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조선족 농촌 집거구 해체 현상 연구 - 흑룡강성 밀산시를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Phenomenon of Dissolution of Rural Korean Ethnic Communities in China (PRC) - With a Focus on Mishan City in Heilongjiang Provinc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5.02
32P 미리보기
중국 조선족 농촌 집거구 해체 현상 연구 - 흑룡강성 밀산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재외한인학회
    · 수록지 정보 : 재외한인연구 / 35호 / 69 ~ 100페이지
    · 저자명 : 김재기

    초록

    중국의 개혁개방이후 한중수교와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중국 조선족 사회는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경험하고 있다. 중국의 대도시로 이주를 통해 중국 주류사회로 진입이라는 기회와 함께 조선족 농촌 마을의 인구감소로 집거구 해체위기를 초래하고있다.
    특히 산재(散在)지역 농촌지역 조선족의 역외로 대규모 유출은 조선족 공동체의 해체를 가속화 시키면서 민족 학교가 사라지고 정체성의 위기를 낳고 있다. 중국 동북3성에는 이름만 남은 조선족 마을이 양산되었으며 소수만 거주하는 마을도 다수가되었다.
    이 연구는 중국 동북3성 중 산재지구인 흑룡강성 밀산시 조선족 농촌 집거구 해체위기 현상을 조명하는 것이다. 중국 조선족 집거구 해체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1980년부터 2011년까지 30년간의 인구변동 자료를 분석하였다. 집거구에서 역외로대규모 인구가 유출되어 조선족 마을이 통폐합되고 토지 유출로 인한 토지 유전(流轉) 문제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흑룡강성 밀산시 31개의 조선족 마을이 17개 조선족 마을로 통폐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선족 농촌에서 조선족 농민의 역외 유출로 직접 농사를 짓지 않는 토지 규모는 전체의 93%였다. 밀산시 조선족 역외 인구 유출 규모는85%가 해외나 대도시로 유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외지호적을 갖고 있는 타민족의 이주도 1980년 0%에서 2011년 497호로 33.6%를 차지했다. 이러한 과정에서조선족 학교도 33개에서 2개로 줄어들었다. 학생 수도 4,189명에서 432명으로 줄어들었다.
    이러한 당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방촌과 같은 집중촌 건설을 통해 해결하려고 하고 있다. 그리고 촌민 개인이 토지 유전을 하는 것보다 촌민위원회를 통해서거래가 이뤄지도록 하고 있다. 대규모 농업 합작사를 만들어 대신 농사를 짓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촌민자치의 중심에 있는 조선족 마을 간부들의 역할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조선족 촌 간부 특히 당지부서기, 촌민위원회주임 등의 역할이중요하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After the Chinese government (PRC) enacted economic and political reforms and opened up, the ROK and the PRC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and globalization has taken off. Against this backdrop, the Korean ethnic community of China have experienced many crises and opportunities. By being free to migrate to the large cities of China, many Korean-Chinese have seen opportunities to enter mainstream society while at the same time the ethnic Korean villages have seen their populations drop to the point of presenting a crisis for the integrity of the ethnic community. The communities in much less densely populated regions have seen members leave on a grand scale, accelerating the breakdown of distinct Korean communities and the closure of Korean schools, precipitating an identity crisis. The three provinces of Northeast China had designated autonomous ethnic villages, but only the title of Korean remains in most of these villages where ethnic Koreans often comprise only a minority.
    This research examines a prefecture-level city, Mìshān, in the most remote of the three Northeast provinces, Hēilóngjiāng, seeking to illuminate the collapse of the Korean ethnic villages. To analyze the phenomenon, data on population shifts from 1980 to 2011 have been analyzed. The mergers and abolitions of autonomous ethnic villages and problems with land inheritance, brought about by mass out-migrations, are studied as well.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on Mìshān show that after various mergers and abolitions of autonomous ethnic villages, 17 out of an original 31 remain. Of the Korean-Chinese of Manchuria, 93 percent have ceased farming to migrate to other regions. In Mìshān, 85 percent have left for the large cities of China or have gone overseas. Chinese citizens of other ethnicites from other hometowns make up 497 households, or 33.6 percent of the population. In this way, the Korean-Chinese schools have dropped from 33 to 2 with a population of 432 out of an earlier 4,189.
    To solve this pressing problem, individual villagers are entrusting their land to villagers' committees instead of relying on individual ownership and inheritance. Large scale agricultural joint ventures are now doing the farming. To this end, the cadre of the autonomous ethnic villages are involved and the research concludes that these Korean-Chinese cadre, especially the local deputy secretaries and chiefs of the villagers' committees, play the leading ro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재외한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