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小北계열 雪峯 姜栢年이 머문 공간, 충청도 (Chungcheong-do, the space where Seokbong Kangbaeknyeon(雪峯 姜栢年) stayed)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24.04
39P 미리보기
小北계열 雪峯 姜栢年이 머문 공간, 충청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과 해석 / 42권 / 173 ~ 211페이지
    · 저자명 : 김묘정

    초록

    이 글은 雪峯 姜柏年이 머문 공간들, 그중에서도 설봉에게 있어 의미를 지니는 충청도라는 공간을 漢詩로 반추하고자 기획된 것이다. 이에 설봉이 머문 공간들을 전체적으로 개관하는 작업을 필두로 그에게 의미있는 공간들을 추출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로는, 충남 일대 설봉 집안의 世居地를 비롯해 更佳亭이라는 공간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설봉 집안인 晉州 姜氏의 경우 충남 천안, 아산 지역 일대에서 거주하였으며, 특히 설봉은 천안 豐歲村에 세거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충남 천안의 更佳亭을 새롭게 발굴하는 동시에 설봉과 그의 부친 竹窓 姜籒의 작품에서 모두 확인되는 공간임을 밝혔다. 두 번째로는 忠淸監司 시절 머문 공간이자 사후 장소인 충남 공주를 기점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설봉과 충남 공주의 인연은 1653년 충청감사를 지내면서 시작되었으며, 이후 공주는 사후 공간으로도 자리했으므로 이 지역과의 연관성을 살폈다. 아울러 설봉이 外職 생활 동안 여전히 서울을 지향한 면모를 포착함으로써 소북계열 문인의 정치적 특징 중 일부를 확인하였다. 세 번째로는 충북 吳中(淸州) 지역을 살폈는데, 한시를 통해 오중이 아름다운 장소이자 고향을 상징하고 있음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寶城 吳氏 外家宅이 존재했음을 밝혔다. 나아가 설봉이 이곳 䳱嶺에 거처를 마련하여 세상의 영욕을 잊고자 하였으나, 현실 세계에서의 영달함에 대한 갈망을 완전히 놓지 못했음을 파악하였다. 이 글은 한시에서 포착 가능한 지리적 실제 공간을 추출하는 작업을 필두로 그 공간이 지니는 의미를 밝힘으로써 작가와 지역 중심의 한시 지형도를 조금이나마 그려보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was designed to confirm the spaces of Seolbong Kangbaeknyeon(雪峯 姜栢年) stayed, especially the space called Chungcheong-do, which is meaningful to Seolbong, as Chinese poetry(漢詩). Therefore, starting with the work of examining the spaces where Seolbong stayed as a whole, the work of extracting spaces that are meaningful to him was carried out.
    First, focused on the space called Ganggajeong(更佳亭), including Se-geo-ji(世居地) of the Seolbong family in Chungcheongnam-do. In response, the ChinjuKang Descent Group(晉州 姜氏), a member of the Seolbong family, lived in the area of Chungcheongnam-do Cheonan, and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Seolbong lived in the Chungcheongbuk-do Pungse Village(豐歲村). In addition, it newly excavated the Ganggajeong(更佳亭) of Chungcheongnam-do Chungcheongbuk-do, and at the same time revealed that it is a space identified in both the work of Seolbong and his father, Jukchang(竹窓) Kangju(姜籒). Second, discussions were conducted starting from Chungcheongnam-do Gongju, a space where he stayed during the governor of Chungcheong(忠淸監司). The relationship between Seolbong and Chungcheongnam-do Gongju began in 1653 while staying in Chungcheong, and since then, Gongju has also been positioned as his tomb, so he examined the connection with the area. In addition, some of the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Sobuk(小北) writer were confirmed by capturing the aspect that Seolbong still pursued Seoul during his official life. Third, we looked at the Chungcheongbuk-do Ojoong area, and revealed through Chinese poetry that Ojoong was his hometown and the Boseong O Descent Group(寶城 吳氏) material family(外家宅) existed.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he tried to forget about his official life while living in Seolbong, but he could not completely let go of his desire for the real world.
    This article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draw a little bit of a topographic map centered on the artist and the region by revealing the meaning of the space, starting with the work of extracting the geographical real space that can be captured in the Chinese Poe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과 해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