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낙동강 하구에서 재갈매기(Larus vegae)의 장기적 도래 현황 (The Visitation Aspect of Vega Gull (Larus vegae) in the Long Period at Nakdong Estuary, Busan, Republic of Korea)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1.06
9P 미리보기
낙동강 하구에서 재갈매기(Larus vegae)의 장기적 도래 현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류학회II
    · 수록지 정보 : 한국조류학회지 / 18권 / 2호 / 123 ~ 131페이지
    · 저자명 : 홍순복, 이인섭

    초록

    본 연구는 1990년대 전반기(1989년 5월~1993년 4월)의 자료와 2000년대 중반기(2002년 5월~2006년 4월)의 자료를 분석하여 주변 환경이 급변하는 낙동강 하구에서 재갈매기(Larus vegae)의장기적 도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기간(1989년 5월~1993년 4월, 2002년 5월~2006년4월, 총 8차년도)에 관찰된 재갈매기는 42,505개체(21.08%)가 관찰되었다. 1990년대 전반기와 2000년대 중반기까지 조사한 재갈매기의 월 평균을 살펴보면, 겨울철새로서 1990년대 전반기는 12월부터 점진적으로 증가되어 3월에 가장 많은 개체수가 관찰되었으며, 2000년대 중반기에는 10월부터 점진적으로 증가되어 1월에 가장 많은 개체수가 관찰되었다. 월 평균에서 1990년대보다 2000년대에서 약 4배 정도 증가되었다. 개체 수의 변동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두 집단의 평균을 이용한Mann-Whitney U test에서 1990년대 전반기와 2000년대 중반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1990년대 전반기(Mean=2,134.00)보다 2000년대 중반(Mean=8,492.25)의 개체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대 중반기에 관찰된 재갈매기의 지역별 개체 수의 변동에서 5지역의 평균 개체 수는 928.85개체이었으며, 대마등(DMD)에서 376.75개체, 장자 ․ 신자도(JJ.SJD) 1,224.75개체, 사자 ․ 도요등(SJ.DY) 1,128.00개체, 을숙도남단(LUD) 1,117.75개체, 을숙도(USD) 797.00개체로 지역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갈매기(Vega Gull)는 최남단에 위치하고 있는 도요등, 신자도와 을숙도남단에서 주로 관찰되었다. 재갈매기가 다른 갈매기류 보다 낙동강하구의 남단지역에 주로 서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낙동강하구의 외해에는 조간대에서 수심 10m까지의 모래와 진흙이 섞인 바닥에 큰 쌍각류의 조개인 개량조개(hen clam)와 연체동물(molluscs) 등 다양한 종류와 많은 개체들이 서식하고 있다. 이들이 심한 파도 등으로 외해로부터 최남단에 위치하고 있는 도요등과 신자도에 밀려온다. 도요등과 신자도는 외해와 인접하고있는 넓은 나대지와 외해로부터 밀려오는 먹이를 채식하기에 용이한 지역이며, 을숙도남단에서 다른 갈매기류와 함께 무리지어 휴식지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To know the visitation aspect of Vega Gull (Larus vegae) in the long period at Nakdong estuary, Busan, Korea, we compared the data collected during the two periods between May 1989and April 1993, and between May 2002 and April 2006. Over for the 8 years of field surveys,42,505 individuals (21.08%) of vega gull were observed in the Nakdong estuary. In the early 1990s, the average number of the species gradually increased from December and the most number of individuals were observed in March. In the middle 2000s, the number of individuals gradually increased from October and the most number of individuals were observed in January.
    The average number of individuals recorded in the middle 2000s was about 4 times higher than that recorded in the early 1990s. Statistical analysis using a Mann-Whitney U test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individua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t 5% level between the early 1990s and the middle 2000s. The average number of individuals recorded in the middle 2000s (Mean=8,492.25) was much more than that recorded in the early 1990s (Mean=2,134.00). The average number of individuals observed at Nakdong estuary in the middle 2000s (2002. 3-2006. 4) were 376.75 in Daema-Deung, 1,224.75 in Jangja-Do & Shinja-Do, 1128.00 in Saja-Do & Doyo-Deung,1,117.75 in Lower ulsuk-Do, and 797.00 in Ulsuk-Do, and the total average of these 5 regions was 928.85. The number of individuals showed non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gions.
    Vega gulls showed a tendency that they have habitat more southern region than other kinds of gulls in Nakdong estuary. These birds were mainly observed Doyo-deung, Shinja-Do and Lower Ulsuk-Do which located southernmost region of Nakdong estuary. It was thought that Doyo-deung and Shinja-Do were good feeding site, because these islands have wide sand bar come in touch with the open sea and where many kinds of foods were driven from the open sea. And it was thought Lower Ulsuk-Do is utilized as roosting site with many other kinds of gul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류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