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국시대 임진강 유역 관방체계와 덕진산성 (The Defense systems of the Imjin River Basin and Dukjinsanseong Fortress during the Three Kingdom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7.02
28P 미리보기
삼국시대 임진강 유역 관방체계와 덕진산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문화 / 56호 / 199 ~ 226페이지
    · 저자명 : 서영일

    초록

    삼국시대 임진강은 고구려와 백제 및 신라의 경계 지대였다. 따라서 주요 도강 지점을 중심으로 삼국 대립과정에서 축조된 많은 성곽이 있다. 임진강을 중심으로 방어체계가 형성되기 시작한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기록과 고고학 자료를 고려하면 대체로 5세기경부터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4세기 후반 고구려와 백제의 전쟁은 주로 예성강 유역에서 발생하였다. 하지만 4세기 말에서 5세기 초에 들어서면서 전투지역이 임진강 유역으로 확대되었다. 특히 임진강 북쪽 마식령산맥(임진북예성남정맥) 일대가 격전지였다. 산줄기를 관통하는 고갯길을 중심으로 방어선이 형성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5세기 후반 경부터 고구려는 임진강의 도강처에 보루라 불리는 관방시설을 축조하기 시작하였다. 한강 유역으로 진출하는 교두보를 구축한 것이다. 이후 7세기 전반 경 신라가 임진강 유역에 진출하여 임진강 남안 지역에 성곽을 축조하였다. 그 결과 임진강 북쪽의 고구려와 그 남쪽의 신라가 서로 대치하는 상황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나당전쟁기까지 유지되었다.
    임진강의 관방은 나루나 여울 등 대부분 도강처에 축조되었다. 교통로를 상호견제하기 위하여 축조되었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 덕진산성은 임진강 유역에서 한강 하구에 가장 가까운 성곽에 속한다. 한강 하구와 임진강 수로는 물론 육로도 통제할 수 있다. 고구려와 신라의 전쟁 원인은 한강하구와 경기만의 제해권을 차지하기 위한 경쟁과 관련되었다. 따라서 한강하구를 통제할 수 있는 덕진산성의 전략적 가치는 점차 높아졌다. 호로고루에서 덕진산성에 이르는 지역이 방어의 핵심지역이 되었다.

    영어초록

    The Im-Jin River(臨津江) was on the border between Koguryŏ(高句麗) and Baekje(百濟), Shilla(新羅)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Lots of Fortresses were built along the places of crossing the river in the conditions of political conflict. It is believed that the defense system came into the Im-Jin River approximately in the 5th century considered with historical documents and archeological evidence.
    In the 4th century, the territorial dispute between Koguryŏ and Baekje was mainly broken out through the Ye-Song River(禮成江). But the war was expanded into the Im-Jin River during the late 4th and early 5th century. The northern mountains from the Im-Jin River, called MaShik-Leong Mountains(馬息嶺山脈), were the intense battle fields of war. From the late 5th century, Koguryŏ started to construct the fort at the sites of crossing the Im-Jin River to secure a bridgehead to Han River(漢江). In the first half 7th century, Shilla advanced to the Im-Jin River and made up the fortresses in the southern places of it. The situation of confrontation between two kingdoms was kept until the Tang China-Silla war.
    The fortresses in the river were located mostly at the ferries or the neck of the rapids to control the traffic route mutually. Likewise, Dukjinsanseong Fortress(德津山城) situated in the Im-Jin River which one is the nearest from the mouth of Han River. The competition between two kingdoms to take the control of Han River and the bay of Gyeong-gi(京畿灣) was one of the main reasons of the war. Therefor, the value of Duk-Jin Fortress was increased with the possibility to observe on the mouth of Han River as well as the traffic route of Im-Jin River. Besides, it was the key line of defense from Duk-Jin Fortress to Horogoruseong Fortress(瓠蘆古壘城) in the Im-Jin Riv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