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전쟁과 낙동강, 가려진 현실의 융기 − 임권택의 「洛東江은 흐르는가」를 대상으로 − (Nak-Dong River and Korean War, Protrusion of buried Reality: Interpreting 「Does the Nak-Dong River Flow」 by Im, Kwon taek)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1.01
25P 미리보기
한국전쟁과 낙동강, 가려진 현실의 융기 − 임권택의 「洛東江은 흐르는가」를 대상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56호 / 369 ~ 393페이지
    · 저자명 : 문선영

    초록

    이 논문은 한국전쟁을 다룬 임권택의 「洛東江은 흐르는가」를 통해 한국전쟁 가운데 치열하기로 이름난 낙동강전투가 영화담론으로서 어떤 의미망을 지니는지 살펴보려는 의도 아래 기획 집필된 것이다. 이때 중심되는 화두는 ‘한국전쟁과 영화담론’이다.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한 영화를 대상으로, 당대 전쟁영화의 의미망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임권택의 「洛東江은 흐르는가」는 1976년에 제작되었다. 「洛東江은 흐르는가」는 한국전쟁 당시 북한군과 대적하는 남한군의 고군분투를 그린, 임권택 감독의 이른바 반공영화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洛東江은 흐르는가」에서는 반공영화가 주요 관심사가 될 수 없다. 한국전쟁을 배경으로든 전경으로든 담은 영화가 피해갈 수 없는 맥락이 바로 ‘반공’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한국전쟁을 담은 영화는 끊임없이 제작되고 있고, 여기서 ‘반공’에 대한 논란은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만큼 반공이 논란의 선상에 놓이는 것은 한국전쟁이 지닌 특수성 때문이다.
    이 논문은 이렇듯 한계담론으로 지적되는 ‘반공’의 이면에 숨겨진 담론들을 임권택의 「洛東江은 흐르는가」가 어떻게 표명하고 있는지 살폈다. 아울러 적과 동지의 구분이 모호한 한국전쟁의 아이러니성을 극명하게 표출시킨 ‘낙동강’의 공간성과 함께 그 속에 놓인 소년병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한국전쟁의 면모를 도출하였다. 여기서 ‘꽃의 메타포’로서 기억의 저편에 묻힌 과거의 진실들, 잘 표현된 불행의 여정들을 탐색하였다. 본고는 인간의 모순, 감각의 윤리, 생존의 숭고 등 여전히 진행형으로 우리 삶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한국전쟁의 상흔들을 ‘낙동강’을 배경으로 곱씹는 데 바쳐져 있다.

    영어초록

    The present paper examines the film historical significance of Korean War through Does the Nak-Dong River Flow by Im Kwon-taek. Nak-Dong River in the time of Korean War, as the border landmark of fratricidal war, has its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field of tragedy which decides between victory and defeat. A few sets of its significances could be drawn out from the cinematographic embodiment of that Nak-Dong River. A summary of the discussion is as following:First of all, Does the Nak-Dong River Flow is worth being counted as the masterpiece of war films. Despite its faithfulness to the anti-communist film, it also escapes the scope of ‘anti-communism’ and raises a solemn question as to the misery of fratricidal war, making a war movie based on humanity as a whole.
    With its well-made mise-en-scene, Does the Nak-Dong River Flow is before anything else a movie made with a great enthusiasm for the embodiment of 'Nak-Dong River.' In the movie Nak-Dong River posits itself not only as the significance of the site of tragedy covered with blood and carcases but also as the significance of love and parting at the same time. These are extracted from the situation of child combatant Cheon Tae-sik.
    Secondly, Does the Nak-Dong River Flow? directly deals with the problem of child combatants, an issue of continual controversy. Centering on a little child with no understanding of the circumstances of war at all, the misery of Korean War emerges all the more powerfully, and the pretty 'flower' in the movie calls attention to those horrors even more impressively, let alone the image of tanks and the scenes of humanity.
    Likewise, Does the Nak-Dong River Flow can said to be a distinguished film work of the embodiment of Nak-Dong River in the time of Korean War. Before anything else, it is noteworthy that Kwon-taek Im, who tries to approaches the historical fact with modesty and sincerity placing 'child combatant' as the central figure, poses Nak-Dong River as the space for the venting of spite, not being content with its spatial importance as the expression of the irony of Korean War which has no clear division between enemy and friend nor with its value as a factual record of the battlefield of the blind struggling for victory under those ironical circumstances of history. It must be deeply involved with those circumstances that Nak-Dong River has been one of the main subjects for film and other branches of art.
    There was a scene in the movie in which Cheon Tae-sik throws a field shovel to tell his fortune and other soldiers, utterly fearful of death, give facial expressions of agreement when they were making a plan to sweep the enemy through blowing up of a bridge and preparing for the operation. It is a moment of sadness, in which our minds cannot help but lapse into weakness infinitely under the tragic circumsta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3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