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산강 유역 강배[江船] 고찰 (A Study on the GangBae(River Boat) of Yeongsan River basi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8.06
29P 미리보기
영산강 유역 강배[江船]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호남학 / 63호 / 1 ~ 29페이지
    · 저자명 : 박종오

    초록

    강은 통해 내륙과 해안을 연결하는 통로로서 시대를 초월하여 다양한 문물의 교류를 담당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것은 바로 배(船)이다. 우리나라 강에서는 조수구간을 기준으로 강배[江船]과 바닷배[海船]로 구분한다.
    영산강은 뱃길을 통해 문화가 운반되었던 곳이다. 선박이 운항할 수 있는 수심과 폭을 가진 영산강의 수로는 상류인 광주 서창까지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 영산강에서 배가 운항된 종점은 영산포이다. 그리고 서창까지 운항하던 작은배[小舟]는 강과 바다를 직접 잇는 배가 아닌 강과 인접한 두 지역을 이어주던 나룻배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영산강에서는 강을 마주하고 있는 두 지역을 연결하는 나룻배가 주로 운용되었다. 영산강 하구에는 다양한 어종을 잡던 어업배들도 있었다. 두덕배와 해초선이 그것들이다. 해초선은 평저선(平底船)이 아니라 밑바닥이 뽀족한 일본식 첨저선(尖底船)으로 우리의 전통 한선과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지금까지 보고된 조사 자료와 현장 조사들을 통해 영산강에는 다양한 배들이 운항되었다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영산강에서 운용된 배를 특별히 강배와 바닷배에 구별한 것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강을 오르내리거나 강을 가로질러 물자와 사람을 싣고 다녔던 영산강의 배들이 있었다. 그러나 1981년 영산강 하구언이 생기면서 그 배들은 운항을 멈췄다. 지금도 사람들은 강을 건너 주고, 사람들의 정(情)을 연결해준 나룻배를 기억한다. 그리고 짐을 옮기거나 물고기를 잡았던 어업배들을 기억한다. 그리고 다시 영산강에서 배가 운항되기를 사람들은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river is a channel connecting the inland with the coast through. The river played a role of exchanging various artifacts over time. What is needed to perform this role is a ship. In Korea, the tide section is divided into GangBae(River Boat) and BadaBae(Sailing ships).
    The Yeongsan River was a place where culture was transported through a waterway. The area with the depth and width that can be operated by the ship is known as Gwangju Seochang, which is the upper stream of Youngsan River. But, the actual end point where the ship was operated on the Youngsan River is Yeongsanpo. And the small boat that used to travel to Seochang was not a boat connecting river and sea directly. This boat was a ferry that crossed two areas facing the river.
    In the Youngsan River, a ferry boat connecting the two areas facing the river was mainly operated. Downstream, there were boats carrying various fish. There was a “DudukBae(ship)” in the form of “Han Seon”, a traditional Korean ship. However, There were “GaesuBae(ship)” and “Haechoseon(ship)” that caught eel or carried luggage. This boat is Japanese style V-shaped boats Surveys and field surveys reported so far confirm that various ships were operated on the Youngsan River. There were boats on the Youngsan River that moved up and down the river or carried goods and people across the river. However, in 1981, the “Yeongsangang estuary dam” was established. So the ships stopped the sailing. But still many people remember the ferry that crossed the river and connected people’s affairs. And remember the ships that carried the load or caught the fish. So people expect to be able to operate the ship on the Youngsan River aga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2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