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허웅애기본풀이>에 나타난 ‘모성성’ 연구 -강을생 심방본을 중심으로 (A Study on ‘Maternity’ Appeared in 〈HeoUngaegibonpuri〉 - Focusing on Kang Eul-saeng Simbang’s Versi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3.02
30P 미리보기
&lt;허웅애기본풀이&gt;에 나타난 ‘모성성’ 연구 -강을생 심방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60호 / 99 ~ 128페이지
    · 저자명 : 이소윤

    초록

    민요 〈허웅애기본풀이〉는 죽음 앞에서 부모로부터 외면받는 ‘딸’의 모습을 드러낸다. 반면 설화 〈허웅애기본풀이〉는 노동과 육아를 모두 담당하는 ‘어머니’의 모습을 부각한다. 특히 설화에서 허웅애기는 염라대왕과 동네 할머니 또는 시어머니에 의해 모성이 장려되고 요구된다. 본풀이 역시 그와 유사하지만 강을생 심방 구연본은 허웅애기의 정체를 모호하게 그린다는 점에서 서사가 더 복잡하다. 처음에 콩쥐의 계모이던 허웅애기가 마지막에는 콩쥐 본인이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는 콩쥐의 계모인 허웅애기와 콩쥐인 허웅애기를 대비함으로써 모성의 양극단을 예시하려던 심방의 야심찬 의도를 보여준다. 문제는 그러한 심방의 의도가 실패한다는 점이다. 서사의 구조상 허웅애기는 이승을 떠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어머니의 자리는 공백으로 남아버린다. 대신 가부장제를 수호하는 시어머니가 그 자리를 차지하는 것이다. 강을생 심방본에서 허웅애기를 적극적으로 쫓아내는 시어머니의 행위는 모성이 가부장제 사회에서 일종의 권력이 됨을 암시한다. 즉 모성은 이해관계에 둘러싸여 있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왜 의례에서 〈허웅애기본풀이〉가 전승되었으며 왜 오늘날은 그 전승 맥락이 끊겼는가 하는 점이다. 이는 〈허웅애기본풀이〉가 ‘여성의 죽음’, 곧 ‘어머니의 죽음’을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궁구되어야 한다. 강을생 심방 구연본에 삽입된 콩쥐팥쥐 이야기는 이 신화가 그 무엇보다 ‘어머니의 죽음’에 방점을 두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갈래를 막론하고 〈허웅애기본풀이〉의 화자가 대부분 여성인 것도 이러한 어머니의 죽음에 여성들이 공감했기 때문일 터다. 다만 〈허웅애기본풀이〉의 의례 전승이 사라진 것은 서사가 그려내는 현실이 더 이상 각광을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제 ‘모성’은 저승과 이승의 공간적 제약을 넘으면서까지 고수해야만 하는 어떤 것이 아니다. 의례 전승이 끊긴 〈허웅애기본풀이〉의 존재는 어느덧 변화된 오늘날의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영어초록

    Recorded as a folk song, 〈HeoUngaegibonpuri〉 reveals the appearance of a ‘daughter’ who is shunned by her parents in front of death. On the other hand, 〈HeoUngaegibonpuri〉, which was recorded as a folktale, highlights the image of a ‘mother’ who is in charge of both labor and childrearing. In particular, in folktales, HeoUngaegi’s motherhood is encouraged and demanded by King Yeomra and the village grandmother or mother-in-law. Bonpuri is also similar, but the narration is more complicated in that Kang Eulsaeng’s version depicts HeoUngaegi’s identity vaguely. This is because HeoUngaegi, Kongjwi’s stepmother at first, becomes Kongjwi herself in the end. This shows Simbang’s ambitious intention to illustrate the two extremes of motherhood by contrasting Kongjwi’s stepmother HeoUngaegi with Kongjwi’s HeoUngaegi. The problem is that the intention of such Simbang fails. Due to the structure of the narrative, HeoUngaegi has no choice but to leave this world. Therefore, the mother’s place is left blank. Instead, the mother-in-law, who protects the patriarchy, takes the place. The mother-in-law’s act of actively expelling HeoUngaegi in Kang Eulsaeng’s version implies that motherhood becomes a kind of power in a patriarchal society. In other words, motherhood is surrounded by interests. What is important is why 〈HeoUngaegibonpuri〉 was handed down in the ritual, and why the transmission context was cut off today. 〈HeoUngaegibonpuri〉 depicts the death of a woman, that is, the death of a mother. The story of Kongjwi Patjwi, inserted in Kang Eulsaeng’s version, shows that the myth focuses more on “mother’s death” than anything else. Regardless of genre, most of the speakers in 〈HeoUngaegibonpuri〉 are women because women sympathized with the death of such a mother. However, the reason why the ritual transmission of 〈HeoUngaegibonpuri〉 has disappeared is that the reality depicted by the narrative can no longer be accepted. Now ‘motherhood’ is not something that must be adhered to beyond the limits of death. The existence of 〈HeoUngaegibonpuri〉, where the transmission of rituals has been cut off, shows the changed reality of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