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睡隱 姜沆의 連作形 題詠詩 고찰 (A Study on Su-eun Gang Hang's Poetry, A Series of Poems on Arbor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0.02
31P 미리보기
睡隱 姜沆의 連作形 題詠詩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문화연구 / 25호 / 137 ~ 167페이지
    · 저자명 : 박세인

    초록

    본 논문은 睡隱 姜沆(1567, 명종 22~1618, 광해군 10)의 連作形 題詠詩인 <水月亭三十詠>과 <癡軒八詠>의 대비적 고찰 통해 睡隱詩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혀보고자 연구된 것이다. 수은의 문집 睡隱集에 수록된 14제 52수의 제영시 중 연작형 제영시는 이들 두 작품뿐이다. <수월정30영>과 <치헌8영>은 누정 주변에 펼쳐진 자연 경관을 시적 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7언절구로서 8연 이상의 연작시라는 형식적 유사성이 있다. 그러나 자연에 대한 감흥을 표현하는 방식에서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두 작품의 作詩 배경과 연작의 구성 방식 그리고 物象의 형상화 양상 등에 대한 비교 검토를 통해 수은의 연작형 제영시가 갖는 시적 지향까지 살펴보았다.
    먼저, 수은이 水月亭과 癡軒을 대상으로 지은 <水月亭記>와 <癡軒記>를 통해 <수월정30영>과 <치헌8영>의 작시 배경을 고찰하였다. <수월정30영>은 정치적 실패를 경험하고 귀향한 수월정 주인 鄭渫의 상처를 위로하고 격려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그에 비해 <치헌8영>은 치헌의 주인이자 수은과 사돈 간인 丁鎔의 ‘어리석은[癡]’ 삶의 가치와 자긍심을 드러내고자 창작되었다.
    <수월정30영>과 <치헌8영>은 모두 八景歌型 연작 제영시에 속하지만, 가장 기본적 공통점인 소제명의 제명 방식에서부터 차이가 두드러진다. <수월정30영>의 소제명은 자연 경관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방식이나, <치헌8영>은 상징적 의미가 유사한 경물을 단순히 반복적으로 제시하고 있을 뿐이다. 연작의 구성에서도 <수월정30영>은 序(제1영)-本(제2영~제24영)-結(제25영~제30영)의 안정적인 3단 구성 안에 수월정 주변의 다양한 경관을 펼쳐 놓았다. 그러나 <치헌8영>은 本(제1영~제7영)-結(제8영)의 2단 구성을 통해 癡翁의 인품과 유관한 경물을 되풀이하고 마지막 8영으로 종결하는 방식이다.
    수은은 이렇게 서로 다른 구성 방식을 통해 두 작품의 상이한 작시 의도에 따라 물상을 형상화하고 있다. <수월정30영>에서는 자연의 다기함을 활용하여 이상적 세계를 표현하였다. 이에 따라 시간의 순환적 질서를 통한 자연의 영속성과 불변성, 경물의 조화로움과 다채로움, 자연과 동화된 인간의 모습 등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비해 <치헌8영>은 다소 단조로운 형상들을 보여주고 있다. 즉, 수은은 지조와 절개를 상징하는 경물을 선택하여 치옹의 ‘어리석고 우직한’ 삶의 ‘정신적 우월함’을 반복해서 드러내고 있다.
    한편, 수은과 수월정 주인 정설 그리고 치헌의 주인 정용에게서 ‘버려짐[棄]의 상처’와 버려진 후에 ‘자연으로의 귀의’라는 동일한 경험이 발견되고 있다. 수은은 일종의 동류의식을 바탕으로 이들을 위한 작시 행위를 하고 있으며, <수월정30영>과 <치헌8영>을 통해 자연 속에서 상처의 치유를 통한 자존의 회복을 지향하고 있다.

    영어초록

    Examining Su-eun(睡隱) Gang Hang(姜沆, 1567~1618)'s <Suwalljung 30 Poems(水月亭30詠)> and <Chihun 8 Poems(癡軒8詠)>, this article aims to enlarge an understanding of Su-eun's poetry. A Su-eun's literary collection, Sueunjip(睡隱集) includes his poems on arbors(52 poems under 14 titles), the poems of which <Suwalljung 30 Poems> and <Chihun 8 Poems> are only written as a series of poems.
    First, I examined the context in which <Suwalljung 30 Poems> and <Chihun 8 Poems> were written by consulting Su-eun's two essays, Suwalljung and Chihun. Su-eun wrote <Suwalljung 30 Poems> to encourage Jung Sul(鄭渫) the owner of Suwalljung, who had retired to the country after his political failure. Meanwhile, <Chihun 8 Poems> was written to emphasize an ironic value of ‘silliness[Chi(癡)]’ in Jung Yong(丁鎔)'s life as honesty and sincerity, who was the owner of Chihun and Su-eun's in-law.
    Although both <Suwalljung 30 Poems> and <Chihun 8 Poems> are a series of poems that contains a good deal of landscape, there are remarkable differences in the ways in which poems in each series are titled. The titles of the poems in <Suwalljung 30 Poems> vividly describe the landscape of Suwalljung, but the titles in <Chihun 8 Poems> merely present natural objects that imply human nature. As for poetic forms, <Suwalljung 30 Poems> describes the landscape in a well-structured form: Introduction(Poem1)–Body(Poem2~Poem24)–Conclusion(Poem25~Poem30); however, <Chihun 8 Poems> consists of only 2 parts, Body(Poem1~Poem7) and Conclusion (Poem8), in which the described natural elements mirror Sir. Chi(癡翁)'s life.
    Then, I looked into poetic styles. <Suwalljung 30 Poems> creates an ideal world that embodies the eternity and constancy of nature, harmony and variety, and human life close to nature. Meanwhile, <Chihun 8 Poems>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silly yet honest life’ in a simple description of natural elements that symbolize fidelity and honor.
    Finally, I examined poetic vision of <Suwalljung 30 Poems> and <Chihun 8 Poems>. Su-eun, Jung Sul and Jung Yong, all of them suffered from ‘abandonment’ and returned to ‘nature’ after abandonment. Thus, Su-eun composed the poems for both Jung Sul and Jung Yong in empathy with them and tried to recover his self-esteem by healing his wounds in n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가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