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진지역 동학농민전쟁의 지역적 특성과 『경세유표』 전래설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1894 Donghak Peasant War in the Gangjin Region and Impact theory of ‘經世遺表(Gyeongseyupyo)’)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8.11
30P 미리보기
강진지역 동학농민전쟁의 지역적 특성과 『경세유표』 전래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실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실학 / 67호 / 289 ~ 318페이지
    · 저자명 : 홍동현

    초록

    강진은 1894년 강진읍성 전투, 강진병영 전투 등 동학농민군과 관군 사이에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지역이다. 특히 1890년대를 전후해서 동학이 전파된 이후 이 지역 출신 동학교도들은 1893년 교조신원운동과 1차 봉기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전주성 철수 이후 강진 동학농민군의 독자적인 활동보다는 장흥 동학농민군과의 합세 속에서 도소를 설치한다든지 또는 이후 전투를 치루고 있었다. 이는 강진지역이 갖는 하나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강진지역은 동학이 전파되던 초기부터 관과 유생들이 향약을 통해 동학의 확산에 대응해 왔으며, 이는 1894년까지 지속되었다. 이들 반동학농민군의 조직적인 대응으로 강진동학농민군의 독자적인 활동을 제약했으며, 결국 장흥동학농민군과 합세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한 배경 속에서 강진병영에는 반농민군이 동학교도를 내세워 ‘가짜 도소’를 설치했던 것이며, 이를 통해 타지역 동학농민군의 진입을 막을 수 있었다.
    또 한가지 특징은 강진에는 해남 윤씨 집안의 동학농민전쟁 참여가 두드러진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해서 다산이 18여년간 유배생활을 한 곳이 강진이며, 외가인 해남 윤씨 집안과의 학문적 교류가 활발했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겠다. 특히 다산 정약용의 대표적 저서인 『경세유표』가 전봉준 등에게 전해져 혁명의 불씨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는 윤세현이라는 인물이 깊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강진읍지』는 전하고 있다. 윤세현은 강진 대구 출신의 대표적인 동학농민군으로 강진동학농민군을 이끌었던 인물이다. 이는 결국 다산의 개혁사상이 해남 윤씨 집안에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학문적 배경이 그들로 하여금 동학농민전쟁에 참여토록 한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결국 그동안 동학농민전쟁의 사상적 배경을 실학사상에서 찾고자 했던 맥락에서 실학과 동학농민전쟁의 관계를 좀 더 실증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Gangjin is the region where fierce battles including the Gangjin fortress battle and the Gangjin barracks battle took place between the Donghak peasant army and the government troops. Specifically, since the transmission of Donghak during the 1890s, the Donghak followers from this region participated in the 1893 Movement to vindicate the innocence of the founder of Donghak and the first uprising. However, after the withdrawal from Jeonju castle, they built Dosos or fought subsequent battles by joining forces with Donghak peasant troops from Jangheung rather than act independently. This may be referred to 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Gangjin, In other words, the Gangjin region, authorities or Confucian scholars responded to the spread of Donghak through the Hyangyak from the beginning of the transmission of Donghak in the Gangjin region, and this extended in to 1894. The organized response of the anti-Donghak peasant troops restricted the independent activity of the Gangjin Donghak peasant troops, and ultimately they had no choice but to join forces with the Jangheung Donghak peasant troops. Against such a background, the anti-peasant troops installed a ‘fake Doso’ by putting up Donghak followers, which prevented the entry of Donghak peasant troops from other regions.
    Another characteristic is that the household of the Haenam Yoons in Gangjin noticeably participated in the Donghak Peasant War. In regards to this, it is necessary to note that the place Dasan was exiled to was Gangjin, and also that he actively interacted in academics with the Haenam Yoon household. In particular, Dasan Jeong Yak yong’s representative book 『Gyeongseyupyo』 is said to have been delivered to Jeon Bong-jun, and the 『Gangjin Town Chronicle』 says that a figure named Yoon Sae-hyeon deeply participated in this affair. Yoon Sae-hyeon was the representative Donghak Peasant troop to hav hailed from Gangjin Daegu and was a figure leading the Gangjin peasant troops. This means that ultimately the reformative thought of Dasan greatly influenced the household of the Haenam Yoons, and such a scholastic background may have enabled them to participate in the Donghak Peasant War. This seems to be the basis for a more positive approach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ilhak and the Donghak Peasant War within the context of attempting to find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Donghak Peasant war in Silhak thou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실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