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길림-흑룡강성지역 신석기시대 어로구에 관한 검토 (A review on Neolithic fishing tools of the Jilin-Heilongjiang province)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8.05
34P 미리보기
길림-흑룡강성지역 신석기시대 어로구에 관한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 / 100권 / 100호 / 17 ~ 50페이지
    · 저자명 : 이상규

    초록

    길림-흑룡강성지역의 어로구는 크게 어망추 및 작살과 기타 찔개살·단식조침·빗창 등으로구분된다. 이 중 어망추는 석제와 토제로 대별되는데, 석제는 어망추홈의 양상에 따라 5가지 형태로 세분된다. 작살은 골각제만 확인되며 고정식과 분리식으로 구분되는데 전체형태 및 미늘의 수에 따라 14가지로 세분할 수 있다. 길림-흑룡강성은 한반도 면적의 3배에 달하는 상당히 넓은 지역으로 다양한 신석기시대 문화가 존재한다. 길장지역은 좌가산문화, 송눈평원지역은 앙앙계문화, 삼강평원지역은 신개류문화, 목단강유역은 앵가령하층문화로 대표되며, 각 문화는 지역에 따라 고유의 토기문화전통을 가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각 지역문화의 병행관계 설정 및 문화별 특징의 고찰을 통해 각 지역에 대한 어로구의 종합적인 검토를 하고자 한다. 시기의 구분은 어망추 및 작살의 양상에 따라 3단계로 구분하였다. 1단계는 좌가산1~2기·쌍탑1기·앙앙계문화 파산유형·신개류문화, 2단계는 좌가산3기·앙앙계문화 오복M2기·흥성1기·앵가령하층기, 3단계는 토성리기·오녀산성F48기·소랍합1기 을·석회장하층기에 해당한다. 공간적 양상에서는 각 단계에 따라 지역별 문화에 세부적인 차이가 있지만 큰 틀에서 송눈평원·길장지역 서편·삼강평원은 작살중심, 목단강과 길장지역 동편, 그리고 압록강 중·상류 및 두만강 중류역에서는 어망추 중심의 어로구양상이 확인된다.
    도구조성에서도 어로구 중 작살 중심지역은 수렵·어로구가, 어망추 중심지역은 굴지구와 제분구류 등 채집·농경구가 주로 조합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이는 생태환경 및 초기농경과 관련된 것으로 생각되는데, 어로구와 도구조성의 차이는 대체로 북위45°를 기준으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북위45°는 초기농경의 북방한계선으로 이와 더불어 환경적인 요소들이 두 어로문화권을 분리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반도동북지역과 길림-흑룡강성지역은 일정부분 유사성과 차이점을 모두 지니고 있는데, 이는 각 지역별로 생업조건에 따라 지역성을 가지며 발전해왔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Fishing tools in Jilin-Heilongjiang region can be distinguished by net-sinker, harpoon, spear·fish hook·shellfish gathering tool, etc. The net-sinkers were made of stone and ceramic, stone net-sinker can be categorized as five different types. Harpoons were only made of bone and categorized as stationary type and separable type, that would be sub-categorized as 14 types. Jilin-Heilongjiang region which is three times larger than the Korean peninsula, has various cutures in the Neolithic period. For instance, the Jilin province area is represented by Zuojiashan culture, Songnen plain area An’anxi culture, Sanjiang plain area Xinkailiu culture, and Mudan river Basin Yinggeling, lower stratum. Each culture has own culture of pottery. In this study, I examine aspect of the overall fishing tools of each region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gion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e chronology can be divided by three phases according to the aspects of net-sinker and harpoon. The first phase is comparable to the first two phases of Zuojiashan, the first phase of Shuangta, Bashan style of An’anxi, and Xinkailiu culture. The second phase is matched with the third phase of Zuojiashan, An’anxi culture, the secon phase of Wufu‘M’, the first phase of Xingcheng, and the lower layer of Yinggeling. Lastly, the third phase is corresponding to Tosung-ri period, Wunu mountain fortress F48 period, the first phase of Xialaha first period group B, and the lower layer of Shihuichang. In terms of the regional aspect, there are differences in details within each culture througout the phases but the overall characteristics can be summarized in to two: (1) harpoon centered fishing tools in Songnen plain·western Jilin region·Sanjiang plain, (2) netsinker centered fishing tools in Mudan river and eastern Jilin region, and upper reaches of the Amnokgang river and mid-Tumen river. When it comes to the tool composition, the harpoon centered fishing tools might be combined with hunting and fishing tools, the net-sinker centered fishing tools with digging tools, milling tools, etc. representing the combination of gathering and agriculture tools. These aspects are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ecological situtation and early agricultu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shing tools and the tool composition can be distinguished by reference at 45° north latitude. The northern limit of 45°N which is the northern limit of early agriculture, and evironmental factors might be considered to have separated the two cultural regions. North-eastern Korean peninsula and Jilin~Heilongjiang province regions have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since the each region had developed locality according to the regional conditions of subsist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상고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