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후기『法華經三昧懺助宣講儀』의 간행과 그 의의 (Publication and Significance of Beobhwagyeongsammaecham Joseongangui (法華經三昧懺助宣講儀) in the Late Goryeo Dynast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21.06
33P 미리보기
고려후기『法華經三昧懺助宣講儀』의 간행과 그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95호 / 60 ~ 92페이지
    · 저자명 : 박용진

    초록

    본고는 고려후기 천태종의 교학과 실천 가운데, 특히 천태지관의 실천 수행인 법화삼매참의 성립과 전개를 밝힐 수 있는 『묘법연화경삼매참법』의 강의서인 『법화경삼매참조선강의』를 분석하고, 특징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또한 『조선강의』의 전존본의 서지사항 및 간행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강의』는 찬자가 확인되지 않고, 서문이 없어 편찬 배경 등은 분명치 않다.
    『조선강의』는 묘혜가 1377년에 『법화영험전』과 함께 간행하여 수원 만의사에 목판을 두었다. 『조선강의』는 주해의 대상이 된 산긍의 『삼매참법』 3권의 분경 과목에 따라 12단으로 나뉘어 해설되었다. 『조선강의』는 3권으로 구성되었고, 「일육서문답단예참작관(一六瑞問答段禮懺作觀)」부터 「십이악세옹호유통단 작관예참(十二 惡世擁護流通段 作觀禮懺)」 등 12단으로 나뉘어 경문과 함께 주해되었다.
    『조선강의』는 천태지의의 천태삼대부를 근간으로 천태 제가의 장소가 인용되었고, 당대 담연의 『법화문구기』, 송대 지례의 『수참요지』, 기타 『천태삼대부보주』, 『천태사교집해』, 원대 서행선의 『과주묘법연화경』이 확인된다. 또한 선종계 인물의 『능엄경요해』, 『만선동귀집』, 『증도가』 등의 장소가 인용되었고, 계환의 『묘법연화경해』는 다수 인용되었다. 주로 특정 문구를 주석하거나 새로운 표현 등을 많이 인용하고 있어, 사상적 영향이라기 보다는 문구를 해설하는 주석적 입장에서의 활용이었다.
    『조선강의』의 간행 의의에 대해 「삼매참」의 연기와 법화참법류 불서의 간행과 유통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조선강의』는 천태지의의 「법화삼매참의」를 근간으로 하였으며, 타 종파의 참법에 대해 자종의 삼매참법의 역사성과 정통성을 부여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삼매참법』과 『조선강의』는 각 종파의 참법서 간행과 유통에 대응한 천태종의 활동으로 볼 수 있다. 즉, 참법류 불서의 간행과 유통에 즈음하여 천태종을 중심으로 자종의 신앙과 실천을 적극 선양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Joseongangui was published by Myo-hye (妙慧) in 1377 with Beobhwayeongheomjeon. Joseongangui was divided into 12 columns according to the three volumes of Sangeung’s Sammae Chambeop, which became the subject of comment. Joseongangui is composed of threevolumes, and is divided into 12 columns, including Yugseomundabdan yechamjaggwan (六瑞問答段禮懺作觀) and Agse-onghoyutongdan jaggwan-yecham (十二惡世擁護流通段 作觀禮懺).
    Joseongang-ui was based on Cheontae's Tiantaisandabu and cited several commentaries of Cheontaejong. The main quotes are Zhànrán’s (湛然) Fahuawenjuji, Zhīlǐ’s Xiūchànyàozhǐ (修懺要旨) of Song Dynasty, other Tiantaisandabubuzhù (天台三大部補注), Tiāntái sìjiàojijie (天台四教), and KezhuMiaofa lianhua jing (科註妙法蓮華經). In addition, Seonjong’s Lèngyánjīngyaojie, Wanshan tonggui ji, Zhengdaoge, and so on were cited, and in particular, many parts of Jiehuan’s Fahuajīngyaojie were cited. The citation trend mainly cited the commentary or new expression of a specific phrase, so it was used in the commentary position to explain the phrase.
    Joseongang-ui was based on Cheontae’s Fahuasanmeichanyi, and includes the aspect of giving the historical and authenticity of Cheontaejong’s Sanmei Chanfa to the other Sects. On the occasion of the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Buddhist books of Sanmei Chanfa, it can be seen that they actively promoted the faith and practice of their own kind, centering on the Cheontaej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2 오후