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 하구역 활성화를 위한 자원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 낙동강 하구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nalysis for Vitalization of River Estuary - Focused on the Nakdong Estuary -)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8.12
11P 미리보기
강 하구역 활성화를 위한 자원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 낙동강 하구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경학회지 / 46권 / 6호 / 49 ~ 59페이지
    · 저자명 : 안병철, 권진욱

    초록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 자원들의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을 위해 통계분석 SPSS 24.0 Pearson chi-square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3가지로 요약하였다.
    첫째, 낙동강 하구 자원의 중요도 분석에서 생태자원이 27.1%로 가장 높았으며, 경관자원 18.5%, 수변레저자원 6.5%,복합문화자원 5.4%, 역사문화자원 3.3% 순으로 분석되었다. 설문대상 그룹별 중요도의 유의확률은 성별과 연령별, 조사장소별 조사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여성은 남성보다 생태자원의 선호가 2배 높았으며, 미술관 등 복합 문화자원에서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수변레저 자원에서는 남성이 2배 높은 값을 보였다. 연령별 분석에서 수변레저 자원선호는 20~30대에서 타 연령대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복합문화자원은 30대에서 타 연령대보다 약 3배 이상 높은값을 보였다. 직업에 따른 선호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05).
    둘째, 만족도 분석에서는 경관 자원의 만족도 평균은 6.01, 생태자원은 5.65이며, 문화자원이 5.15로 분석되었다. 성별에 따른 경관자원과 생태자원, 연령에 따른 경관자원, 지역에 따른 생태자원, 직업에 따른 경관자원과 생태자원의 만족도는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별에 따른 경관자원과 생태자원의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문화자원에서는 유의확률(p=0.012)을 보였다. 연령에 따른 경관자원의 만족도 조사에서 40~50대에서 경관자원의만족이 높은 반면, 20대에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부산ㆍ경남 거주자와 그 외의 거주자들의 경관자원과 문화자원의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생태자원의 만족도 분석에서는 두 집단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수 있었다. 직업에 따른 경관자원과 생태자원의 만족도 조사에서 대학생, 공무원, 일반인, 전문가 집단의 만족도는 유의한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문화자원의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낙동강 하구 자원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경관, 생태, 문화 자원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각각의 집단의경관자원 만족도 평균은 각각 6.19, 6.08, 5.67로 분석되었으며, 생태자원의 만족도는 5.95, 5.57, 5.41로 분석되었다. 중요도와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수준으로 분석되었으나, 문화자원에 대한 만족도 상관관계는 유의한 차이(p=0.025)가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하구 자원의 가치 향상과 활성화를 위해 15개 세부 항목을 분석한 결과, 생태관광 활성화(49.5%)와 갈대습지 복원(47.5%)이 우선적이었다. 생태자원의 가치 향상에 대한 인식이 돋보였으며, 하구 주변의 인프라개선과 자전거길, 산책로, 수변레저 등이 강 하구 활성화의 요건으로 분석되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resources in the mouth of Nakdong River.
    A Pearson’s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in SPSS 24.0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result of the study was summarizedby three points.
    First, the results of importance analysis on resources in Nakdong estuary found that the importance of ecology resourceswas the highest with 27.1%, followed by landscape resources (18.5%), waterside leisure resources (6.5%), complex culturalresources (5.4%), and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3.3%). The probability values (p-value) of each group had shown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gender, age, and the location of the survey. For instance, women respondents reporteda higher preference to ecology resources and complex cultural resources such as museums than men respondents as muchas two times and three times, respectively. Meanwhile, men respondents showed a higher preference to waterside leisureresources in three times as much as women respondents. As for the analysis by age, the respondents in their 20s and30s recorded a higher value than those in other age groups, and people in their 30s reported a higher preference to watersideleisure resources than those in different age groups by three times. Last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preference analysis by occupation (p>.05).
    With regard to the results of satisfaction analysis, the average level of satisfaction on landscape resources was 6.01,and that of ecology resources and complex cultural resource were 5.65 and 5.15, respectively. Also, significant differenceswere found between landscape and ecology resources in the satisfaction analysis by age, landscape resources by age, ecologyresources by region, and between landscape resources and ecology resources by occupation. The p-value of complex culturalresources was p=0.012, although the satisfaction level of landscape resources and ecology resources were reported to have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age. As for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landscape resources, respondents in their 40s and 50sshow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However, those in their 20s showed a relatively low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samecategory. The survey respondents living in Bu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those living outside the region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satisfaction in landscape resources and complex cultural resources. However,the two same groups were found to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analysis on ecology resources. In thesatisfaction analysis of landscape resources and ecology resources by occup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college students, government employees, ordinary citizens, and expert groups. However, the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in the level of satisfaction to complex cultural resources.
    Third, the results of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on Nakdong estuary found that the average levels of satisfactionto landscape resources for each group of respondents who considered landscape, ecology, and cultural resources as importantwas 6.19, 6.08, and 5.67, respectively. Their levels of satisfaction on ecology resources were 5.95, 5.57, and 5.41 for each.
    Its correlation to the importance was insignificant.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relation to the level of satisfactionon complex cultural resource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25).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15 detaileditems that was carried out with the aim to improving values and vitalizing resources in the mouth of Nakdong River foundthat respondents considered that the vitalization of eco-tourism (49.5%) and restoration of reed marsh (47.5%) were important.
    The results of detailed analysis revealed respondents’ high awareness on the need of enhancing values on ecology resources.
    Also, improving infrastructure nearby the mouth, creating cycling routes, walkways, waterside leisure facilities, and otherswere considered as the requirements for the vitalization of Nakdong estua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