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산강의 인문지리와 ‘갱번’문화 試論 (An Anthropogeographical Study of the Youngsan River and a Poetics of Gangbeon Cultur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1.12
33P 미리보기
영산강의 인문지리와 ‘갱번’문화 試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도서문화』 / 38호 / 61 ~ 93페이지
    · 저자명 : 이윤선

    초록

    본고는 영산강의 생활문화를 논의의 기반으로 삼아 그 속에 형성되어 온 인문지리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유구한 역사와 문화적 부침을 통해 형성되어 온 영산강은 현재 생태환경의 측면에서 난관에 봉착해 있다. 본고에서 고찰하는 인문지리적 키워드로 이를극복하는 돌파구를 마련해볼 수 있을 것이다.
    영산강의 어로와 농경은 유구한 역사를 자랑한다. 그 중에서 담양군 수북면 황금리 들노래와 농경생활, 광주시 서창 만드리와 농경생활, 나주 동강면 옥정리의 어로생활, 무안군 몽탄면 몽강리의 옹기생활, 영암군 신북면 갈곡리 들소리와 농경생활, 영암군 삼호면 산호리 어로생활, 무안군 옥암리 초당산 반농반어생활, 영암군 나불도 어로생활, 목포시 하당 갓바위마을 어로생활, 영암군 용당마을 어로생활 등 현지조사를 통해 농경과 어로생활의 중첩을 살펴보았다. 또 이것이 영산강의 물류를 따라 장시의 발전으로 이어지고 남도문화권역의 민속음악이 발전해가는 토대가 되었음을 살폈다.
    어로와 농경을 기반으로 한 영산강의 문화를 해석할 수 있는 키워드로 첫째 ‘갱번’을 들었다. ‘갱번’은 서남해 도서지역에서 바다를 호명하는 방식으로 사용해왔다. 반대로 영산강 중,상류지역에서도 강을 바다로 인식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따라서 강과 바다를 크게 구분하지않는 인식 즉, ‘갱번’이라는 호명방식을 통해 이 지역의 문화적 특성을 고구할 수 있다고 보았다. 두 번째는 매향비이다. 영산강 주변과 서남해 각 지역에 있는 매향비가 강과 바다의결절지에 존재한다고 하는 점을 들어 ‘갱번’의 인식에 대한 논거를 보충하였다. 세 번째는 고려 이후 존속되었던 영암군 남해포의 위치다. 삼대 해신사의 하나인 남해포는 강원도의 양양,황해도의 풍천과 더불어 각각 동서남쪽의 바다의 접경에 설치되었다. 따라서 남해포 이하 영산강은 바다라는 인식이 가능하다. 네 번째로 영산강 조수간만의 경계다. 여러 가지 자료를통해 영산강 상류까지 조수감조구간이 확장된다는 점을 논거하였다. 다섯 번째로 물길에 따라 구획되었던 전통적인 행정구역을 들어 ‘갱번’의 논리를 보강하였다.
    이를 통해 영산강 문화권역을 ‘갱번’이라는 키워드로 묶을 수 있다고 보고 이를 ‘홍어삼합론’으로 이론화해보았다. 홍어가 연안다도해인 흑산도에서 출발하여 영산강을 거쳐 내륙인나주 영산포에 이르는 길이 바로 남도문화의 삭힘의 길이라는 것이고 이를 홍어삼합론이라는문화적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질뢰즈의 영토화 개념 즉 리토르넬로를인용하여 홍어 판매로가 영산강 뱃길의 물류기술이듯, 바다문화가 내륙문화로 이어지는 ‘길’에서 만들어진 문화기술이 ‘삭힘’의 기술이고 이것이 판소리와 남도민요의 독특한 ‘시김새(삭히다의 명사형)’가 된다고 보았다. 이를 바다와 강이 크게 구분되지 않는 즉 ‘갱번’권역을 미학적 준거로 삼는 공간의 삼합(연안다도해 → 영산강 → 내륙)으로 풀이하였다. 따라서 오늘날 생태적으로 매우 막중한 상황에 직면해 있는 영산강의 문제를 ‘갱번’의 공간인식으로 재구성하여 남도문화에 대한 재영토화를 시도해야 한다고 보았다.

    영어초록

    have been formed, based on the life culture in the Youngsan River. The river have been formed by cultural ups and downs with long history, but now meets the difficulties at the aspect of an ecological environment. The study could present a breakthrough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with the anthropogeographical key words to be discussed by this study.
    The fishery and agricultural lives in the Youngsan River are proud of their long history.
    The study looks into the overlays of two lives by a fieldwork; the farm song in Hwanggeum-ri, Subuk-myeon, Dangyang-gun and the agricultural life at there, the farm song in Mandeu-ri, Seochang, Gwangju city and the agricultural life at there, the fishery life in Okjung-ri, Donggang-myeon, Naju-gun, the pottery life in Monggang-ri, Mongtan-myeon,Muan-gun, the farm song in Galgok-ri, Sinbook-myeon, Youngam-gun and the agricultural life at there, the fishery life in Sanho-ri, Samho-myeon, Youngam-gun, the mixed life of agriculture and fishing in Chodangsan, Okam-ri, Muan-gun, the fishery life in Nabuldo,Youngam-gun, the fishery life in Gatbawi village, Hadang, Mokpo city, the fishery life in Yongdang village, Youngam-gun, and so on. Moreover, the study affirms the lives connected with the development of Jangsi along the stream of the Youngsan River, and also it became the foundation that the folk music of southern cultural zone was developed.
    The study presents five key words to be able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the Youngsan River based on fishing and agriculture. The first key word is Gangbeon, which have been used to call sea in the southwestern islands area. On the contrary, people lived in the up and middle stream of the Youngsan River tend to recognize the river to sea. The study * HK Research Professor, Mokpo National University 영산강의 인문지리와 ‘갱번’문화 試論 93considers their recognition, that is, there is no big difference between river and sea expressed by the naming way of Gangbeon, could represen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in this region.
    The second one is Maehyangbi, a stone monument. The study supplements data about the recognition of Gangbeon with the point that the stone monuments around the Youngsan River and the southwestern area locate in knotted point between sea and river. The third one is the position of Namhae inlet in Youngam-gun, which has been existed since Gorye Dynasty. Namhae inlet, one of the three temples for the sea god, was located in the border of the southern sea as the temple of Yangyang in Gangwon Province met the eastern sea and the one of Pooncheon in Hwanghae Province met the western sea. According to this fact,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Youngsan River located in the below of Namhae inlet is to sea. The fourth one is the boundary of the high and low tide in the Youngsan River. The study proves it with various data that the tidal area is expanded to the upsteam of the Youngsan River. Finally, the study strengthens the logic of Gangbeon by the traditional administrative district divided by seaways.
    With these key words, the study considers that the cultural zone of the Youngsan River could be bound by the key word, Gangbeon and also makes a theory of Hong-eo-samhap.
    This means it is the road of the fermentation in the southern culture that Hongeo starts from Heuksan-do, passes by the Youngsan River, and arrives to Youngsan inlet in Naju city. This also means that the road could be explained by a cultural theory called Hong-eo-samhap. The study considers that the cultural technology, made in the road where sea culture connects with inland culture, is to the technology of fermentation and at the same time, it becomes ‘sigimsae(nominal formation of ‘sakhida(ferment)’) which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thern folk songs and Pasori. In addition, the study interprets Gangbeon zone not to be divided by sea and river as the three-mixed space of costal islands,the Youngsan River, and the inland having aesthetic conformity. Conclusionally, the study considers that the problem of the Youngsan River faced with ecologically serious situation should be reorganized by Gangbeon space and then the re-territorialization about the southern culture should be needed to 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