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암(志巖) 정인채(鄭仁采)의 금강산(金剛山) 유기(遊記) 일고 (A Study on Jiam(志巖) Jeong In-chae(鄭仁采)'s A tour of Mt. Geumgang)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3.07
28P 미리보기
지암(志巖) 정인채(鄭仁采)의 금강산(金剛山) 유기(遊記) 일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76호 / 87 ~ 114페이지
    · 저자명 : 박종훈

    초록

    본고는 아직 학계에 보고되지 않은 정인채의 금강산 유기인 <해산지(海山誌)>의 특징적 일면을 검토하면서 금강산 유기의 편폭을 넓히고자 했다. 정인채는 1898년 2월 고향인 화순에서 출발하여 충북 옥천, 그리고 경기도 포천을 경유해 금강산을 유람하고 돌아온 4개월여 간의 기록을 <해산지>에 담아냈다. 총 19,175자로 기존의 금강산 유기와 비교해보아도 결코 적은 분량은 아니다.
    산수유기는 일반적으로 흥치가 주를 이룬다. <해산지> 역시 그러한 흥치가 십분 담겨 있다. 정인채는 총 110개의 풍경점을 설정하고 각 풍경점에 따라 서술을 이어갔다. 여정 중에 본 풍경을 나열하거나 그곳에서 느낀 흥치를 비유를 통해 묘사했는데, 이는 정인채만의 특징은 아니다. 오히려 유사한 풍경 혹은 동일한 지명을 갖은 지점을 지속적으로 비교하면서 각 지점에 대한 인식을 돈독히 한 것과 기존의 금강산 유기에서 언급하지 않았던 새로운 지점이나 유래를 소개한 것은 특징적 일면이었다.
    정인채는 산수 유람을 유자적 사유를 체험하는 장으로 활용했다. 불교에 대한 비판과 유자의 흔적에 집중한 것은 유자의 본분에서 비롯된 것이다. 게다가 주희나 송시열, 이항로, 최익현과 관련된 언급은 당대 상황과 맞물려 있어 깊이 있는 접근을 요한다.
    정인채는 금강산을 조선 오백 년 도읍지인 한양의 근간으로 설정했다. 이러한 인식은 강화도조약과 갑신정변, 을사조약 등 혼란만이 가중되던 시기의 타개책을 금강산에서 찾아야 한다는 논리로 자연스럽게 연결되었다. 금강산의 봉우리나 사찰, 암벽 등의 모습을 정치에 반영하면 혼란을 타개할 수 있으며 국맥도 이어나갈 수 있다고 역설한 것이다. 이러한 측면은 이전 혹은 이후 시기 금강산 유기에 보이는 금강산의 표상과는 전혀 다른 시선으로, <해산지>의 가장 특징적 일면이다.

    영어초록

    The study sought to expand the scope of records related to tours to Mt. Geumgang by reviewing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Haesanji(海山誌)>, which Jeong In-chae(鄭仁采) has not yet been introduced records related to tours to Mt. Geumgang.
    Jeong In-chae recorded in <Haesanji> the four-month-long record of departing from his hometown of Hwasun(和順) in February 1898 and returning to Mt. Geumgang via Okcheon(沃川), Chungcheongbuk-do(忠淸北道), and Pocheon(抱川), Gyeonggi-do(京畿道). It has a total of 19,175 characters, which is by no means small compared to the existing records related to tours to Mt. Geumgang.
    The Mt. Geumgang travel period is mainly about the excitement of travel. Such excitement is also the main content of <Haesanji>. Jeong In-chae set a total of 110 landscape points and continued to describe them according to each landscape point. It listed the scenery seen during the journey or revealed the excitement felt there through metaphors, but it is not unique to Jeong In-chae. Jeong In-chae strengthened the perception of each branch by continuously comparing similar landscapes or points with the same place name. It also expanded the scope of the Mt. Geumgang abandonment by introducing new points or origins that were not mentioned in the existing Mt. Geumgang travel journal.
    Jeong In-chae used the trip to Mt. Geumgang as a place to experience Confucian thoughts. Concentrating on the traces of Confucianism and the critical voice of Buddhism originated from Confucianism's duty. This part is also not unique to Jeong In-chae. However, these things are related to the situation at the time, and require an in-depth approach.
    Jeong In-chae recognized Mt. Geumgang as the starting point of Hanyang(漢陽), the capital of Joseon(朝鮮). This perception was naturally connected to the logic that a solution to the chaotic period at the time should be found in Mt. Geumgang. He emphasized that if the peaks of Mt. Geumgang, temples, and rock walls are reflected in politics, confusion can be overcome and the country's destiny can be continued. This aspect is the most characteristic aspect of <Haesanji>, which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representation of Mt. Geumga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