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姜瑋 詩文學에 대한 당대의 평가-20세기 詩話를 중심으로 (The evaluation of Kang Wi’s Poetry–Focusing on the 20th Century Shi-Wha(詩話))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0.12
31P 미리보기
姜瑋 詩文學에 대한 당대의 평가-20세기 詩話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學報 / 43권 / 39 ~ 69페이지
    · 저자명 : 김보성

    초록

    秋琴 姜瑋(1820~1884)는 동아시아의 패러다임이 격변하는 19세기를 살아간 학자이다. 강위는 秋史 金正喜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朴珪壽, 吳慶錫, 劉大致 등과 함께 실학적 전통과 개화사상의 가교역할을 한 초기 개화사상가’로 평가받는다. 또 그는 李建昌, 黃玹, 金澤榮의 스승이자 당대 詩壇의 맹주로서 韓末 漢文學 四大家에 포함되는 문인이다. 한국한문학사에서 강위의 위상은, 그와 거의 동시기에 활동한 문인의 증언을 통해 가늠할 수 있다. 현전하는 개인 문집에도 강위에 대한 정보가 있긴 하지만, 강위보다 조금 뒷세대들이 신문에 게재한 글에 강위와 관련된 일화와 비평이 더욱 다양하고 생생하다. 예컨대, 일제강점기에 관료이자 문필가‧비평가로서 뚜렷한 족적을 남긴 茂亭 鄭萬朝(1858~1936)와 梅下 崔永年(1859~1935)의 기관지 寄稿(한문본)를 보면, 강위의 근대 시단에서의 위상과 시적 교류 양상, 그리고 그가 남긴 시문학의 작품성을 간접적으로 체득하게 된다.
    강위는 조선 말기 위대한 문인이자 사상가로 빠짐없이 거론되지만, 강위만을 온전히 주목한 선행연구는 많지 않다. 그리고 이 연구들은 강위의 작품 자체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전술했듯 문인 강위에 대한 당대 증언이 꽤 남아 있으므로 강위의 작품 자체를 분석하기에 앞서 그의 문학 활동을 주목한 역대 소견, 특히 그간 여러 사정으로 소외되었던 일제강점기 기관지에 게재된 기고의 풍부한 정보를 종합하는 일은 나름 유의미하다.
    앞으로의 서술은 다음의 단계를 거치고자 한다. 첫째, 강위의 문필 활동을 직간접적으로 목도했던 정만조의 글을 통해 당대 시단에서 강위가 점했던 위치를 구체화한다. 『매일신보』에 연재되었던 정만조의 <榕燈詩話>를 주된 근거 자료로 삼았다. 둘째, 강위의 시문학을 체계적으로 비평한 최영년의 글을 통해 강위 작품의 특징을 파악한다. 최영년은 『신문계』와 『매일신보』에 詩話를 장기 연재하며 근대 문인들을 두루 비평했던 인물이다. 정만조의 시화에 일화 비평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면, 최영년의 시화에는 작품 비평 혹은 이론 비평의 비중이 더 크다. 최영년의 여러 시화 속 예리한 비평을 발판 삼아 강위의 시가 어떠한 특징을 지니는지 살펴본다. 이상 20세기에 편찬된 詩話에 남은 강위의 문학적 자취를 따라감으로써 당대 대표 시인 강위의 면모를 명확히 마주하게 되리라 생각한다.

    영어초록

    Kang Wi(姜瑋, 1820~1884) is a scholar who was active in the 19th century, when the paradigm of East Asia was rapidly changing. Kang Wi learned from Kim Jeong-hee(金正喜), and is evaluated as ‘an early Enlightenment(開化) theorist, who linked between practical science philosophy and enlightenment ideology together with Park Gyu-su(朴珪壽), Oh Kyung-seok(吳慶錫), and Ryu Dae-chi(劉大致)’. In addition, Kang Wi was a teacher of Lee Gun-chang(李建昌), Hwang Hyeon(黃玹), and Kim Taek-young(金澤榮), and was the head of the poets at that time, and was among the four literary men(四大家) of Sino-Korean Literature(漢文學). Kang Wi’s reputation in the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can be estimated through the testimonies of literary men who were active at about the same time. The personal writings remain now containing information on Kang Wi. However, the stories and criticisms of Kang Wi are more diverse and vivid in the articles submitted to the newspaper by juniors born a little later than Kang Wi. For exampl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Jeong Man-jo(鄭萬朝, 1858-1936) and Choi Young-nyeon(崔永年, 1859~1935), who were active as bureaucrats and writers and critics, wrote articles (written in Chinese) that were submitted to the Maeil-Shinbo(每日申報). Based on these articles, you can indirectly experience Kang Wi’s reputation among modern poets, the way he communicated with poetry, and the literary value of his poems.
    Kang Wi is frequently mentioned as a great literary man and theorist in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studies that focused solely on Kang Wi were rare, and these studies only analyze specific literatures of Kang Wi. As mentioned earlier, there were a lot of testimony about Kang Wi as a ‘Moon-in(文人)’.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past views on his literary activities rather than analyzing his writings only. In particular, it is useful to synthesize a wealth of information from the articles submitted to newspape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ich were not noticed due to various circumstances.
    This paper addresses two major issues. First, through the writings of Jeong Man-jo who witnessed Kang Wi’s literary activities, the status of Kang Wi among the literary people at the time is revealed. Jung Man-jo’s <YongDeung-ShiHwa(榕燈詩話)> serialized in Maeil-Shinbo was used as the main material.
    Second, the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Kang Wi’s poems through Choi Young-nyeon’s writings that systematically criticized Kang Wi’s poems. Choi Young-nyeon is a person who criticized modern literary men for a long time in Sinmungae(新文界) and Maeil-Shinbo. Jeong Man-jo’s writings contain a lot of anecdotes. On the other hand, Choi Young-nyeon’s writings put more weight on literary criticism. Based on the sharp criticism of Choi Young-nyeon’s, the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Kang Wi’s poems. The paper suggests that through the literary traces of Kang Wi, which are left in the Shi-Wha created in the 20th century, Kang Wi who was representative poet at the time, can be clearly reveal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