨이가 100년 전에 고민한 이 문제는 지금의 중국에도 그대로 존재한다. 그러나 이 문제는 주변에 대한 차별관계의 청산, 대등한 협력 관계의 구축이라는 21세기적 발상의 전환 없이는 실현 불가능하다.
    다른 하나는 규범적 문제로, 천하질서와 유교적 보편주의의 재구성이라는 작업을 통해 ‘성찰적 유학’을 보여줄 수 있는가의 여부이다. ‘성찰적 유학’의 두가지조건은 타자성과 윤리성이다. 이두 조건이 결여된 신유학 논의는 ‘봉건’으로의자기회귀라는 비난을 받을 수 있으며 이 형태로는 중국의 안과 밖을 설득시킬수가 없다. 더 나아가 이들의 기획은 또 다른 ‘중국중심주의’를 꽤하려는 것이라는 오해를 피할 수 없다. 중국의 유학이 재보편화하기 위해서는 서양이라는 타향을 표류하고 난 이후 다시 고향에 돌아온 상태에서 이제 다시금 ‘나는 누구인가’, ‘나의 가치는 어디에 있는가’라는 질문을 낯설게 해야 한다. 그랬을 때 자기에 대한 진정한 객관화과정이 시작될 수 있으며 자기상대화를 통한 타자성을확보할 수 있다. 이 과정을 거쳐야만 ‘성찰적 유학’이라 칭할 수 있으며 ‘지속가능성’을 말할 수 있다. 이를 기준으로 본다면 ‘대륙신유가’의 ‘신캉유웨이주의’를통한 천하질서와 유교적 보편주의의 재구성의 가능성은 지켜봐야 하겠지만 그렇게 높다고 할 수 없다. 현실적 문제든 규범적 문제든 재구성의 가능성이 높지않다면 그것은 아마 20세기를 거친 21세기적 인식의 부재에서 비롯된 것일 가능성이 높다.

    영어초록

    The ‘Order of the World(天下秩序)’ discourse, which focuses on Confucianism’s the ‘Order between huayi(華夷)’ and ‘Wangtao Thought (王道思想)’ is in fact a matter of ‘the legitimacy of rule’. With the ‘Chinese Model’ yet to clearly reveal its shape, the ‘Order of the World’ is becoming a hot discourse in China because it is in fact closely related to the issue of ‘the legitimacy of rule’. Here, then, how should we understand ‘the legitimacy of rule’? At this point in the 21st century, ‘the legitimacy of rule’ is to secure the imperial mechanism of unity, not division, amid the reconstruction of the universality of Confucianism.
    This paper is a basic work to see if it is really possible that a possibility of the re-organization of Confucian universalism and the ‘Order of the World’ which the “Mainland Chinese New Confucians” is attempting by means of Neo Kang-Youweiism. The focus of this paper is twofold. Kang-Youwei put the utmost importance on the preservation of China’s territory and the recovery of ‘civilization China.’ The first focus is on how convincingly “Mainland Chinese New Confucians” can justify this Kang- Youwei problem-consciousness in the present. This is a real problem. Dong-Zhongshu(董仲舒) perfected a cycle that gave rise to ‘the legitimacy of rule’ by the ‘Idea of heaven and earth(天下思想)’, giving birth to the principles of the rule of the empire centered on Confucianism. Since Dong-Zhongshu perfected this principle, Confucianism has been accepted as a justification for universality rather than ethnicity. Confucianism later incorporated internally into the state (imperial) rather than ethnicity. In China, ‘the legitimacy of rule’ was not something that was judged by the ruler’s ethnic origins. Rather, a mindset that regards only the dynasty that realized ‘Great-Unity(大一統)’ as ‘orthodox’ has become common since then.
    All the Chinese dynasties risked their lives to create an imperial structure and try to transform themselves into a Chinese empire. The reason was that only the ‘Idea of heaven and earth(天下思想)’, that is, the ‘Idea of the Great-Unity’ could justify them. The problem, which Kang-Youwei agonized over 100 years ago, still exists in China today.
    However, the issue cannot be realised without a shift in the 21st century’s idea of clearing up discrimination against the surrounding and building an equal partnership.
    The second focus is a normative problem. It is whether or not the work of reorganizing ‘Order of the World(天下秩序)’ and Confucian universalism can show ‘reflective Confucianism’. The two conditions of reflective Confucianism are typology and ethics. Without these two conditions, the Neo-Confucian debate could be criticized as a return to ‘feudalism’. And in this way, it is impossible to persuade both inside and outside China. Furthermore, one can’t help but be misunderstood that their plans are intended to pursue another ‘Chinese-centeredness.’ In order for Chinese Confucianism to gain universality again, it must now face ‘unfamiliarly’ the questions of ‘Who am I?’ and ‘Where is my value?’ again, in its return to its hometown after drifting in the outer world of the West. Only then can the true objectification process of thatself be initiated and the typography through self-relocation be secured. Only after this process can we call it ‘reflective Confucianism’ and say ‘sustainability.’ Following this, the possibility of reorganizing the ‘Order of the World(天下秩序)’ and Confucian universalism through their ‘Neo Kang-Youweiism’ cannot be said to be so high. Whether due to a real or normative problem, if so, it is all due to the absence of a 21st century percep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