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만경강유역의 점토대토기문화기 목관묘 연구 (A Study of Clay-stripe Pottery Culture Period Wooden Coffin Tombs in the Watershed Area of River Mankyung)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1.10
22P 미리보기
만경강유역의 점토대토기문화기 목관묘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39권 / 5 ~ 26페이지
    · 저자명 : 한수영

    초록

    최근 점토대토기문화의 대표묘제인 목관묘로 주목받는 곳이 바로 만강강유역이다. 만경강유역에서는 완주 갈동유적을 중심으로 덕동과 신풍유적 등 약 20여개소의 유적이 확인되었으나 적석목관묘나 팔주령․간두령과 같은 이형동기들은 전혀 보이지 않고 있어 남부지방의 일반적인 양상과는 차이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만경강유역 목관묘의 특징과 발전과정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만경강유역 목관묘는 대부분 구릉사면에 입지하고 있으며, 장축방향은 등고선과 직교한다. 무덤은 순수토광묘가 가장 많이 조성되며, 목관은 반원형의 통나무관과 판재관이 사용되고 있다. 목관은 완주 반교리와 전주 여의동유적에서 처음 등장하는데, 송국리형 문화의 묘제인 2단석개토광묘에 목관이 사용되고 원형점토대토기, 흑도장경호, 조문경 등이 유입되고 있다. 이후 익산 오룡리나 김제 서정동 등에서 통나무관과 세문경이 추가되며, 기원전 2세기경에는 청동기의 발달과 더불어 유적도 가장 많이 조성되고 있다. 기원전 2세기 후반에 철기와 유리가 출현하고, 기원전 1세기경이 되면 단조철기의 등장, 청동기의 감소와 함께 목관묘 유적도 더 이상 확인되지 않고 있다.
    또한 이른 시기의 목관묘는 묘광의 규모나 부장유물의 차이가 거의 없으나, 철기가 부장되면서 무덤의 규모나 부장유물에서 격차가 발생하고 있어 이를 신분의 세분화와 연관시킬 수 있겠다. 즉 무덤의 규모와 관의 사용, 철기의 부장 등이 상관관계를 가지며 세력의 집중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영어초록

    The representative tombs of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or Clay-stripe Pottery Culture is wooden coffin tombs surrounded with piled stones and wooden coffin tombs, leading for the watershed area of river Mankyung to receive a significant attention in a recent time. However, in the watershed area of river Mankyung, drip stones of wooden coffin tombs or Bronze Bells or the Unique Bronze Ritual Implements such as Eight-armed Bronze Bells are not seen at all.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a memorial service held before the grave in the watershed area of river Mankyung.
    Wooden coffin tombs in the watershed area of river Mankyung had Black Burnished Pottery, Bronze Axes, and the Mirros with coarse lines on their back emerged in the Yeouidong since it was firstly emerged in the Pankyori, constituting groups of tombs with iron wares based on the area of Galdong. Wooden coffin tombs showed only a few difference with items left over burials, but a difference of the size of the tombs has emerged since iron wares were buried with a dead person's personal belongings with the corpse, leading to connect them with specification of the class of society. In other words, the size of the tombs, usage of iron wares, and burial of a dead person's personal belongings of iron wares with the corpse become co-related, showing a centralization of power.
    In the watershed area of river Mankyung, there was almost none of the relics in the next phase from wooden coffin tombs, making it unfeasible to find out a development toward next phase, but it was regarded for a insufficient circulation of iron wares substituted by bronze artifacts as a material representing prestige of the social class to be a main reason of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