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안수길의 『통로 』, 『성천강 』 연작으로 읽는 근대전환기 사회문화 - 『서우 』, 『서북학회월보 』와 겹쳐읽기를 통해서 (A Microhistorical Reading of An Su-gil's The Pathway and The Seongcheon River -through intersecting with Northwest Korean Society magazines)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4.03
42P 미리보기
안수길의  『통로 』, 『성천강 』 연작으로 읽는 근대전환기 사회문화 - 『서우 』, 『서북학회월보 』와 겹쳐읽기를 통해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93호 / 123 ~ 164페이지
    · 저자명 : 윤영실

    초록

    이 논문은 안수길의 소설 『통로 』와 『성천강 』이 재현한 윤원구라는 개인의 삶을통해 근대전환기 사회·문화를 미시사적으로 분석하는 연구의 일환이다. 그 첫 번째파트인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2장에서는 『통로 』가 그려내는 원구의 증조부, 조부, 부친의 몰락을 역사적 배경과 함께 살펴봄으로써, 원구 가문의 몰락이청일전쟁에서 러일전쟁 시기 급격히 기울어가던 국가의 운명과 연결되어 있었음을살펴본다. 특히 상인이었던 조부와 부친의 몰락 과정은 량치차오가 분석한 자본주의적 제국주의의 ‘멸국신법’(나라를 망하게 하는 새로운 방법)과 무관하지 않았음을분석할 것이다. 3장에서는 원구가 <서북학회>와의 만남을 통해 본격적으로 근대적‘앎’을 추구해가는 과정을 조명한다. 『성천강 』은 사료 부족으로 거의 알려진 바 없는 <서북학회> 함흥 지회의 활동을 가늠해볼 수 있는 창이자, 근대전환기 학술운동이 한 개인의 삶에 미친 영향을 살펴볼 수 있는 매체가 된다. 4장에서는 원구가 근대계몽기 학술운동을 통해 배운 ‘앎’이란 무엇이었는가에 초점을 맞춘다. 『서우 』와 『서북학회월보 』에서 제시되는 ‘앎’의 새로운 배치를 개괄하는 한편, 원구가 <서북학회> 시절 배운 앎의 핵심은 인민을 국가의 정치적 주체로 삼는 근대국가 사상이었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근대계몽기 학술운동은 일제 무단통치기 각 지역의 풀뿌리운동으로 설립된 보통 및 중등학교를 통해 계승되었고, 정치적 주체로서의 인민을배태해 마침내 3.1운동으로 이어졌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part of a study that microscopically analyzes society and culture i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through Ahn Soo-gil's novel The Pathway and The Seongcheon River, focusing on the life of the novel character named Yoon Won-gu, This paper, is composed as follows.
    Chapter 2 examines the collapse of Wongu's great-grandfather, grandfather, and father depicted by The Pathway along with historical background, and examines that the collapse of the Wongu family was linked to the fate of the country, which was rapidly inclined during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Russo-Japanese War. In particular, it will be analyzed that the process of the collapse of his grandfather and father, who were merchants, was not irrelevant to the "New Ways for Destroying Countries" of capitalist imperialism analyzed by Liang Qichao. Chapter 3 highlights the process of Wongu's pursuit of modern ‘knowledge’ in earnest through meetings with the <Northwest Korean Society>. The Seongcheon River becomes a window to gauge the activities of the Hamheung branch of the <Northwest Korean Society>, which is rarely known for lack of historical records, and a medium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academic movement i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on an individual's life.
    Chapter 4 focuses on what ‘knowledge’ Wongu learned through the academic movement of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Outlining the new arrangement of ‘Knowledges’ presented in <Northwest Korean Society> magazines, I examine how the academic movement of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was inherited through ordinary and secondary schools opened as a grassroots movement in each region during the 1910s, and that it gave birth to the people as political subjects and eventually led to the March 1st Mov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