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家康 국서문제의 僞造 및 改作과 동아시아 (Forgery and Modification of the Sovereign's Message by Tokugawa Ieyasu and East Asia)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7.12
42P 미리보기
家康 국서문제의 僞造 및 改作과 동아시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관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관계사연구 / 58호 / 213 ~ 254페이지
    · 저자명 : 김문자

    초록

    임란 후, 조・일 양국은 전쟁을 종결하고 안정적인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서 강화 및 국교재개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충분히 인식하면서 그에 따른 외교적 접촉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조선은 일본정세를 탐색하고 피폐해진 국내사정을 고려하여 경제・군사적인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적인 정책으로 1607년 제 1차 ‘回答兼刷還使’를 일본에 보냈다. 다만 사신파견의 전제조건으로 조선은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에게 먼저 국서를 보내서 강화를 요청하라는 ‘先爲致書’를 요구하였다. 이에 대해 1606년 11월 이에야스는 조선에 국서를 보내왔다. 지금까지 이 국서문제와 관련해서 기존 연구에서는 이에야스의 국내 정치 상황을 경시한 채 문서자체의 형식과 대마도의 관여 여부에만 관심이 집중되어 국서의 위조설, 개작설, 眞書설 등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전후처리를 조속히 해서 국가의 기강과 안전을 되찾으려는 조선, 더 이상 조선과 일본의 강화교섭에 관련하고 싶지 않은 명, 막부정권의 계승과 안정을 국내적으로 과시할 필요가 있었었던 일본 등 동아시아 삼국이 처한 대내외적인 환경 속에서 이 국서문제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조선은 조건이 충족되었고, 여진족의 발흥과 민심 이반, 왕권의 불신감 등으로 국가재건이 어려울지도 모른다는 상황과 손문욱 등의 적극적인 설득으로 이에야스의 국서를 인정하고 ‘回答兼刷還使’를 파견하였다.
    한편 명은 1604년 5월 이후부터 조・일 교섭에 간섭하지 않고 조선이 자주적・능동적으로 판단해서 처리하라 방침을 세웠다. 이것은 조선이 대일 강화에 의구심을 받지 않고 독자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조・일 국교재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일본의 이에야스는 조선침략에 의해 동아시아 사회에서 고립된 국제 관계를 회복하고, 조선과 명간의 국교 정상화를 꾀함으로써 국가 주권을 분명히 하고자 했다. 국내적으로 1600년대 초기만 해도 이에야스는 히데요리(秀賴)의 가신에 지나지 않았으며, 영향력 또한 전국적인 범위가 아니고 기나이(畿內)와 교토(京都) 근처에 한정되어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막부의 권위와 정통성을 인정받기 위해 조선 통신사의 來日은 절실한 과제였고,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을 수 없었다. 조선의 ‘先爲致書’요구는 결코 이에야스가 수용하기 어려운 조건이 아니었던 것이다. 또한 그는 1604~1607년 사이에 적극적으로 각국에 국서를 보내고 朱印船 무역을 장려했다. 조선과 처음 국교회복을 앞두고 對馬島 측근에게 모든 것을 위임하면서 국서의 위작이나 개작이 이루어지도록 이에야스가 방관하였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지금까지 조선과의 외교를 전담하였던 야나가와 시게노부(柳川調信)의 死와 손문욱-겐소(玄蘇)와의 친분관계로 대마도는 오히려 이에야스와 그의 측근들과 협조해야만 하는 상황이었다. 그러므로 1606년 11월에 보낸 이에야스의 국서는 그의 동의 없이 위조 또는 개작되었다고는 생각하기 어렵다고 본다.

    영어초록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hich is called the Imjin War (壬辰戰爭), both Joseon and Japan realized that they required a peace overture between them, and then should resume diplomatic relations in order to build a stable system following the end of the war. Then, they tried a diplomatic touch. Consequently, Joseon sent the first Reply and Prisoner Repatriation Envoy (回答兼刷還使) to Japan in 1607 as the Joseon policy toward Japan for reducing economic and military burdens after searching for situations in Japan and considering Joseon's domestic affairs ravaged by the war. Joseon required Tokugawa Ieyasu to send the Sovereign's message first before the peace overture between Joseon and Japan, that is, through "Seonwi ch'iseo" (先爲致書) as a precondition for sending envoys. Then, Ieyasu sent the Sovereign's Message to Joseon in the eleventh lunar month of 1606. Up to this point, in terms of the issue of the Sovereign's Message, existing research have focused mainly on the forgery theory of the Sovereign's Message, the modification theory of the Sovereign's Message, and the theory of the genuineness of the Sovereign's Message, because Ieyasu was only interested in the document format of the Sovereign's Message and an involvement in Tsushima without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domestic politics.
    However, the Sovereign's Message issue was reviewed in the context of Joseon, Ming China, and Japan in East Asia. Joseon tried to recover its national discipline and security by quickly dealing with these postwar issues. Ming did not want to be involved in the peace negotiations between Joseon and Japan any further, and Japan needed to display domestically the succession and stabilization of the Edo Bakufu.
    As a result, Joseon accepted the Sovereign's Message sent by Ieyasu and sent the Reply and Prisoner Repatriation Envoy to Japan. As conditions were satisfied, there was a fear that Joseon could not rebuild the nation due to the Jurchen, the alienation of the public, and the distrust in royal authority, as Son Munwook actively persuaded.
    Further, Ming made a policy that Joseon should take care of its own situation with independent and active judgments without being involved in the negotiations between Joseon and Japan from May 1604. In that Joseon could independently respond to the peace negotiations with Japan without doubt, this opportun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sump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Joseon and Japan.
    Ieyasu intended to establish national sovereignty through recovering the isolated relations in East Asian society through an invasion of Joseon and to attempt to normaliz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Joseon and Ming. In the early 1600s, Ieyasu was merely Hideyoshi's vassal, and his power was limited to the Kinai region (畿內) and the Kyoto area (京都), neither of which was a national area. In this situation, Joseon missions to Japan were an earnest need in order for the Bakufu to be recognized as holding the authority and the legitimacy of the government. Thus, he could not but actively respond to the request. Joseon's request for "Seonwi chi'seo" was not an unacceptable condition for Ieyasu. Also, he actively sent the Sovereign's Message to countries between 1604 and 1607 and promoted the shuinsen trade (朱印船). I do not think that Ieyasu left all matters to his associates in Tsushima and allowed them to produce the Sovereign's Message as a forged letter or as a modified letter before the recovery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Joseon.
    Because of the death of Yanagawa Shigenobu (柳川調信), who was fully responsible for the diplomatic relations with Joseon and the friendships between Son Munwook (孫文彧) and Genso (玄蘇), Tsushima had to cooperate with Ieyasu and its associate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believe that the Sovereign's Message of Ieyasu sent in the eleventh lunar month of 1606 was forged or modified without his cons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일관계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