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아스포라에 대한 조선지식인의 문학적 수용 태도― 明나라 遺民 康世爵의 실상을 중심으로 ― (The Literary Acceptance Attitude in Joseon Intellectuals Toward Diaspora - Focusing on the Real Image of Gang Se-jak(康世爵) as a Refugee(遺民) in Ming(明) Dynasty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7.08
28P 미리보기
디아스포라에 대한 조선지식인의 문학적 수용 태도― 明나라 遺民 康世爵의 실상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방학 / 37호 / 257 ~ 284페이지
    · 저자명 : 주영아

    초록

    16~17세기에 조선에 입국한 중국 이민자 중에는 자의에 의해 월경하였다기보다는 혼란한 동아시아의 정세 속에서 국경을 넘은 유민에 관심을 두고 그들이 이방인으로 혹은 디아스포라로 조선에서 생활터전을 마련하면서 겪게 되는 삶의 모습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강세작은 단순히 유민이 아닌 정착지인 회령은 물론이고 중앙의 관리들에게까지 그의 존재가 알려졌다. 강세작을 연구하는 연구자로서 이에 대한 답변이 필요하다는 인식이다. 실제 그의 대한 기록은 박세당의 「강세작전」처럼 사실을 기록한 부분이 있는가 하면, 그를 바라보는 시선이 담긴 시문와 묘지명도 전한다. 심지어 사후 100년에 전설이 되어 실존 인물과 관련하여 남겨진 이야기도 있다. 이러한 기록들은 강세작의 삶이 상황에 따라 여러 형태의 문학으로 새롭게 재해석되어 강한 생명력으로 자라고 있다는 반증이다.
    본 연구는 17세기 명나라 유민을 대하는 조선지식인의 인식과 산재한 강세작의 이야기를 일갈하여 문학 속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살핀다. 아울러 그가 쓴 「자술」과 역사의 기록이 차이가 있음을 인지하고 시대의 변화에 따라 역사와 유민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With paying attention to refugees of crossing a frontier amidst the chaotic situation in East Asia rather than having willfully crossed the border among Chinese immigrants who entered Joseon in the 16th~17th century, there is a need to have an interest in the image of life that they come to suffer while arranging a site of living in Joseon as an alien or Diaspora.
    Gang Se-jak was known his existence even to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as well as to Hoeryeong where is settlement, simply not a refugee. As a researcher into Gang Se-jak, a response to this is recognized to be necessary. As for a record on him in reality, there is a section that recorded a fact like Park Se-dang's 「Gangsejakjeon(康世爵傳)」. On the other hand, a poetry & prose(詩文) and epitaph(墓誌銘) of being contained a view of looking at him are also reported. There is even a story that was left in relation to a real person as it became a legend 100 years after his death. These records are a contrary evidence as saying that Gang Se-jak's life is growing as strong vitality with being newly reinterpreted into many forms of literature depending on a situation.
    This study inquires into Joseon intellectuals' perception of refugees in Ming(明) dynasty of the 17th century, and into how it is expressed in literature with thundering the scattered stories on Gang Se-jak. In addition, its significance is discussed with recognizing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Confession」 written by him and a historical reco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