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水原發 금강산 옛길의 복원과 활용 연구 - 수원 선비 지상은의 『金剛錄』을 중심으로 - (Restoration and Utilization of Old Trails between Suwon and Mt. Geumgang - Focusing on Ji, Sang-Un’s 『Geumgangrok(金剛錄)』 -)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9.03
37P 미리보기
水原發 금강산 옛길의 복원과 활용 연구 - 수원 선비 지상은의 『金剛錄』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고대학 / 53호 / 549 ~ 585페이지
    · 저자명 : 박부원

    초록

    본 연구는 금강산 유산기라는 인문자원을 활용하여 현재적 가치로 재구성이 가능한지 여부를 문화콘텐츠의 활용적 시각으로 경기천년 금강산 옛길 개발 가능성을 재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산기는 일정한 형식을 갖추고 작성된 문학작품이면서 역사적 기록물이다. 최근 수원박물관에서 발간한 『금강록』은 수원사람이 29일간에 걸쳐 금강산을 유람하고 수원으로 돌아와서 작성한 유산기이다. 이런 금강산 유산기는 특정지역 뿐만 아니라 전체여정에 포함된 지역과 지역 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소재로 활용가능하다. 출발지 수원과 금강산을 유람하고 수원으로 돌아온 기록을 가지고,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아우르는 시공간 연계콘텐츠를 기획하였다.
    지역문화콘텐츠는 기본적인 역사적 사실을 중심으로 해야 한다. 완성된 콘텐츠의 재미요소가 충분하더라도 역사적 사실 요소를 왜곡한다면 콘텐츠의 지속성을 담보할 수 없다. 이에 『고려사』 기록을 통해 고려시대 개경을 중심으로 각 방면으로 연결되는 22역로망 중 도원도와 조선시대 신경준 『도로고』의 경흥제2로를 기반으로, 『금강록』의 구간을 『대동여지도』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금강산 유산기를 기반으로 금강산 옛길 구현이 가능하였다. 이를 현재적 가치로 활용하기 위해 『금강록』을 소재로 한 ‘수원의 금강산 옛길’, 천년경기 소재로의 ‘금강산 경기옛길’, 남북협력 콘텐츠로의 ‘금강산 평화탐방 경기옛길’ 등 3가지 루트의 시공간 옛길 개발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금강산 유산기 콘텐츠는 보편적 문화원형의 객체로서 이미 하나의 완결된 문화자원이기도 하면서 다시 또 다른 콘텐츠 간 연계의 소스로 제공해줄 수 있는 중간재, 혹은 촉매제로도 활용할 수 있는 소재이다.
    ‘금강산 옛길’의 현재적 가치로의 구현 과정에서 중요한 점은 우리는 새로운 시대를 맞고 있다는 것이다. 이제 곧 시작되는 ‘금강산 육로관광’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어떠한 준비를 할 것이며, 향유자에게 어떤 향유요소를 통해가치를 제공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바로 지금’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a possibility of developing new stories on Old Trails between the Ancient Doctrine of Gyeonggi(京畿) and Mt. Geumgang from the practical perspective of Culture Contents. It attempts to examine how the Old Trails can be recon structed to find its contemporary value utilizing humanities resources like Mt. Geumgang Yusangi or Mt. Geumgang travel account.
    Yusangi is not only a well-structured literary work, but also a historical record. 『Geumgangrok(金剛錄)』which was recently published by Suwon Museum is a Yusangi by a Suwon native who spent about 29 days traveling around Mt. Geumgang and returned to Suwon. The Yusangi can be used as a source of reconnecting various places mentioned in the traveller’s journey to and fro. More speci fically, this paper conceives an idea to develop a culture content that transcend time and space. For example, by examining the Yusangi, it situates Suwon, Gyeonggi-do as a point of departure and Mt. Geumgang as that of arrival while embracing the places in-between on the Old Trails and Goryeo and Choseon Dynasty as a historical background.
    A local culture content must be based on historical facts. Likewise, if a content distorts historical facts, it may not be able to claim its credibility even if it offers some interesting elements of a story. With that in mind, this paper reconstructed the Old Trails of Mt. Geumgang through the Mt. Geumgang Yusangi. Two things were compared. One is 『Dowondo(桃源道)』out of 22 postal station systems connecting to Gaegyong, a capital city of Koyro Dynasty from 『Goryeo-sa(高麗史)』. This other is Gyongheungje path 2 from Shin, Gyong-Jun’s 『Dorogo(道路考)』, and it was then confirmed through 『Daedongyeojido(大東與地圖)』. It was, first of all, confirmed that the content of Mt. Geumgangsan Yusangi is an object of the culture Archetype with its unique value as a cultural resource. Secondly, the Yusangi can serve as an agency or a source of accommodating different culture contents.
    Finally, one of the important things to note in the work of Old Trails of Mt. Geumgang is that Korea is at a juncture to embrace a new era of peace and reconcili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Moreover, with the land tour of Mt. Geumgang possibly beginning soon, this paper concludes by suggesting that it is ‘now’ to start thinking about what kinds of valuable cultural resources should be developed and available to the travelers to Mt. Geumga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고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