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갯벌과 인간 생활에 대한 개념화 현상 고찰 -영산강 유역, 서남해 연안, 도서지역 사례- (A Consideration on the People’s Conceptualization of Tidal Flat and Human Life -On the Cases in Youngsan River Basin, Southwest Coast and Island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09.06
37P 미리보기
갯벌과 인간 생활에 대한 개념화 현상 고찰 -영산강 유역, 서남해 연안, 도서지역 사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도서문화』 / 33호 / 103 ~ 139페이지
    · 저자명 : 조경만

    초록

    본 연구는 도서문화의 연구대상과 방향에 대한 하나의 제언으로 관념론적 접근으로 사례를 다루고 있다. 사람들이 자연환경에 대해 그리고 그 속의 자기 생활에 대해 어떠한 개념을 가져왔으며 그것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어떻게 표출되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영산강 유역 갯벌, 연안 갯벌, 도서 갯벌에서 나타난 사례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결과로부터 향후 서남해 도서지역 자연환경과 생활에 대한 관점론적 접근의 시사점들을 찾기 위함이다.
    갯벌은 자연환경의 한 장소, 생업의 장소이고 사람들이 자연 장소와 자원과 생활에 대한 개념을 형성하는 의미 공간이기도 하다. 진도 회동과 모도 사이 갯벌과 관련된 설화는 굶주림에 대한 주민의 인식 반응이다. 여기서 갯벌은 회동과 모도 사이를 연결하는 식량 추구와 수수(授受)의 길로 개념화된다. 영산강 유역에서는 많은 경우 갯벌이 농업이라는 주 생존 수단을 넓히기 위해 대체되어야 할 대상으로 개념화된다. 동시에 갯벌과 그 기반 위에 흐르는 강이라는 장소는 다양한 어족 자원의 전유, 그 자원에 의존한 지역생활의 향유를 개념화한 언술과 행위의 처소이기도 하다. 갯벌은 종교적으로 풍요의 장소로 규정되고 그 풍요의 힘을 도모하고 전이시키는 의례의 대상이 된다. 주민 생업의 세계에서는 이렇게 자연 전유라는 큰 틀 아래 장소와 자원에 대한 개념들이 발견된다. 이에 비해 과거의 매향이나 현대사회 환경단체들의 매향을 보면 갯벌은 생업과 자연전유의 장소라는 의미를 뛰어 넘는다. 갯벌은 향나무의 물리적, 화학적 보존 장소인 동시에 인간과 세계의 존재론적 장소이다. 한편 현대사회 환경운동의 매향 의례에서 갯벌은 이상적 세계 그 자체로도 개념화된다. 갯벌은 현대에 생성된 생명이라는 물적, 영성적 개념의 표상이 되고 직접적인 생명 의례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갯벌에 대한 생태계와 기술경제, 사회경제적 연구를 벗어나 있다. 장소와 생활의 개념화를 살피고자 하는 관념론적 접근을 시도한 것이다. 이 관념론적 접근은 내용이 풍부하고 잘 정립된 지식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다. 단편적 언술이나 행위들에 묻어 있으면서 한 컷으로 나타나는 축도(縮圖), 한 컷으로 전체를 지시하는 단편적 평언(評言)과 비유를 대상으로 한 것이다. 간과되기 쉬운 이 사항들에 대해 앞으로 도서문화연구에서 본격적으로 관심이 기울여져야 한다는 판단 아래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영어초록

    As a suggestion on the research subject and direction of island cultural study, this paper includes the approach to the world of people’s ideas. Especially the cases of people’s conceptualization of their natural surroundings and human lives in them. This work, dealing with the cases in the tidal flats of Youngsan river basin, Southwest coasts and islands, is to discover the clues for the future island study which could be more well-arranged and systematic.
    Tidal flat is a natural space, people’s place to earn living. Also it is a space of meanings with the formation of people’s concepts on the natural place, resources and their lives. Traditional narrative related with tidal flat between Hoedong village at Jindo isaland and Modo island a perceptive reaction to the hunger. In the narrative the tidal flat is conceptualized as the ways of food quest and supply. In the Youngsan river basin tidal flats are mainly thought as the objects of replacement to agricultural land. But simultaneously there have been discourses and behaviors which conceptualize the tidal flats and the river based on them as the place for the appreciation of divers fish resources, of local lives depending on the resources. Tidal flat is defined as the place of abundance in the religious discourses, as the object for the quest and transition of magical power of abundancy. The concepts related with the definition of place and the appreciation of resources, under the umbrella of human’s appropriation of nature mainly appear. Maehyang, the ritual of embedding chinese juniper into the inner world of tidal flat, transcends the meanings of livelihood and appropriation of nature. It is an ontological place of human beings and world as well as physical and chemical reserve of this magical chinese juniper. In other words, it is a waiting place for the arrival of ideal new world which human beings have yearned for. Tidal flat, in contemporary context, is conceptualized as ideal world itself. It becomes a representation of the concept ‘Saengmyoung’which has been recently formed as a material and spiritual entity and phenomenon. Tidal flat becomes as direct object for rituals of ‘Saengmyoung’.
    This study is beyond those of ecosystem, techno-economy and socio-economy. It tries to access to the people’s world of ideas investigating the conceptualization of place and life. This access is not to the well established, affluent knowledge world. A cut of scheme embedded in partial words and behaviors, a cut of critical words and metaphors designating wholeness are main objects to access. This study is performed with the prospect of future interest in these trivial, neglected research objects in the future studies of island cul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